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라의 민정 문서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라의 민정 문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01-31 16:50 조회6,711회 댓글0건

본문

본 고을 사해점촌은 넓이가 5725보이다. 호수는 모두 11호이다. 사람 수는 모두 147명이다. 이 가운데 예부터 있었던 사람과 지난 3년 사이에 태어난 사람을 합하면 145명이다. 정은 29명(사내종 1명), 조자 7명(사내종 1명), 추자 12명, 소자 10명이다. 지난 3년 사이에 늘어난 사람은 소자 5명, 제공 1명이다. 정녀는 42명(계집종 5명), 조 여자 11명(계집종 1명), 추 여자 9명, 소 여자 8명이다. 지난 3년 사이에 늘어난 사람은 소 여자 8명(계집종 1명), 제모 2명, 노모 1명이다. 지난 3년 사이에 다른 마을에서 이사 온 사람은 모두 2명인데, 추모 1명, 소자 1명이다. 

* 연령구분 : 소(1~9세), 추(10~12세), 조(13~15세), 정(16~57세), 제(58~60세), 노(60~ )

 

  말은 모두 25마리이다. 예부터 있었던 것이 22마리이고, 지난 3년 사이에 늘어난 말이 3마리이다. 소는 모두 22마리인데, 예부터 있었던 것이 17마리이고, 지난 3년 사이에 늘어난 소가 5마리이다.

 

  논은 모두 102결이다. 관모답이 4결이고, 내시령답이 4결이다. 백성이 소유하고 있는 논은 94결이다. 이 가운데 촌주가 가진 논이 20결이다. 밭은 모두 62결이다. 모두 백성이 소유하고 있다. 삼밭(인삼밭)은 1결이다.

 

  뽕나무는 모두 1004그루이다. 지난 3년 사이에 더 심은 것이 90그루이고, 예부터 있었던 것이 914그루이다. 잣나무는 모두 120그루이다. 지난 3년 사이에 더 심은 것이 34그루이고, 예부터 있었던 것이 86그루이고, 호두나무는 모두 112그루이다. 지난 3년 사이에 더 심은 것이 38그루이고, 예부터 있었던 것이 74그루이다.

 

  연호의 변동 상황을 보니, 허락을 받고 이사 간 사람이 모두 5명이다. 정이 1명, 소자 1명, 정녀 1명, 소 여자 1명, 제모가 1명이다. 개별적으로 이사 간 사람이 모두 7명인데, 정이 2명, 소 여자 1명, 추자 1명, 소자 1명, 정녀 1명, 정비 1명이다. 죽은 자는 10명이다. 소자가 3명, 사내종 1명, 정녀 1명, 소 여자 1명, 노모 3명, 제모 1명이다. 팔았다고 보고한 것이 1명이다.

 

  없어진 것이 확실하여 보고된 것이 말이 2마리이다. 죽었다고 보고한 소는 모두 4마리이다."

                                                              《통일 신라 민정 문서》

 

  통일 신라 시대는 촌락의 토지 크기, 인구 수, 소와 말의 수, 토산물 등을 파악하는 토지 문서를 만들고, 조세(수확량의 10분의 1정도), 공물(촌락 단위로 특산물을 납부), 부역(16세에서 60세까지의 남자가 징발) 등을 거두었으며, 변동 사항을 조사하여 촌주가 3년마다  문서를 다시 작성하였다. 이 문서를 민정 문서라고 한다.

 1933년 10월에 일본 동대사(도다이 사)의 정창원에서 "화엄경론질"의 겉장을 수리하던 중 신라 시대 4개 촌의 사정을 기록한 2매의 문서가 발견되었다. 755년경의 통일 신라 시대의 문서이다. 신라 장적, 신라 촌락 문서라고도 한다. 오늘날 충북 청주 부근 4개 촌의 사정이 촌의 이름과 넓이, 가구, 인구, 우마(소와 말), 토지, 수목 등의 순으로 기재되어 있다. 당시 촌락의 경제 상황과 국가의 세무 행정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문서 작성 목적은 노동력과 생산 자원을 철저히 관리하여 조(곡식), 용(노동력), 조(특산물) 부과에 효율성을 기하기 위한 것이었다. 

