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시대의 중앙 정치 조직과 지방 행정 조직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시대의 중앙 정치 조직과 지방 행정 조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0-05-13 08:35 조회5,329회 댓글0건

본문

<중앙의 정치 조직>

758783364_X60FSsyC_d7bf46dcdf8cdb15d2dfd25c37b41ad6a8ace492.jpg   

조선 정부는 사대부 관료들이 운영하였다. 관리는 맡은 일에 따라 문반(동반)과 무반(서반)이 있었고, 근무하는 곳에 따라 경직과 외직(지방관)으로 나눠졌다. 관리들이 받는 품계는 정1품에서 종9품까지 18등급이었다. 정3품 통정대부 이상을 당상관, 정3품 통훈대부에서 정4품까지를 당하관, 정5품에서 종6품 이상을 참상관, 그 밑을 참하관이라 하였다. 품계에 따라 입는 옷, 대우 등이 달랐다. 당상관은 중요 정책 결정에 참여하였다. 참상관은 조회에 나갈 수 있었고, 말을 타고 다닐 수 있었다. 웬만한 범죄를 저질러도 극형을 면제 받을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참상관이 되는 것을 아주 명예롭게 생각하였다. 


○ 의정부 서사제와 6조 직계제 



조선 왕조는 양반 사회였다. 국왕은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었지만 지배 세력인 양반은 성리학적 사상을 근거로 꾸준히 왕권을 견제하면서 양반 중심의 사회 질서를 유지하려고 했다. 왕과 양반들은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통하여 정치적 균형을 유지하려고 하면서도 치열한 권력 다툼을 벌였다. 의정부 서사제와 6조 직계제가 번갈아 시행된 것은 이 때문이다. 의정부 서사제는 의정부의 의결권을 통하여 양반 관료들의 의견을 반영하지만, 6조 직계제는 의정부를 소외시키고 육조가 모든 정무를 왕에게 직접 고하고 왕명을 집행하는 것이었다. 


태조 때는 정도전을 중심으로 하여 의정부 서사제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강력한 왕권을 세우려고 한 태종은 6조를 3품 관청에서 2품 관청으로 높여 6조 직계제를 실시하였다. 세종도 전반기에는 6조 직계제를 실시하였다. 하지만, 집현전을 통해 성장한 사대부들이 정치적 지위가 높아지면서 후기에는 의정부 기능을 회복시켜 의정부 서사제를 부활시켰다. 문종에 이어 단종 때에 의정부 정승을 중심으로 의정부 서사제가 강화되었다. 이에 반발한 수양대군은 정난을 통하여 권력을 장악하고 다시 6조 직계제를 실시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 


의정부 서사제와 6조 직계제는 성종 때 와서 적절히 조화를 이루게 되었다. 국왕을 정점으로 의정부와 육조와 삼사(사헌부, 사간원, 홍문관)가 서로 견제하면서 균형을 유지하게 된 것이다. 왕은 절대 권력을 갖고 있는 듯 보이지만 의정부와 대간(사헌부, 사간원)의 견제를 받았다. 의정부는 의결권을 갖고 있지만 왕권과 대간의 견제를 받았고, 육조는 행정권을 행사하지만 감찰권을 가진 대간이 견제하였다.

 


<지방의 행정 조직>

758783364_GxrU0uaD_98e01c4328492e8b9b3f5f8e520bde6c0f96d5dc.jpg 


▶ 관찰사의 임무

1. 사람을 가려서 뽑아야 한다.

2. 직분을 다하여야 한다.

3. 잘못된 것을 들추어 탄핵(죄상을 들어서 책망함)하여야 한다.

4. 지나치게 관대해서는 안 된다.

5. 먼 곳 이라도 순시하여야 한다. 


▶ 수령이 힘쓸 일곱 가지(수령 7사)

1. 농업을 발전시킬 것.

2. 유교 경전 등의 교육을 진흥할 것.

3. 법을 잘 지켜 백성에게 올바름을 보일 것.

4. 간사하고 교활한 무리를 제거할 것.

5. 때맞추어 군사 훈련을 실시하고 군기를 엄정히 할 것.

6. 백성을 편히 하고 호구(집의 수효와 식구 수)를 늘릴 것.

7. 부역(국민이 부담하는 토목, 건축 공사)을 공평하고 균등하게 부과할 것. 


지방관인 수령은 왕을 대신하여 중앙 집권을 확립하고 서민 생활을 안정시킬 의무가 있었다. 이들이 해당 지역을 잘 다스리는지를 감독하는 것이 관찰사(감사)의 가장 중요한 임무이었다. 


