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2)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2)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6-07-07 12:43 조회1,705회 댓글0건

본문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상대를 '가르친다'는 개념은 동등한 인격체와의 소통 방해하는 원인​

 

지난 주 칼럼에서 언급했듯 감정이라는 것은 생존을 이어가기 위한 본능의 하나입니다. 과연 수천만 년 동안 진화를 통해 생존을 공고히 하도록 발달해 온 감정을 조절한다는 것이 쉬울 수 있을까요?

 

이러한 이유로 부모와 자녀 사이의 감정문제로 인한 갈등이나 싸움에 관한 사례를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접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역으로, 부모가 자녀를 대할 때 화 또는 분노와 같은 감정을 조절할 수 있다면 부모로서 자녀들과 원만한 관계를 이루는 것은 물론, 나아가 이를 통해 자녀들 또한 감정에 치우치지 않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끌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자녀를 대할 때 화 (분노 등 포함)를 내는 원인을 살펴보고 이어지는 칼럼에서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하겠습니다.

 

부모가 자녀를 대할 때 감정에 치우치는 이유는 셀 수 없을 만큼 다양할 것입니다. 따라서 이 칼럼에서는 설명이 쉽도록 일반적으로 벌어지는 단편적인 예를 들어 살펴보고 그것을 조금 더 확장을 해 보겠습니다.

 

예) 한 엄마 (또는 아빠)가 ‘책상은 이렇게 정리하고 입었던 옷은 이렇게 해!’라고 아이에게 이야기합니다. 그랬더니 아이는 ‘잔소리 좀 그만해요!’라고 답합니다. 엄마는 화가 나서 ‘엄마에게 말버릇이 그게 뭐야! 다 너 잘되라고 하는 소리야’라며 아이를 나무랍니다.

 

독자 여러분께서는 이 갈등의 시작은 누구이며 왜 이러한 갈등이 발생했다고 생각하시나요? 시작한 사람은 엄마(부모)입니다. 그런데 아이가 평상시 부모가 말한 대로 (책상, 옷 정리) 행동했다면 잔소리를 들을 이유가 있었을까요? 실상 자녀의 행동이 부모로 하여금 자녀에게 ‘이렇게/저렇게 해라’라는 주문으로 이어지는 원인을 제공했으므로, 부모는 이러한 주문을 잔소리로 받아들이는 아이에게 화가 났다고 볼 수 있고 또 부모의 관점에서 보면 부모가 자녀에게 화를 내는 것이 당연해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정말 부모의 감정이 자녀에게서 시작된 것일까요?

 

부모에게 ‘책상 정리는 이렇게 해야 한다’라는 생각이 없었다면 자녀를 나무랄 일이 있었을까요? 부모에게 ‘이러한 것은 이렇게/저러한 것은 저렇게 해야 한다’와 같은 생각으로 자녀를 본인의 기준에 맞게 고치려 (혹은 가르치려) 하지 않았다면 아이를 나무랄 일이 없을 것입니다. 많은 부모들이 이렇게 자녀들을 가르쳐야 하는 대상으로 본다는 사실에 어렵지 않게 동의할 것입니다.

 

진화의 과정 속에서 ‘먹어도 되는 것/먹으면 탈이 나는 것’처럼 가르침이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온 것이 사실입니다. 굳이 인류의 진화를 들먹이지 않아도 ‘가정교육을 잘 받은 사람’이라는 것이 사회적 성공에 플러스요인이 될 수 있음을 감안하면 부모의 ‘가르침’이란 것이 부모로서 마땅해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자녀를 위한 ‘가르침’이 왜 자녀에게 잔소리로 들리며, 효과적 이기는커녕 부모와 자녀 사이의 관계에서 갈등이나 싸움을 야기 시키는 결과를 가져 올까요?

