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진주를 연결해 목걸이를 만들 듯 개념들을 연결하면 오래 기억할 수 있다!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진주를 연결해 목걸이를 만들 듯 개념들을 연결하면 오래 기억할 수 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2-09-10 19:33 조회762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진주를 연결해 목걸이를 만들 듯 개념들을 연결하면 오래 기억할 수 있다!


◆ 치매는 사람들로 하여금 두려움에 떨게 만드는 질병이잖아요. 지금까지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결국 지금 내가 두뇌를 어떻게 사용하는 지의 여부가 가장 중요하다는 뜻이고요. 그리고 그 예방법은 능동적으로 생각하는 훈련을 해야 하는데 능동적으로 생각하기위해서는 공부를 해야 한다고 하셨고요. 지금 생각해보면 학교에서 배우는 과목들은 감정마저도 객관화 된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일제 강점기 때에 한국에서 벌어진 일들을 생각하면 화가 나지만 사실 시험을 보기위해 배운 내용을 열심히 외우는 과정에는 감정도 없고 그저 외워서 기억하려는 노력만 남았던 것 같거든요. 그런데 이렇게 외워서 기억하는 공부방법으로는 치매뿐 아니라 공부 자체도 힘든 것 같아요. 학교 공부뿐 아니라 회사에서 하는 일 등 거의 모든 일에서는 감정도 객관화 되어있는 것 같은데 외우거나 직접 경험하는 것 말고는 다른 접근법이 없을까요? 


- 일상생활에 대한 이야기로 넘어가기 전에 우선 학교공부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하고 그것을 직장이나 가정생활 등 일상생활로 확장을 하는 방향으로 접근해 볼게요. 그래야 학교공부를 하는 방법들을 일상을 살아가는 방법들과 연결해서 생각하기에 조금 더 수월하거든요. 


◆ 대부분 학교생활과 사회생활은 다르다고 생각하는데 이 둘이 다르지 않다는 뜻이군요. 그러면 외우는 공부방법에 대한 것으로 시작해 주실 수 있을까요? 


- 앞서 외우는 공부가 어려운 이유를 감정 없이 주제를 외우려고만 하기 때문이라고 하셨는데 정확하게 짚으셨어요. 실제로 공부가 어려운 이유가 바로 주제를 외우려고만 하는 데서 오죠. 


◆ 외우는 것이 왜 어려운거죠? 


- 외운다는 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생각해볼까요? 앞서 감정이 무뎌졌을 때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과 연결해서요. 


◆ 글쎄요? 어떻게 연결할 수 있을까요? 서로 다른 이야기 같은데요. 


- 아니요. 서로 연결이 되어있어요. 그것도 아주 강한 상관관계로요. 감정이 무뎌지면 두뇌가 정보를 분석해서 거르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결론으로 질러간다고 했었죠?


◆ 예. 그랬죠. 그러면 과정을 건너뛰고 결론으로 바로 직행한다는 것이 외우는 것과 같다는 뜻인가요? 


- 맞아요. 결론의 뜻이 결과가 나와 있다는 것이잖아요? 그러니까 학생들의 두뇌에서는 정보처리의 과정이 빠진 채 받아들여야 하는데 이렇게 과정이 없이 결과로 직행하는 것이 외우는 것이죠. 


◆ 그러니까 정리하자면, 학교 수업에서 다루는 주제들이 결과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들이니까 과정이 없이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데 이렇게 받아들이려는 두뇌의 작용이 바로 외우는 것이라는 뜻이군요. 그러면 외우는 것이 힘든 이유는요? 


-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정보를 처리할 때 생각의 과정을 건너뛰면 정보를 감정의 형태로 바꿔서 저장을 해야 해요. 예를 들면 사과를 먹고 맛있다는 생각이 처음 들었다면 ‘사과 = 맛있는 과일’로 저장이 되죠. 그런데 ‘사과’라는 단어는 단지 이름일 뿐이기 때문에 실체가 없어요. 이 부분은 후에 조금 더 이야기 하고, 실체가 빠진 이름은 사용하지 않으면 두뇌에서 금방 사라지죠. 사과는 너무 흔한 과일이니까 조금 다른 예로, 여행을 갔는데 그 곳에서 새로운 동물이나 과일 등을 접하고 이름도 들었다고 가정해볼게요. 여행에서 돌아와 시간이 지나면 새롭게 접했던 동물이나 과일, 건물의 이름, 거리의 이름 등은 점차 사라지죠. 이렇게 두뇌는 이름을 잘 기억하지 못해요. 항상 사용하거나 접하는 것들이 아닌 경우에는 특히요. 물론 진화의 과정에서 남다른 기억력을 가지고 태어나는 사람들도 있지만요. 


◆ 그러면 감정이라는 정보처리를 통해 기억을 하면 남는 것은 ‘맛있는 과일’인가요? 


- 맞아요. 바로 맛있었던 과일에 대한 기억만 남죠. 


◆ 무슨 말인지 알 것 같아요. 들어오는 정보를 감정으로 처리하면 감정에 대한 기억만이 남고 이름은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군요. 하지만 아직 풀리지 않은 부분은 학교공부의 주제가 왜 기억에 남지 않는가에 대한 의문이거든요. 


- 앞서서 사과라는 단어가 기억에 남지 않는 이유가 이름만 있고 감정이 없어서라고 했었죠? 


