[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의 근원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의 근원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2-10-14 08:04 조회766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의 근원

   

◆ 집착과 중독이 조금 다른 개념이라는 것은 알겠는데 아직 뚜렷하게 와 닿지는 않아요. 우선 중독을 정리해보면 낚시, 골프, 일, 게임, 그리고 도박도 중독이 될 수 있는데 그 이유가 성취감으로부터 오는 즐거움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는 말이잖아요? 이 부분은 동의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즐겁지 않으면 중독이 되기도 전에 그만두게 될 테니까요. 그런데 집착이 중독과는 어떻게 다른가요? 

   

- 정리하신 대로 중독은 즐기기 때문에 중독이 되죠. 하지만 중독의 범주에 속할 때 까지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해요. 낚시를 비롯한 취미생활을 생각해보면 알 수 있어요. 낚시의 경우 10명이 취미로 시작했다고 가정했을 때 2명 정도가 계속 낚시를 취미로 하고 나머지 8명 정도는 그만두거든요.

   

◆ 고기를 잡지 못하면 계속할 이유가 없을 테니까 충분히 그럴 수 있다고 봐요. 그러면 낚시를 계속하는 경우는 고기를 잡았을 때의 성취감 때문 아닌가요? 

   

- 꼭 그렇지는 않아요. 고기를 잡는 방법과 경험이 있는 사람들의 의견을 들으며 배우는 과정이 있기 때문일 가능성도 있어요. 

   

◆ 그래서 스승을 잘 만나야 한다는 말이 있나요? 경험이 있는 사람들의 의견을 듣는다는 것이 곧 배우는 과정이잖아요. 

   

- 맞아요. 새로운 것을 배워나가는 과정은 인간뿐 아니라 두뇌가 발달한 동물들에게는 즐거움이거든요. 사자 새끼들이 사냥하는 훈련을 놀면서 하는 것과 같이요.

   

◆ 알 것 같아요. 그러면 중독은 새로운 것을 배워나가는 과정을 즐기기 때문에 생긴다는 뜻이군요. 

   

- 아니요. 새로운 것을 배워나가는 것을 즐기는 수준은 스스로 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라서 오히려 중독이 되기 어려워요. 진짜 중독은 스스로 고기를 잡을 수 있는 수준에서부터 시작하죠. 그 때부터 혼자 낚시를 해도 심심하지 않고 즐길 수 있거든요. 그래서 또 찾게 되는 것이고요. 

   

◆ 생각해보면 일, 독서, 운동 등에 중독이 되는 경우 누구랑 굳이 함께하지 않아도 계속 이어가는 모습을 보이는 것 같아요. 그러면 누군가와 함께 해야만 즐거운 경우는 중독이 아니라는 뜻인가요? 

   

- 바로 그 부분이 집착과 중독의 차이에요. 누군가와 함께 해야만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경우 그 누군가가 필요하겠죠? 그리고 그 누군가와의 시간이 즐겁다면 그것을 잊지 못하고 계속 찾게 될 것이고요. 여기에서 대상을 게임, 취미생활, 일 등으로 확대해 보세요. 집착과 중독이 어떻게 보일까요? 

   

◆ 그러면 집착과 중독은 구분이 잘 되지 않을 것 같아요. 사실 구분이 잘 되지 않는 이유가 집착에 대한 개념이 뚜렷하지 않아서인 것 같아요. 

   

- 예. 그럴 수 있어요. 그러면 이제 집착에 대한 이야기로 넘어가 볼게요. 예를 들어 친구와 함께 게임을 해 왔고 또 그래서 즐거웠는데 어느 날 게임을 같이 그 친구가 함께하지 않아 게임이 재미가 없다면 이러한 경우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요? 

   

◆ 그런 경우라면 게임 자체를 즐기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과 함께 하는 시간을 즐기는 것이니까 대상이 게임이 아니라 사람이겠네요. 이런 경우 사람에 집착하는 것이 되나요? 

   

- 맞아요. 게임에 중독이 된 것이 아니라 함께 하는 사람 또는 사람들에게 집착을 하고 있는 것이죠. 그래서 게임을 하루 종일 하는 사람에게 ‘너는 게임 중독이야!’라고 말하면 그 사람은 ‘아니, 난 중독 아니야. 게임 안 해도 괜찮거든.’과 같이 이야기하죠. 

   

◆ 그럴 수 있겠네요. 게임 자체가 아니라 사람에 집착을 하는 것이니 중독은 아니라고 볼 수 있겠네요. 그러면 도박의 경우는요? 

   

- 도박도 마찬가지에요. 도박 자체가 아니라 돈에 집착을 하는 경우 주변 사람들이 ‘당신은 도박 중독이야!’라고 말해도 ‘난 도박중독이 아니야!’라고 말하죠. 왜냐하면 그 사람들은 돈에 대한 집착으로 도박을 하기 때문에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으로 도박을 선택한 것이니까요. 도박 자체를 즐긴다고 볼 수 없죠. 