* 촌주

신라 때 지방민을 효율적으로 다스리려고 지방의 유력자에게 준 지방 행정 조직의 말단 관직이다. 이들은 대개 10~13등급에 해당하는 관등을 가진 4, 5두품 신분에 해당하였다. 촌주는 자연 촌락 2~3개를 관할하면서 대개 중앙에서 파견한 지방관을 보좌하며 지방의 행정 업무를 담당하였다. 즉, 촌주는 지방관이 조세를 징수하거나 축성을 비롯한 각종 역역에 필요한 지방민의 동원을 도움으로써, 중앙 권력이 지방에 침투하는 매개 역할을 맡았다. 촌주는 이러한 직역(어떤 직업의 영역이나 범위)의 대가로 중앙 정부로부터 촌주위답이라는 토지를 받았다. 이후 중앙의 통제가 약화되는 신라 말기에 이르면 촌주는 점차 중앙의 통제에서 벗어났고, 이들 가운데 유력한 층은 스스로 대감, 장군 등이라 부르며 지방의 유력한 호족 세력으로 성장, 고려 왕조의 성립에 유력한 기반이 되었다.

 

  가구 수는 어떻게 산정하였을까? 

신라에서는 개별 가구 1 ~ 3개를 합하여 공연이라고 하였으며, 각 촌에는 10 ~ 15개의 공연이 있었다. 공연당 인구는 8 ~ 12명 정도였다. 공연은 9등호제로 구분되었다. - 상상호(13명), 상중호(12명), 상하호(11명), 중상호(10명), 중중호(9명), 중하호(8명), 하상호(7명), 하중호(6명), 하하호(5명)까지로 나누었다. 신라는 이를 촌락별 점수인 계연으로 환산하여 특산물 공납을 부과하는 기준으로 삼았다.

 

  촌락의 인구는 어떻게 표시하였을까? 

촌민은 크게 양인과 노비, 남자와 여자로 나누어 그 숫자를 기재하였다. 특히, 사람은 남녀별로 1등급(1~5세), 2등급(6~10세), 3등급(11~15세), 4등급(16~60. 정남), 5등급(61~70세), 6등급(71~ )으로 구분하고(정남녀, 조자녀, 추자녀, 소자녀, 제공모, 노공모), 16세에서 60세의 남자(정남)의 연령을 기준으로 나이에 따라 6등급으로 구분하여 기록하였다. 호(가구)는 사람의 많고 적음에 따라 상상호(한 집에 정남의 숫자을 무려 13명까지 파악, 인구가 적은 당시로서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숫자인데 이것은 정부에서 그만큼 노동력 확보에 혈안이 되어 있었다는 증거이다. 노동력을 확보하려 한 것은 기술의 정체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에서 하하호(한 집에 정남의 숫자가 5명)까지 9등급으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기록된 4개 촌은 호구 43개에 총인구는 노비 25명을 포함하여 442명(남 194, 여 248)이며, 소 53마리, 말 61마리, 뽕나무 4249그루 등의 재산을 소유하고 있었다.

 

  토지는 어떻게 기록하였을까?

각 촌락에는 지목별로 토지 결수가 기재되어 있는데, 지목으로는 연수유전 ․ 답(정전. 15세 이상의 남자에게 나누어 주던 토지), 촌주위답(촌주), 내시령답(내시령), 관모전 ․ 답(왕실, 관청 수조지, 농민 공동 경작), 마전(삼베를 공납으로 수취하기 위하여 설정한 토지) 등 토지의 종류와 면적을 기록하였다. 마전을 제외한 나머지 토지는 국가 직역과 관련된 토지이다. 네 촌락에는 총 310결과 248결 정도의 연수유전 ․ 답이 있어서 이를 기준으로 조세 액수가 결정되었다.

