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승정원일기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승정원일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07-05 11:25 조회2,167회 댓글0건

본문

 

 

?ui=2&ik=8b85a9b931&view=fimg&th=1645af1bee2cc7c4&attid=0.1.1&disp=emb&attbid=ANGjdJ9hACQA1XW37_97jYP4M6UAi23DLzn3GPmi-qinZ0iZmDxFZBNkSW3KsBYHfw_mXh_M4RIfpPlUPUz1syvq_wjM6KrN4TVxRTMxth47tullY6vM5i_Dnsd5JBc&sz=s0-l75-ft&ats=1530815062303&rm=1645af1bee2cc7c4&zw&atsh=1 

* 승정원일기의 일부 : 국보 303호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하루 동안 국왕이 신하들과 국정을 논의한 내용을 모두 받아 적고 상소를 정리해 보통 한 달 단위로 묶어 책으로 만들었다. 

 

일기는 가장 직접적이고 내밀한 기록의 하나다. 일기의 그런 직접성과 내밀함은 그 작성자가 원칙적으로 자신만을 독자로 상정하고 쓴다는 목적과 형식의 독특함에서 연유한다. 자신의 일기를 누군가 읽었을 때 민망함이나 짜증, 분노 같은 감정이 밀려오는 것은 일기의 바로 그런 일차적인 특징이 침해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니, 세상의 거의 모든 일처럼, 일기의 성격에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오는 요소는 그 작성의 주체다. 그 작성자가 사적 개인이 아닌 공적 기관으로 바뀔 때 일기의 성격은 가장 본질적으로 변화한다. 그때 일기는 ‘업무일지’, 나아가 ‘연대기’의 하나가 된다. 

 

여기서 살펴볼 승정원일기(국보 제303호)는 한국뿐 아니라 세계에서 가장 방대한 역사 기록의 하나다. 그 풍부한 내용과 정확한 서술은 2001년 9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됨으로써 그 가치를 확고히 인정받았다. 

 

승정원일기는 말 그대로 승정원에서 작성한 업무일지다. 잘 알듯이 승정원은 조선시대 국왕의 비서실로 승지 6명(정3품 당상관), 주서 2명(정7품), 서리 28명으로 구성된 관서였다. 

 

종신의 임기와 왕통에 따른 계승이라는 기본적 특성에서 드러나듯이, 전근대 왕정에서 국왕의 권력은 근대 공화국의 국가수반보다 훨씬 컸다. 조선시대의 국왕은 일반적인 주요 국무는 물론 소송이나 풍습에 관련된 판정처럼, 지금으로 보면 매우 특수한 분야까지 처결했다. 그러므로 국왕을 가장 가까이서 모시면서 그리로 들고 나오는 모든 문서를 관장한 승정원의 일기가 당시의 가장 포괄적이고 핵심적인 국정 기록이 되는 것은 자연스럽다.

 

승정원의 중심은 도승지부터 동부승지에 이르는 6명의 승지였지만, 승정원일기의 작성은 2명의 주서가 담당했다. 조선시대에 공식적인 사관은 예문관의 봉교(정7품. 2명)ㆍ대교(정8품. 2명)ㆍ검열(정9품. 4명)이었는데(이 8명을 ‘한림’이라고 불렀다), 주서는 그들과 동일한 지위와 기능을 인정받았다.

 

두 주서는 매일 상ㆍ하번으로 나눠 국왕이 신하들과 국정을 논의하고 처결하는 모든 자리에 입시(대궐에 들어가 임금을 뵘)해 그 내용을 기록했다. 어떤 기계의 도움도 받을 수 없던 그때, 대화를 기록하는 방법은 그저 붓으로 최대한 빠르게 쓰는 것이었다. 지금도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통역하는 일은 쉽지 않은데, 음성으로 발설된 한국어를 전혀 다른 표현 수단인 한자로 그 자리에서 바꿔 적는 작업의 어려움은 설명하지 않아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주서와 한림은 국왕과 신하의 대화를 일단 될 수 있는 대로 모두 받아 적어 속기록에 해당하는 초책을 만들었고, 그날그날 기억을 더듬거나 다른 사관의 기록과 대조해 그 내용을 보충했다. 상소처럼 서면으로 된 문서는 서리가 베꼈다. 이 두 자료를 합쳐 하루치의 일기를 완성했고, 그것을 보통 한 달(또는 반 달)씩 묶어 책으로 만들었다. 그 표지에는 그 일기가 해당하는 연월일을 적어 승정원에 보관했다.

 

매일의 승정원일기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① 제일 첫머리에는, 여느 일기들처럼, 날짜와 날씨를 적었다. 

② 그 다음에는 그날 근무한 승지와 주서의 이름을 기록했는데, 이것을 ‘좌목’이라고 한다. 

③ 세 번째 부분에는 가장 중요한 존재인 국왕의 소재(예컨대 “주상이 창덕궁에 계셨다”)와 상참ㆍ경연의 참석 상황, 그리고 국왕을 비롯한 왕비ㆍ대비ㆍ세자 등의 안부가 나온다. 여기까지는 거의 동일하게 반복되는 정형적 부분이다. 