◆ 예, 그랬죠. 


- 학교에서 다루는 주제들은 감정이 들어가 있지 않다고도 했고요? 


◆ 그랬죠. 그러면 공부의 주제에는 감정이 없으니까 정보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뜻인가요? 그렇다면 공부를 잘하는 사람들은요? 어떻게 정보를 기억하죠?


- 그 내용이 알려져 있었다면 공부를 힘들어 하는 사람들의 수가 적겠죠? 사람들은 어렴풋이 짐작은 해도 전체적인 그림은 지금까지 볼 수 없었어요. 


◆ 민 박사님은 그러면 조각들을 다 맞춰서 큰 그림을 보여주실 수 있나요? 


- 물론이죠. 지금까지 세상에 존재하던 공부방법을 개발할 수 있었던 이유도 큰 그림을 볼 수 있었기 때문이거든요. 


◆ 그러면 외우는 공부가 힘든 이유를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 두뇌가 하나의 정보를 처리해서 효과적으로 저장하려면 우선 연결고리가 필요해요. 


◆ 연결고리요? 어떤 연결고리인가요? 혹시 실생활과 관련해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인가요? 가르치는 사람들이 수업의 효율을 늘리기 위해 주제를 실생활에 연결해서 가르치는 경우가 있다고 들었거든요. 또 이런 방법으로 가르쳤을 때 효율이 높다고도 들었어요. 


- 예. 그 부분도 해당이 되요. 가르쳐주는 사람이 주제들을 마치 진주를 하나씩 꿰어 목걸이를 만들 듯 각 개념들을 연결해서 학생들에게 전달해주면 학생들은 쉽고 재미있게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어요. 자신이 만들지 않아도 전문가인 가르치는 사람이 만들었으니 훨씬 모양도 예쁘니까 거부할 이유가 없겠죠. 이런 수업방법이 유명한 강사들의 사용하는 방법이에요. 


◆ 그렇군요. 이해가 가요. 유명한 강사들이 인기가 있는 이유가 쉽고 재미있게 가르치기 때문인데 자세히 들어보면 수업의 내용이 물 흐르듯 끊어지지 않고 잘 흐르는 것 같거든요. 그런데 이것도 일부라고 한다면 다른 것이 또 있다는 뜻인데 무엇인가요?  


- 앞서 만들어진 진주 목걸이는 가르치는 사람들이 만든 거잖아요. 학생이 스스로 만든 것이 아니고요. 그러니까 잘 가르치는 강사가 없으면 학생들은 스스로 진주목걸이를 만들지 못하겠죠?


◆ 가르치는 사람에 따라 학생들의 수준이 달라진다는 뜻이군요. 그렇다면 학생 스스로 진주 목걸이를 만들어야 한다는 뜻인가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8건 1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6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천마도와 천마총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1962
3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원효와 의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5 3995
36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방법을 바탕으로 자녀 등 학생을 가르치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5 2010
36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709
36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여행시대를 향한 진일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344
36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훈련과정 보충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훈련의 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230
36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라의 민정 문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6838
36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훈련과정 보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1945
36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백강 전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3738
35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럭체인과 비트코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412
35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총 정리 – 1단계,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훈련 + 5감을 바탕으로 지식을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1865
35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공주 공산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3287
35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총 정리 – 1단계,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훈련 + 5감을 바탕으로 지식을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1991
35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일본 열도로 건너간 백제 사람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749
3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살인 한파를 몰고 온 '폭탄 사이클론' 그레이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490
35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총 정리 – 1단계,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훈련 + 5감을 바탕으로 지식을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557
35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785
35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공부의 핵심,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564
35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정림사지 5층 석탑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5202
3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7년도 과학계 10대 이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547
34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의 과정에서 필자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092
34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조영이 건국한 발해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0 3873
34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에 있어서 이 칼럼의 용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0 2034
34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과거는 필요 없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3206
3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핼리팩스 대폭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3336
34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분과 고분 벽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 2486
34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를 세우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329
34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인간의 여섯 번째 그리고 일곱 번째 감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199
34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폭발 직전의 발리 아궁화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961
33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원초적 본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197
33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불교가 들어오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4176
33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단계별 총 정리 - 서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2771
33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서옥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4007
33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유전자를 내맘대로 재단하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2880
33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를 공부에 활용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1959
33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오녀산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4252
33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의 사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2098
33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조선(기원전 2333년~기원전 108년)의 8조법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4156
33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10월의 마지막 날 밤. 할로윈(Halloween)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1572
32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일어난 감정이 표출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1936
32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조선의 왕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6 3008
32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감정 조절과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6 1895
32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문으로 세상을 보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1911
32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성자 별의 충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2488
32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합성어 쪼개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1847
3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노벨상의 이모저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613
32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글쓰기 방법 - Rephrase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74
3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7 · 4 남북 공동 성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1696
32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6 · 25 전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306
31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발견에 공헌한 3인에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412
31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이유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044
31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한민국 정부 수립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3091
31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물은 당연히 섭씨 100도씨에서 끓는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8709
31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호기심이 줄어드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1967
31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윤봉길 의사와 이봉창 의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2933
31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키시니, 그 장대한 여정의 마지막을 불사르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976
31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깨달음’은 내 안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861
31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294
31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 7대 브로이 공작, 루이 빅토르 피에르 레몽 드 브로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777
30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답을 찾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607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