조선의 지방 제도는 8도 밑에 부, 목, 군, 현이 있었다. 군현에 면, 리, 통을 두었다. 도에는 관찰사를 파견하고 모든 군현에는 수령이라 불린 지방관을 파견했다. 수령 밑에 중앙 정부의 6조 조직에 해당하는 6방(이방, 호방, 예방, 병방, 형방, 공방) 조직이 있었다. 수령은 지방 행정 책임자로서 수령 7사에서 보듯이 조세나 공물을 걷고 서민 생활을 안정시켜야 하는 중요한 임무를 수행했다. 반면, 6방을 맡아 실무 행정을 담당한 향리는 실질적 지방 지배 세력이었던 고려와 달리 명령을 집행하는 속관으로 떨어졌고 녹봉(관원에게 일 년 또는 계절 단위로 나누어 주던 금품《쌀, 콩, 보리, 명주, 베, 돈 따위》)도 없어졌다. 관찰사는 고려 때 별 실권이 없었던 안찰사와 달리 관할 지역 수령들을 감독, 지휘하면서 이들을 실질적으로 지배하였다. 지방 조직 정비와 면리제 정착은 중앙 집권 체제가 확립되었음을 의미한다. 


○ 유향소


『국가가 유향소를 설치하고 향임을 둔 것은 수령을 중히 생각해서였다. 수령이란 임금의 나랏일에 대한 걱정을 나누어 어떤 지역의 사람을 다스리는 자이다. 그러나 수령은 임기가 정해져 있어 늘 바뀌고 있다. 늘 새 사람이라는 것은 일을 함에 잘못을 저지르기 쉽다. 비록 백성의 일에 뜻을 둔다하여도 먼 곳까지 상세히 살필 겨를이 없다.


따라서 각 고을에 명령을 내려, 충성스럽고 부지런하며 일을 잘 처리할 수 있는 사람을 골라 한 고을의 기강을 바르게 하고 일정한 임무를 주어 일을 하도록 한다. 그런 뒤에야 왕은 수령을 눈과 귀로 삼고 백성들의 기둥으로 삼아 의지하게 만든다.』 

                                                                                                                              <장현광, 여현선생문집, 권7, 향사당기> 


유향소는 조선 초기에 향촌에 설치한 수령 자문 기구였다. 고려 시대 향리(6방. 한 고을에서 세습으로 내려오던 아전)들은 지방 행정을 실질적으로 담당하며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을 누르고 사대부를 중심으로 한 새 사회 질서를 세우기 위해, 속현(큰 고을의 관할에 속해 있던 작은 고을)을 없애고 모든 군현마다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하지만 임기가 정해진 지방관이 토착 세력인 향리를 통제하는 데는 어려움이 많았다. 유향소를 설치한 것은 바로 이 때문이었다. 향촌에 사는 양반들이야말로 지방관을 도와 향리들을 규찰할 적임자이었던 것이다. 문제는 유향소 양반들이 자칫 지방관마저 무시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유향소가 설치와 폐지를 되풀이한 것은 바로 이 때문이었다. 각 읍별로 서울에 연락을 맡은 경재소를 두었지만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1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6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2 2789
36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는 사람의 이해력을 탓하는 교육자의 이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2187
36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9 2137
36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많은 사회문제는 교육이 그 시작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1785
36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102
35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2 2186
35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타인의 인정이 가치판단의 기준이 되도록 만드는 교육의 문제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980
35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3085
35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박사방 사건과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1934
35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2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03
354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미리 준비하기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39
35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과 선택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1622
352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788
351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972
350 [김바울의 교육칼럼]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수업 환경, 능동적인 공부법으로 극복해 보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857
34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하는 사람과 집착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1202
34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주자학과 양명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9 4048
34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1460
346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어휘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2036
34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 1775
열람중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시대의 중앙 정치 조직과 지방 행정 조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3 5330
34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두뇌는 동물의 두뇌와 어떻게 다른가?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8 1573
342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읽기와 쓰기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1720
34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두뇌는 동물의 두뇌와 어떻게 다른가?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5 1687
34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운현궁 – 조선말, 왕실문화를 거닐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843
33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영재는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으로 이룰 수 있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1514
338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3 1846
33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쉽지만 쉽지 않은 영재의 두뇌능력, 그 이유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1924
33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0 1886
33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 공부에 미치는 영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1880
334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ESSAY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7 1401
33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공부에 미치는 영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2 1677
33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1512
33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공부에 미치는 영향 3 - 가르치는 사람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524
33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1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471
32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1825
32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2 (칭찬과 벌을 통한 교육은 배우는 사람을 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1298
32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행복이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1094
32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2 2009
32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의 집단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7 1710
3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홀로 선다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1719
32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의 토지 제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 2400
3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 두뇌에 대한 이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1548
321 [김바울의 교육칼럼] 아이엘츠 리딩 시작하시는 분들 위한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1873
3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키우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619
31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370
31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를 능동적으로 움직이도록 만드는 목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1453
31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에 치우치면 사고력을 키울 수 없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2363
3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2 신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 3404
31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2714
314 [김바울의 교육칼럼] 아이엘츠 리딩 고득점을 원하는분들을 위한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1858
31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233
31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1913
31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411
31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5 1387
30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을 발휘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1515
308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1. 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2314
30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사고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 1900
30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851
305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부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896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