④ 끝으로, 일기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그날의 국정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그 내용은 매우 다양한데, 각 관서에서 국왕에게 올린 문서와 거기에 대한 국왕의 처결, 인사행정, 여러 상소와 장계, 국왕의 거동(임금의 나들이)과 행사 등 국왕이 관련된 거의 모든 업무가 담겨 있다.

 

 

?ui=2&ik=8b85a9b931&view=fimg&th=1645af1bee2cc7c4&attid=0.1.2&disp=emb&attbid=ANGjdJ_FnOVyd82NPi2CopnDLDrhSjiX2ZFUPfX_WyKUXRehvitiFAx_GT_ZefPdGvWQDgaaT7yCQxWYkTiAmwOQ8lI9vrM50ye5qAwJMgZEKajswzAg4vp07ePv6Bw&sz=s0-l75-ft&ats=1530815062306&rm=1645af1bee2cc7c4&zw&atsh=1

헌종 5년 9월 3일의 기사로 승정원일기의 구성을 보여준다. 매일의 승정원일기는 이런 형식으로 기록되었다. 

 

승정원일기는 대부분 국왕이 거처한 도성의 궁궐에서 작성되었지만, 국왕이 다른 곳으로 거둥할 경우는 현지와 도성에서 각각 씌어졌다. 예컨대 현종은 재위 10년(1669) 3월 15일부터 4월 18일까지 눈병과 피부병을 치료하려고 온양온천으로 행차했는데, 그때 [일기]는 도성과 온양에서 작성되어 나중에 합본되었다. 그 기간 동안 승정원일기의 첫머리는 “주상이 온양행궁에 계셨다.”이라는 문장으로 시작된다. 

 

승정원일기의 여러 특징과 가치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측면은 그 방대함일 것이다. 승정원일기는 조선 초기부터 작성되었지만, 광해군 이전 부분은 임진왜란과 이괄의 난(인조 2년, 1624)ㆍ병자호란 등으로 소실되었고, 지금은 인조 1년(1623) 3월부터 순종 융희 4년(1910) 8월까지 288년 치만 남아 있다. 그 분량은 3,245책으로 약 2억 3천만 자에 달한다. 

 

조선왕조실록은 888책, 약 5천만 자인데, 비교하면 승정원일기는 실록의 약 4.6배가 된다. 더구나 이 수치는 현재 절반 밖에 남아 있지 않은 분량으로 환산한 것이니 실제로는 9배가 넘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중국 역대 왕조의 정사를 모은 25사(3,386책, 약 4천만 자)와 견줘도 승정원일기는 5.8배가 많다. 요컨대 승정원일기는, 첫머리에서 말한 대로, 세계 최대의 역사 기록 중 하나인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7건 1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6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실수는 발명의 어머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2139
366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인텔리들의 영어표현법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2146
3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세상을 두려워 해야 하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149
36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파리기후협정이 뭐길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152
36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용? 중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 2153
36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핵융합 발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2154
36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1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3 2156
36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157
35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160
35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Atomic Spectru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162
35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8 2165
35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구체적인 공부 방법을 나누겠습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166
35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9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0 2167
354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객관식, 주관식, 논술, 그리고 자녀교육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167
열람중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승정원일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168
352 새롭게 개정된 AP Physics 시험제도, 어떻게 바뀌었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174
35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9 2175
35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7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6 2178
34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2178
348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미리 준비하기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80
34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원초적 본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181
34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1. 백제의 무령왕릉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185
34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185
34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복궁-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2186
34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188
34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인간의 여섯 번째 그리고 일곱 번째 감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190
34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2195
34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2196
33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훈련과정 보충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훈련의 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202
338 [이근백의 캐나다 생활 이모저모] 곤경 처한 사람들의 다른 선택, 인간 본성에 대한 고민 다시 해 이근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203
33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 발명품 25가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206
33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2207
33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는 사람의 이해력을 탓하는 교육자의 이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2210
33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1 (공을 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211
33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성 내부의 숨은 비밀을 밝혀줄 탐사선, 인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220
33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2 2222
331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교육방법과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223
33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절두산(切頭山) 순교성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228
32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 중급단계 주제를 다루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2230
32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2. 백제 금동 대향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239
32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2242
32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오퍼튜너티 - 긴 탐사여정을 마치고 영원히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46
32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보살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248
3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은 경쟁의 최전선에서 상대와 겨룰 수 있는 힘의 원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1 2251
3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뉴튼과 사과나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56
32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천체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259
321 [과학 이야기] 펜싱에 숨어 있는 신비로운 과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2260
32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크리스마스에 잠든 여성 천문학 거장 베라 루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262
319 불의 고리(Ring of Fir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2264
31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6 · 25 전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270
31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양자 컴퓨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2272
3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9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2 2272
31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273
314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유명 기업보다 내가 필요한 회사 찾아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273
313 [이근백의 캐나다 생활 이모저모] 한 가족된 지구촌, 은퇴 이후 삶 - 어디가 좋을까 이근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275
31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목성 탐사위성 주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282
31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284
31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2290
3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4 2303
30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가르치는 사람이 갖춰야 할 조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2303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