   

◆ 그렇다면 앞서 중독은 사회문제를 일으킬 확률이 적지만 집착은 사회문제의 뿌리라고 했잖아요? 도박에 집착하는 것이 돈 때문이고 게임에 집착하는 것이 게임을 함께 하는 사람이라면 오히려 문제가 되지 않아야 하는 것 아닌가요? 

   

- 아니요. 반대에요. 만일 내가 혼자 게임을 하면 재미가 없고 갑이라는 친구와 함께 해야 재미가 있다면 나와 갑의 관계는 어떻게 될까요? 

   

◆ 내가 갑이라는 친구를 자주 찾겠죠. 

   

- 그런데 함께 게임을 하던 갑이라는 친구와 싸우는 일이 있었는데 갑이 나에게 결별을 선언했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 글쎄요? 쉽게 떠나보내지 못할 것 같은데요. 

   

- 그게 집착이에요. 여기서 게임을 함께 하던 갑을 연인으로 바꾸고 그 연인을 잊지 못해 계속해서 생각나고 쫒아 다니게 되면 스토커가 되겠죠. 

   

◆ 그럴 수 있겠네요. 그러면 도박은요? 돈에 집착했는데 왜 가정까지 파탄에 이르게 될까요? 

   

- 도박의 특성은 한 번 크게 이기면 상상하지 못할 만큼의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에 있어요. 그러니까 돈에 집착한 사람의 경우 도박을 통해 일확천금을 벌겠다는 생각에 뛰어 들게 되죠. 이렇게 돈에 집착하다보면 가족은 그저 돈을 벌기위한 배팅에 불과해요. 판돈이 있어야 도박을 해서 큰돈을 벌 수 있는데 가진 것을 다 잃었으니 가족이라도 걸어서 돈을 벌겠다는 것이죠. 

   

◆ 지금 말씀은 돈에 대한 집착이 클수록 도박에 빠질 확률이 크고 그렇게 되면 자신의 가족도 돈을 벌기위한 수단으로 만든다는 뜻인데 돈의 힘이 그렇게 큰가요? 

   

- 사자와 같은 동물들에게는 힘과 사냥의 기술이 생존본능의 뿌리라고 본다면 사람에게는 돈, 권력, 명예 또는 인기가 생존본능의 가장 깊은 뿌리라고 볼 수 있어요. 그러니까 돈을 위해서 또는 자신이 섬기는 권력자를 위해서 불법행위임을 알면서도 따르는 경우가 있죠.

   

◆ 결국 생존본능에 따라 돈, 명예, 권력, 인기 등을 쫒으면 가족이나 친구도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도구로 밖에는 보지 않는다는 뜻인가요? 

   

- 예. 게임에서 스스로의 힘으로 이겨나갈 힘이 없으니까 나에게 성취감을 주는 친구에 집착하거나 지금 가지고 있는 재산보다 더 큰 돈에 집착하니까 그 꿈을 이루기 위해 도박에 의존하는 과정에서 사회문제가 발생하죠. 

   

◆ 이제 중독과 집착의 차이가 조금 보이는 것 같아요. 그런데 도박은 일반적으로 쉽게 돈을 벌려는 생각에서 시작된다는 주장도 있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10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2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서술을 종합하여 나만의 정의를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433
4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14
4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동학 농민 운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4408
4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종이 땡땡땡, 서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506
42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바꾼 질문에 부합하는 서술을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420
41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앤트맨처럼 작아지는 것이 실제로 가능할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4533
41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과거시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740
41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5감과 6하 원칙을 바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꾸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552
4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승정원일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135
41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지식의 한계를 확인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775
41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곰탕 폭발의 미스테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4945
41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몽유도원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48
41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선택 그리고 정의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09
41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 훈민정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940
41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 방법의 기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3504
40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선크림 방지법 -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할 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3067
40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19
40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4666
40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 혜허의 수월관음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3000
40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439
4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중력이라는 이름의 코끼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46
4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설화문학과 패관문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12
40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549
40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3677
40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두뇌 속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2660
39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452
39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라돈 침대 - 위험한 것일까? 안전한 것일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790
39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2 (두뇌의 작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300
39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1 (공을 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184
39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덕 대왕 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30
3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왜 남북은 서로 시간이 다를까-남북회담을 계기로 알아보는 국제표준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797
39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1962
39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청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3189
3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의 핏줄 김유신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2555
39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2078
38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지리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4640
38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플라스틱을 먹어치우는 박테리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6259
38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2299
38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 공부, 그리고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2510
38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5024
3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서봉총 금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1986
3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남태평양 앞바다에 추락한 텐궁 1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1886
38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원효의 깨달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758
38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과 분별 (내 탓)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9 2293
38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분황사모전석탑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4556
37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티븐 호킹, 블랙홀 수수께끼의 잠금쇠를 열고 그 안에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492
37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553
37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라 왕궁 월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2580
37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가르치는 사람이 갖춰야 할 조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2238
37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과 미래의 직업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651
37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086
37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야외 박물관 경주 남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298
37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주 감은사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486
37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067
3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0'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6024
36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방법을 바탕으로 자녀 등 학생을 가르치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276
36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천마도와 천마총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1916
3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원효와 의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5 3908
36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방법을 바탕으로 자녀 등 학생을 가르치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5 1938
36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641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