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과 중독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과 중독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2-09-29 14:31 조회949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과 중독


◆ 욕망이 강하면 원하는 것을 얻고자 떼를 쓰거나 집착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만일 원하는 것을 얻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는 두뇌의 힘을 가진다면 경쟁에서 이길 수 있어 집착이 줄어들 것이라는 생각은 들어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집착이 전혀 없을 것 같지는 않거든요. 예를 들어 강을 건너고자 방법을 생각하는 경우 방법을 찾는 것에 집착을 할 수도 있으니까요. 이런 경우는 어떻게 설명을 할 수 있을까요? 


- 중독이 되는 경우를 묻는 것 같군요. 


◆ 글쎄요? 집착을 한다고 해서 모두 중독이라고 볼 수는 없는 것 아닌가요?


- 물론 집착과 중독은 다르죠. 하지만 집착과 중독을 정확하게 구분해서 설명을 해 놓은 내용도 현재로서는 없는 것으로 보여요. 그렇다보니 사람들은 집착과 중독을 혼동해서 사용하는 것 같고요.  


◆ 집착과 중독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나요?  


- 집착은 일단 내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강한 욕망이라고 볼 수 있어요. 그래서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죠.


◆ 예를 들자면 어떤 것이 있나요? 


- 요즘 뉴스에서 가끔 전해지는 스토킹 범죄가 여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죠. 


◆ 알 것 같네요.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에게 집착해서 원하는 것을 이루려는 욕망을 집착으로 보면 되겠네요. 그런데 아까 집착과 중독을 사람들이 구분 없이 사용한다고 하셨잖아요? 집착으로 인해 스토킹을 하는 경우는 중독하고는 완전히 다른데 어떻게 구분이 안 될 수 있죠? 


- 도박중독에 대해 들어봤죠? 


◆ 그럼요. 도박에 중독되면 말 그대로 가진 것 다 잃고도 정신을 못 차린다고 하잖아요. 


- 하지만 도박중독도 집착과 중독으로 나뉠 수 있어요.  


◆ 도박중독을 집착으로도 분류할 수도 있다고요? 어떻게요? 


- 목적이 돈을 버는 것이라면 중독이라기보다는 집착에 가깝다고 봐야죠. 스토킹을 하는 경우와 비슷하게요. 


◆ 그러니까 집착의 대상이 돈이냐 아니면 사람이냐의 차이일 뿐 같은 현상이기 때문에 집착이라고 봐야 한다는 뜻이군요?


- 예.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하는 욕망은 같지만 대상이 다를 뿐이니까요.  


◆ 그렇다면 도박으로 인해 자신의 인생뿐 아니라 가정까지 망가뜨리는 경우는 집착이라고 봐야한다는 뜻인가요? 


- 맞아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하는 동물적 욕망이 강해 집착이 생기고 그 집착이 강하기 때문에 결국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것이죠. 


◆ 그러면 약물 중독도 사실은 중독이 아니라 약에 대한 집착이라고 봐야하는 것인가요?  


- 시작은 집착이라고 볼 수 있지만 약의 특성이 두뇌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약으로 인한 중독이라고 볼 수 있어요. 약물의 경우 투약하고 나면 두뇌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니까요. 이 부분은 내용이 길어지니까 후에 따로 다루는 것이 어떨까 하네요. 


◆ 그러죠. 그러면 다시 집착으로 돌아가서 욕망이 강하면 집착이 생기고 집착이 생기면 원하는 것을 이루고자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경계선을 넘는다는 뜻인데 왜 이런 일이 벌어지나요? 


- 자신이 욕망을 채울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지 못해서라고 봐야겠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채울 수 있었다면 집착이 생기지 않을 테니까요.


◆ 그렇다면 집착이라는 단어 자체가 그 사람의 정신적 상태를 반영한다고도 볼 수 있겠네요?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하지만 얻지 못해서 불안정한, 마치 언제 터질지 모르는 폭탄을 앉고 있는 것 같이요? 


- 예. 그렇게 볼 수 있어요. 그래서 집착이 강한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그 욕망을 터뜨릴지 알 수 없어요. 


◆ 그러면 중독은요?


- 겉모습을 보면 중독과 집착을 구분하기는 어려워요. 도박을 예로 들자면 같은 자리에 앉아서 같이 도박을 하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두뇌에서 벌어지는 일은 다르죠. 


◆ 어떻게 다른가요? 


- 책에 중독이 되는 것, 일에 중독이 되는 것 등과 같이 도박에 중독이 되는 경우는 도박이라는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결과를 확인해 보고자 하는 욕망이 강해서 생기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어요. 


