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종이 땡땡땡, 서원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종이 땡땡땡, 서원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07-19 09:37 조회2,518회 댓글0건

본문

44aac76aec2295523499ed56b3d7a257_1532018242_344.jpg
 

 

* 백운동 서원(소수서원) :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1543)

 

 

[우리나라 교육 방법은 중국 제도를 따라 중앙에는 성균관과 사학이 있고, 지방에는 향교가 있습니다. 진실로 좋은 일이지만 서원이 설치되었다는 말은 들은 바가 없습니다. 이것은 우리 동방의 큰 결점입니다. 주세붕이 처음 서원을 세울 때 세상에서는 의심하였습니다. 주세붕은 뜻을 더욱 가다듬어 많은 비웃음을 무릅쓰고 비방을 물리쳐 지금까지 누구도 하지 못했던 장한 일을 이루었습니다. 아마도 하늘이 서원을 세우는 가르침을 동방에 일으켜 우리나라가 중국과 같게 되도록 하는 것인가 합니다.… 사방에서 기뻐하고 사모하여 서로 다투어서 이를 본받게 될 것입니다. 진실로 선왕의 자취가 남고 향기가 뿌려져 있는 곳. 최충, 우탁, 정몽주, 길재, 김종직, 김굉필 같은 이가 살던 곳. 이런 곳은 모두 서원이 세워질 것입니다.]

 

<퇴계전집>

 

-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은 1543년 주세붕이 세운 백운동 서원이다. 이황이 건의하여 소수서원으로 사액 되었다. 사액은 왕이 직접 쓴 현판, 서적, 노비 등을 내리는 것이다. 그 뒤 전국 곳곳에서 서원을 세워 사액을 요구하자 조정은 대개 허락하였다. 17세기에 들어 서원이 지나치게 늘자 도덕과 충절이 뛰어난 인물을 모시는 곳이 아니면 허락하지 않았다. 서원은 교육과 연구 기능만 가졌던 향교와 달리 선현을 봉사하는 기능도 가졌다. 서원은 성리학을 확산시키고 사림들이 정치 여론 집단을 형성하여 정국을 주도하는데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서원은 향촌 사림이 세우고 운영한 사설 학교였다. 조선 후기에 서원이 많이 늘어나고, 그 역할이 단순한 학교에 머무르지 않으면서 붕당 정치와 향촌 운영의 기반으로까지 확대되었다. 17세기에 들어와 붕당 정치가 점차 본궤도에 오르면서 향촌 사림의 여론이 정치의 향방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각 정파는 이런 여론을 자기 당에 유리하게 이끌어 정치적 입장을 강화할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해 각 정파는 자기파의 유학자를 제사하는 서원을 지방별로 직접 세우거나, 사림을 불러들여 이곳을 중심으로 자기파 지지 세력을 구축하려 하였다. 

 

사액은 서원으로 볼 때 향촌에서의 자신의 존재에 대한 국가적 공인이었고, 동시에 서원을 기반으로 하는 향촌 사림의 활동을 보장받기 위한 방법이다. 농민 통제를 비롯한 제반 향촌 문제를 놓고 아무래도 수령의 권한으로부터 견제를 받고 수령의 권한과 갈등 관계에 놓이기 마련인 사족들에게 그들이 세워서 운영하는 서원이 왕으로부터 공인을 받았다는 사실은 그 활동에 큰 힘을 실어주었다. 그러기에 모든 서원마다 막대한 경비를 쓰면서까지 사액을 받으려 했다. 

 

중앙 정파와 서원의 관련이 밀접하게 된 결과, 본래 산림학자가 맡았던 서원 원장의 직책을 중앙의 고관이 맡게 되었고, 중앙의 고급 관리에게 일정한 직위를 부여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해당 서원은 중앙으로부터 지원을 받게 되며 정치적 진출에서도 유리하였다. 이런 과정에서 향촌 사림의 공론과 특정 사안에 대한 여론을 모아 중앙 관료에게 전달함으로써 여론을 모으는 역할을 하였다. 즉 서원이 향촌 여론 수렴의 거점으로 역할을 하였다. 

 

서원에서는 먼저 소학과 사서오경으로 근본을 갖춘 다음 가례, 심경, 근사록, 사기 등 성리학 관련 서적을 두루 읽어 뜻을 넓혔다. 사기나 사장은 과거를 목적으로 설치된 과목이다. 이 과목은 조선 중기 이후 사람들이 관계에 활발히 진출함에 따라 중요 과목이 되었다. 

 

서원 설립으로 말미암아 각기 일정한 원생을 가질 수 있었다. 원생의 정원은 서원에 따라 달랐으나 초기에는 대체로 백운동 서원의 예를 따라 10명으로 하였다. 그러나 후대로 가면서 점차 증가하게 되자 숙종 때에는 사액 서원 20명, 미사액 서원 15명으로 규정하기도 하였다. 