 

  가축과 나무의 숫자는 얼마나 되었을까?

민정 문서에는 공연(개별 가구 1 ~ 3개를 합한 것)당 2 ~ 3마리 정도의 많은 소와 말이 기재되어 있다. 이는 경작 활동에 소가 절대적으로 많이 필요하고, 이들 촌에 군마(군대에서 쓰는 말)의 사육 의무가 부과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민정 문서에는 뽕나무, 잣나무, 가래나무 등의 숫자가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이들 나무에 대한 파악은 특산물 납부를 위한 기준을 설정하는 것과 관련 있다.

 

  한편 촌락의 인구는 남자의 수가 적고 사망률이 높아 감소의 추세를 보이고 있다. 몇 장에 지나지 않는 분량이지만 통일 신라 시대의 토지 제도를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서 당시의 율령(법률) 정치가 한때는 질서정연했다는 사실을 말해 주고 있다.

 

 

 

 

 

* 정창원

창건연대는 쇼무왕대인 덴뵤 연간(729~749)으로 추정되며 왕실의 유물창고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1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6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여행시대를 향한 진일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270
36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훈련과정 보충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훈련의 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135
열람중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라의 민정 문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6712
36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훈련과정 보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1872
36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백강 전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3641
35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럭체인과 비트코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343
35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총 정리 – 1단계,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훈련 + 5감을 바탕으로 지식을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1799
35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공주 공산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3203
35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총 정리 – 1단계,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훈련 + 5감을 바탕으로 지식을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1928
35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일본 열도로 건너간 백제 사람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639
3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살인 한파를 몰고 온 '폭탄 사이클론' 그레이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402
35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총 정리 – 1단계,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훈련 + 5감을 바탕으로 지식을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497
35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713
35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공부의 핵심,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492
35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정림사지 5층 석탑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5099
3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7년도 과학계 10대 이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445
34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의 과정에서 필자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037
34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조영이 건국한 발해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0 3770
34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에 있어서 이 칼럼의 용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0 1977
34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과거는 필요 없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3150
3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핼리팩스 대폭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3248
34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분과 고분 벽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 2384
34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를 세우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250
34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인간의 여섯 번째 그리고 일곱 번째 감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139
34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폭발 직전의 발리 아궁화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883
33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원초적 본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110
33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불교가 들어오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4063
33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단계별 총 정리 - 서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2716
33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서옥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3925
33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유전자를 내맘대로 재단하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2795
33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를 공부에 활용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1896
33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오녀산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4159
33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의 사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2039
33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조선(기원전 2333년~기원전 108년)의 8조법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4084
33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10월의 마지막 날 밤. 할로윈(Halloween)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1510
32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일어난 감정이 표출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1869
32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조선의 왕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6 2950
32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감정 조절과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6 1833
32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문으로 세상을 보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1855
32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성자 별의 충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2423
32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합성어 쪼개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1787
3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노벨상의 이모저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40
32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글쓰기 방법 - Rephrase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36
3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7 · 4 남북 공동 성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1641
32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6 · 25 전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220
31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발견에 공헌한 3인에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352
31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이유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002
31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한민국 정부 수립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3021
31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물은 당연히 섭씨 100도씨에서 끓는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8638
31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호기심이 줄어드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1917
31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윤봉길 의사와 이봉창 의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2880
31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키시니, 그 장대한 여정의 마지막을 불사르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911
31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깨달음’은 내 안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834
31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248
31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 7대 브로이 공작, 루이 빅토르 피에르 레몽 드 브로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711
30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답을 찾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565
30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중근의 동양 평화론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2362
3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기하고 위험한 액체 질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4270
306 화려하고 웅장한 성당 그리고 예수의 가르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1551
30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제자리를 맴도는 주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650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