◆ 잘 이해가 안 되는데, 결과를 확인해 보려는 욕망이 무슨 뜻이죠? 


- 책을 읽는 이유가  무엇일지 생각해 보신 적 있나요? 


◆ 일단 재미있으니까요. 물론 모든 책이 다 재미있지는 않지만요.


- 책이 재미있어서 읽는다면 왜 재미있는지 생각해 볼까요? 


◆ 내가 모르던 새로운 지식을 접할 수 있고 또 다른 사람들의 생각도 볼 수 있으니까 그런 것 같아요. 


- 그렇죠? 내가 모르던 것을 알아가는 것이 재미있는 것이죠?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어요. 일에 중독이 되는 경우도 지금 하고 있는 일의 결과가 어떻게 나타날 지 궁금했는데 결과를 확인함으로서 새로운 지식을 얻기 때문에 일이 즐겁고 또 도박에 중독이 되는 경우도 도박을 하는 과정에서 나에게 원하는 카드가 들어올 것인지 그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이 재미있죠. 그래서 ‘쪼는 맛’이라는 표현도 있을 정도로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은 짜릿하죠. 또 다른 예로 제가 뉴욕에 있는 콜럼비아 대학에 과학자로 있을 때 제 보스의 경우를 이야기 할 수 있겠네요. 이 교수가 젊은 시절 미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 살고 있는 자신의 여자 친구 가족에게 인사를 하기위해 경유지를 거쳐 여자 친구 집으로 가던 중이었데요. 그런데 경유지 공항에서 실험 결과가 너무 궁금해 못 견뎌서 여자 친구를 혼자 보내고 자신은 표를 바꿔 되돌아왔다고 했거든요. 이 이야기는 제가 직접 들은 이야기에요. 


◆ 여자 친구를 혼자 가도록 두고 돌아올 정도로 실험 결과가 궁금했다는 뜻인데 어떻게 보면 진짜 도박에서의 쪼는 맛과 비슷한 것 같네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5건 1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0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를 세우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285
3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보 교환 수단의 미래- 양자 통신이란 무엇인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286
3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자연과학과 철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2289
30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측정의 기준-단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292
3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99년만에 찾아온 토탈 이클립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292
30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2296
2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숨겨진 세기의 발명가 – 테슬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2298
29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1 2300
29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여행시대를 향한 진일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304
2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달의 뒷면에 착륙한 인류 최초의 탐사선 ‘창어4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2304
295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우선순위만 잘 알아도 합격합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12
294 자녀교육 – 답을 찾을 수 있는 질문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2314
29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강화도 조약(1876, 조·일 수호 조규, 병자 수호 조약)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2314
29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동양의 파르테논, 종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315
29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방법을 바탕으로 자녀 등 학생을 가르치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316
2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야외 박물관 경주 남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320
28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과 분별 (내 탓)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9 2320
28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2 (두뇌의 작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320
28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2321
286 [ 과학 이야기] 에펠 탑의 과학자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7 2325
285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면접편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 2330
2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36
2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초끈 이론(Superstring theory)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339
28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볼라 바이러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342
281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2342
28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구조 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355
279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1. 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2366
27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발견에 공헌한 3인에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367
27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보살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367
27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질문의 종류와 기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369
2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 2374
274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 중급단계 주제를 다루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2376
27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2378
27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중근의 동양 평화론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2380
27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럭체인과 비트코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382
2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로운 거미줄의 세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2392
26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기초과정의 공부 방법을 응용하여 사고가 갇힌 상태를 스스로 확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2393
26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에 치우치면 사고력을 키울 수 없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2394
267 이공계열 단과대학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394
26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기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398
26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이 부족한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7 2399
26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401
26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2401
26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탄소연대 측정(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2402
26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최초의 한국 철도 – 경인선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2402
26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짜가 아닌 가짜뉴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414
259 [과학 이야기] 양성자 빔 암 치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2419
25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이력서 심사 30초면 결판…첫눈에 들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424
25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의 토지 제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 2426
2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드레스 색깔의 차이(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2429
25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바꾼 질문에 부합하는 서술을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434
25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분과 고분 벽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 2437
25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장승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437
2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살인 한파를 몰고 온 '폭탄 사이클론' 그레이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439
25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7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442
25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울진 봉평비, 영일 냉수리비, 포항 중성리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2444
24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서술을 종합하여 나만의 정의를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448
2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성자 별의 충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2450
24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2 2457
24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458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