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2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2

페이지 정보

작성자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3-06-07 10:26 조회864회 댓글0건

본문

1178908027_YdBSiVy6_134fa62a59d0bdab25cca5221dd10f46540ffbd8.png


전반적인 라이팅 파트에 있어서 고득점 전략에 이어 좋은 라이팅 점수를 받을 수 있는 팁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이엘츠 시험은 paper-based tes 로 컴퓨터로 타이핑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답안지 작성하는 부분도 매우 중요한 평가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깔끔하면서도 분명한 필체(legible)가 아무래도 보기 힘들고 뚫어지게 쳐다봐야 알 수 있는 필체(illegible)보다 나을 것 입니다. 모든 답안지를 hand-writing 으로 작성해야 하는 아이엘츠에 있어서는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아울러 문단의 형식이나 구둣점도 사소해 보이지만 완성도 있는 에세이 라이팅에서 신경 써야 할 요소입니다. 따라서, 아래의 라이팅을 위한 팁들을 숙지하시어 평소에 연습하실 때도 적용하시어 올바른 방식을 습관화하시기 바랍니다.

 

습관처럼 아무 곳에나 ,(comma)를 찍거나 문장이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period)를 찍지 않는 등의 오류들을 범하는 학생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이런 사소한 실수이지만 습관화 되어 버리면 나중에 고치기 정말 어렵습니다. 이러한 오류들은 미리 숙지하시고 아예 범하지 않는 것이 현명한 방법일 것 입니다.


 

 

# Hint for Good Writing

 1. 외양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 실제 시험장에서는 연필과 지우개는 사용할 수 있지만 볼펜이나 샤프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용지 왼쪽과 오른쪽에 여백 주기에 주의해야 합니다. 즉, 답안지 줄이 끊어진 곳에서 다음 줄로 줄 바꿈하고 종이 끝까지 활용하지 않습니다.

- 문단의 형식에 있어서는 Traditional과 Modern 둘 중에 하나 만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혼용 안 됩니다!

* Traditional Method: 문단이 바뀌는 것을 들여쓰기를 통하여 나타내고 줄 띄우기를 하지 않습니다.

* Modern Method: 들여쓰기를 하지 않는 대신 줄 띄우기를 하여 문단의 구분을 나타냅니다.

>> 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서 쓰는 것이 좋지만, 실제는 Modern Method를 선호합니다.


1178908027_4rmpoKDk_4c9b0696553c4b32d6e4b25ffad980104ca26b5c.png


- 줄 간격 두 배(double spacing) 는 안 됩니다.

- 단어가 너무 긴 경우는 여백까지 사용하지 말고 줄을 바꿔 쓰시기 바랍니다.

- 본인의 글자 크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각 단어들 띄어쓰기 분명히 하시고, 각 줄 마다 10-12자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 필기체가 익숙하지 않으면 인쇄체를 쓰시기 바랍니다.

- 교정에 대한 감점은 없고 오류 수정에 대한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2. 기본 구두법(punctuation)은 매우 중요합니다.

- 마침표는 문장의 마지막에만 사용합니다. 반대로 문장의 마지막에 마침표를 안 찍으셔도 안 됩니다. (눈에 보이지도 않게 찍지마시고 자신있게 찍으십시오.)

- 문장의 첫 글자, 고유명사는 항상 대문자로 쓰셔야 합니다.

- 쉼표에는 뒤에 추가적인 정보가 있어야 합니다.

- 접속사 뒤에는 절대로 쉼표를 찍어서는 안됩니다.

     * 대표적인 실수 >> While, ….

- 접속사와는 달리 연결사의 역할을 하는 부사 뒤에는 항상 쉼표를 찍는 습관을 들이시기 바랍니다.

     * However, / On the other hand, / Accordingly, / Thus, / Yet, / Still,


The population of rivers, which is often caused by chemical waste and fertilizer, is causing enormous problems for fisherman, especially in Britain.

 

- 세미콜론은 나열된 것들 안에서 하부그룹을 구분하는데 사용 되어집니다. 하지만 문법적으로는 두 개의 밀접한 관련이 있는 두절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고 이때는 세미콜론 대신 마침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Chemical waste from factories is still drained into river systems; it is hard to believe that this practice is still allowed by law in some areas.