 

서원은 원생과 그 시설 유지 및 관리를 위하여 경제 기반이 필요하였다. 국가가 승인하는 형식의 사액 서원인 경우, 면세전(세금이 면제되는 토지) 3결과 노비 1인을 사여(나라나 관청에서 금품을 내려 줌)하였다. 그러나 서원은 그 설립의 주체인 사림으로부터 경제적 후원을 얻고 있었다. 지방의 유력한 사림이 토지와 노비를 서원에 기증하면 지방관의 배려로 그 토지는 면세의 특권을 누리는 것이 상례였다. 

 

또 서원에 토지와 노비를 헌납하는 관례가 용인되었으므로 면역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하는 한편, 서원의 경제적 기반은 더욱 강화되는 소지가 되었다.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 서원은 명종대에 이미 전답 30결, 노비 18인을 소유하였다. 이것은 그 규모가 광대한 것은 아니지만, 서원의 수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면세전의 증가와 국역 부담자의 감소를 가져와 국가 경제에 피해를 주는 결과로 작용하였다. 

 

서원은 문묘(공자를 모신 사당)나 향교와 비슷하게 남북 축을 따라 동서로 마주보게 건물을 배치하였다. 건물은 쓰임새에 따라 지형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적절히 공간 구성을 하였다. 서원 건축 양식은 양반 주택과 비슷한 점이 많았다. 선현이 쓰던 별장이나 집을 서원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서원에서 가장 중요한 건물은 사당 및 강당과 재이다. 사당은 제사를 지내는 곳이고, 강당은 공부를 하는 곳이며, 재는 원생과 진사 등이 숙식하는 곳이다. 대체로 남쪽에서부터 정문과 강당, 사당 등을 세웠다. 사당은 따로 담장을 두르고 삼문을 세우고, 부근에 제기고(제사 때 사용하는 제기를 보관하는 창고)를 두었다. 강당 앞쪽에 동재와 서재를 배치하고, 서고와 장판고(문집이나 서적을 펴내는 곳) 등을 곁에 두었다. 서원 관리나 식사 준비를 담당하는 고사는 강당 구역과 떨어져 한편에 두었다. 

 

대부분 건물은 검소한 선비 정신에 따라 복잡한 포(처마 끝의 하중을 받치기 위해 기둥머리 같은 데 짜 맞추어 댄 나무 부재)나 장식을 피하고 익공(짧게 아로새긴 나무)과 같은 간소한 양식으로 지었다. 담장을 쌓았지만 그다지 높지 않았고 일부러 터놓기도 하였다. 자연과 조화를 깨지 않으면서 담장 밖 자연도 정원처럼 즐길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서원 안에는 산수유, 느티나무, 은행, 작약, 살구, 모과, 진달래, 개나리, 난초, 모란, 매화, 단풍 등을 심었다. 철따라 피고 지는 꽃과 나무들을 보고 계절을 느낄 수 있었을 것이다. 서원 바깥에는 소나무, 대나무 등을 심어 푸름과 기상을 풍기게 하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10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2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서술을 종합하여 나만의 정의를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440
4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22
4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동학 농민 운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4419
열람중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종이 땡땡땡, 서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519
42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바꾼 질문에 부합하는 서술을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428
41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앤트맨처럼 작아지는 것이 실제로 가능할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4538
41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과거시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748
41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5감과 6하 원칙을 바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꾸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564
4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승정원일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148
41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지식의 한계를 확인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785
41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곰탕 폭발의 미스테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4952
41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몽유도원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55
41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선택 그리고 정의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15
41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 훈민정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945
41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 방법의 기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3514
40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선크림 방지법 -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할 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3078
40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27
40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4677
40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 혜허의 수월관음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3010
40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447
4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중력이라는 이름의 코끼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58
4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설화문학과 패관문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23
40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555
40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3687
40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두뇌 속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2668
39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459
39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라돈 침대 - 위험한 것일까? 안전한 것일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798
39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2 (두뇌의 작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309
39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1 (공을 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193
39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덕 대왕 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36
3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왜 남북은 서로 시간이 다를까-남북회담을 계기로 알아보는 국제표준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05
39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1969
39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청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3204
3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의 핏줄 김유신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2571
39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2092
38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지리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4661
38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플라스틱을 먹어치우는 박테리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6279
38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2316
38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 공부, 그리고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2531
38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5043
3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서봉총 금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000
3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남태평양 앞바다에 추락한 텐궁 1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1907
38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원효의 깨달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782
38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과 분별 (내 탓)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9 2310
38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분황사모전석탑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4579
37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티븐 호킹, 블랙홀 수수께끼의 잠금쇠를 열고 그 안에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508
37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577
37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라 왕궁 월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2600
37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가르치는 사람이 갖춰야 할 조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2259
37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과 미래의 직업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670
37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106
37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야외 박물관 경주 남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315
37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주 감은사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498
37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074
3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0'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6047
36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방법을 바탕으로 자녀 등 학생을 가르치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292
36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천마도와 천마총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1932
3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원효와 의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5 3930
36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방법을 바탕으로 자녀 등 학생을 가르치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5 1952
36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660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