 

‘가르침’이란 말 속에는 ‘내가 위에 있으니 넌 내 말을 듣고 따라야 해!’와 같은 접근법이 내포돼 있다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자녀를 가르친다’라는 생각은 곧 자녀를 나와 동등한 인격체로 존중하는 것이 아니라 나보다 못한 사람으로 미리 정의 내리고 자신의 생각대로 가르쳐서 바꾸려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을 가진 사람이 과연 ‘배우는 나’를 존중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을까요? 부모는 자녀의 말과 행동 때문에 화를 낸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는 부모 자신들이 자녀들 보다 위라는 것을 강조하고 확인하려는 과정에서 가르침을 주는 자로서의 계급/계층이 자녀들에게서 무시됐을 때 화라는 감정이 일어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마치 직장 상사가 부하직원으로부터 무시당했다는 생각이 들 때 화를 내는 것과 맥락을 같이 합니다. 그렇다면 자녀들을 무시하지 않으면 감정에 치우칠 확률을 줄일 수 있지 않을까요?  <계속>

 

민동필.gif

글/민동필 박사

 

저자소개

민동필 박사는 미 워싱턴 주립대에서 생화학 박사 학위를 받고 코넬대학의 의대인 웨일의과대학에서 박사 후 과정을 마쳤다. 이후 컬럼비아대학에서 연구원, 캐나다 국립연구소 연구원을 거쳤고 지금은 밴쿠버에서 교육연구소 ‘PonderEd’ 를 운영하고 있다.  <604-838-3467>  or starlee07@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5건 1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0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사고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1775
30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2035
3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2164
30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2040
301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 3 우선순위 파악하기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1697
30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과 동물의 삶은 다르지 않다?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1654
29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1760
29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과 동물의 삶은 다르지 않다?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3 1780
29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기계화 되어가는 학생들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0 1640
29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1537
29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기계화 되어가는 학생들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1324
29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지 않는 두뇌능력으로 이루어진 피라미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4 1761
29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 1934
29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나만의 세상에 빠져 사는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 1935
291 [김바울 교육컨설팅] 특례교육컨설팅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1739
29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논리적이지 않은 논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1485
28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7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1527
28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도자의 자격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4 2065
28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도자의 자격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2 1853
286 [김바울 교육컨설팅] 특례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1659
28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절두산(切頭山) 순교성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213
28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지닌 지도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8 1764
28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종류의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5 1717
28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루어 나가는 두뇌능력을 소유한 지도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2 1892
2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울진 봉평비, 영일 냉수리비, 포항 중성리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2445
28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인을 넘어선 지도자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9 1486
27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인을 넘어선 지도자 2 (중도, 방법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1528
27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왕조실록, 세계 천문학계 보물됐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1562
27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도 (방법)은 결과가 아닌 사고의 과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2 1634
27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도는 행복과 기쁨의 삶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9 1448
2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서울의 백제 고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1678
27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쁨과 행복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5 1837
27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삶의 주인으로 산다는 것은 행복이 아닌 도전과 고통의 길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4 1669
27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복궁-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1733
27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은 경쟁의 최전선에서 상대와 겨룰 수 있는 힘의 원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1 2228
2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복궁-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2146
26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 vs. 막연한 목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1347
26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형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를 수 있는 공부 방법의 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6 1510
26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호기심은 두뇌 발달의 시작, 하지만 답을 찾는 방법을 익히지 못하면 호기심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1 1537
26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어우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722
26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방법을 찾는 두뇌능력은 문명과 과학기술 발달의 원동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1151
26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방을 통해 배우는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1134
26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명대사(유정)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1584
26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방으로 배울 수 없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259
26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방을 통해 배우는 두뇌능력과 사고력은 차원이 다른 두뇌의 기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9 1149
26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궁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552
25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한계를 뛰어넘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1276
25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고 노력해도 공부한 내용이 기억에 남지 않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3 1176
25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여진 정벌과 9성 개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2281
25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과 성적은 지식과 개념의 차이에서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1268
25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과 성적은 지식과 개념의 차이에서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165
25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토정 이지함(1517 ~ 157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1170
25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초점을 둔 공부가 야기하는 사회문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1082
25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는 두뇌능력을 반영하는 거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1074
25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나일본부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6 1682
25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초점을 둔 교육은 세뇌와 다르지 않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7 1167
24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타인의 판단을 받아들이는 것 vs. 내가 내리는 판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1152
24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내 삶의 주인이 된다는 것은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키우는 과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1109
24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오리 이원익 대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359
24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종류의 행복한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1103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