 

- 콜론은 뒤에 나오는 것이 중요함을 알릴 때 사용합니다.

The environment is important for the following reasons:

 

- 공식적인 글에는 축약형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 don't(x)   >>   do not(O)

- IELTS에는 느낌표, 물음표와 같은 감탄 부호, 의문 부호 또한 피하도록 합니다.



3. 주어진 과제를 골든 룰에 따라 정확히 적어야 합니다.

- 주어진 주제를 일관되게 적어야 합니다.

- 최소 어휘 수를 충족 시켜야 합니다. (-5%까지는 okay)


 

4. 공식적인 문체의 글을 써야 합니다.

- 구어체나 속어의 사용은 금물입니다.

- thing이란 단어(something,anything, nothing)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보다는 좀 더 사실적인 어휘가 좋습니다.

I like computer games and something like that. (x)

- etc, and so on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신 최소 3개의 예시 나열이 좋습니다.

They sat for the test, passed, and failed to use their qualifications.

- I, We의 사용은 피하는 게 좋고 대신 수동태의 활용을 권장합니다.

We consume a lot of water everyday.   è   A lot of water is consumed everyday.


 오류들을 피하여 여러가지 다양한 주제들에 대하여 실제로 라이팅을 많이 해 보시는 것이 남았습니다. 라이팅 섹션에 있어서는 정해진 시간 내에 2개의 task를 써내야 하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시간적 여유가 많지는 않습니다. 이에 따라 여러 주제들에 대하여 미리 브레인 스토밍을 해서 적절한 supporting ideas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것이 좋은 무기가 될 것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실제 시험에 들어가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팁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7건 1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6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실수는 발명의 어머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2139
366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인텔리들의 영어표현법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2147
3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세상을 두려워 해야 하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149
36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파리기후협정이 뭐길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153
36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용? 중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 2154
36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1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3 2156
36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핵융합 발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2156
36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158
35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161
35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Atomic Spectru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163
35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8 2166
35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구체적인 공부 방법을 나누겠습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167
35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9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0 2168
354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객관식, 주관식, 논술, 그리고 자녀교육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168
35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승정원일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169
352 새롭게 개정된 AP Physics 시험제도, 어떻게 바뀌었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174
35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9 2176
350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2178
34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7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6 2179
348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미리 준비하기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80
34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원초적 본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184
34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1. 백제의 무령왕릉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185
34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186
34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복궁-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2188
34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190
34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인간의 여섯 번째 그리고 일곱 번째 감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191
34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2195
34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2197
33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훈련과정 보충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훈련의 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202
338 [이근백의 캐나다 생활 이모저모] 곤경 처한 사람들의 다른 선택, 인간 본성에 대한 고민 다시 해 이근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203
33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 발명품 25가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206
33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2208
33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는 사람의 이해력을 탓하는 교육자의 이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2211
33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1 (공을 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211
33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성 내부의 숨은 비밀을 밝혀줄 탐사선, 인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221
33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2 2222
331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교육방법과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224
33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절두산(切頭山) 순교성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228
32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 중급단계 주제를 다루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2231
32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2. 백제 금동 대향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239
32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2242
32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오퍼튜너티 - 긴 탐사여정을 마치고 영원히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46
32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보살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249
3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은 경쟁의 최전선에서 상대와 겨룰 수 있는 힘의 원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1 2251
3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뉴튼과 사과나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56
32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천체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259
321 [과학 이야기] 펜싱에 숨어 있는 신비로운 과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2260
32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크리스마스에 잠든 여성 천문학 거장 베라 루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262
319 불의 고리(Ring of Fir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2265
31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양자 컴퓨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2272
31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9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2 2272
3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274
315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유명 기업보다 내가 필요한 회사 찾아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274
31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6 · 25 전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274
313 [이근백의 캐나다 생활 이모저모] 한 가족된 지구촌, 은퇴 이후 삶 - 어디가 좋을까 이근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277
31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목성 탐사위성 주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282
31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284
31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2290
30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가르치는 사람이 갖춰야 할 조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2303
30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4 2308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