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4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4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9-10-31 09:11 조회2,294회 댓글0건

본문

식영정

 

80f72c9308162169dad6035ec2703432_1572538262_1828.JPG
 

 

 

정자의 위치는 무등산이 정면으로 바라보이는 성산이라 불리는 산언덕 위에 지어 주변의 아름다운 경관이 눈에 잘 뵈는 곳이다.

 

 

 

특히 원효계곡에서 내려온 물줄기가 성산의 주변을 감싸고 있어 천혜의 경관은 수많은 시인 묵객들을 이곳으로 불러들였다.

 

 

 

덕분에 식영정에서 가사 문학의 백미라고 하는 성산별곡이 탄생하였으며, 식영정에서 바라보이는 아름다운 경관 20가지를 임억령, 김성원, 정철, 고경명 등이 시로 엮기도 했던 곳이다.

 

 

 

식영정을 창건한 연대는 소쇄원보다는 30여 년 후인 1560년(명종 15년)에 세워졌다. 처음 식영정은 지금처럼 기와지붕이 아닌 초가로 만든 허름한 정자였지만 훗날 후손들이 지금과 같은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식영정을 건립한 사람은 식영정의 바로 아랫자락에서 살던 김성원이다. 김성원은 스승이자 장인인 임억령을 위하여 식영정을 지어주고 자신은 그 아랫자락에 서하당을 짓고 살았다.

 

 

 

현재 식영정의 관리는 정철의 후손이 하고 있는데, 이는 임억령이 말년에 해남으로 내려가고 이곳에서 임억령에게 시문을 배웠던 정철의 발자국이 깃들인 것을 기억하는 정철의 후손들이 관리하면서부터이다.

 

 

 

송강정, 환벽당, 식영정 이 세 곳을 정철의 후손들이 관리하고 있다.

 

 

 

임억령(1496~1568)이 담양 부사를 그만두고 성산에 머물렀는데 김성원이 정자를 지어주면서 이름을 부탁하자, ‘그림자를 쉬게 함’, 또는 ‘그림자를 끊음’이라는 의미로 [장자] 제물편에 나오는 말인 식영을 당호로 삼았다.

 

 

 

"나의 휴식처로 삼고

 

정자의 이름 지어줄 것을 나에게 청함에 내 이르기를,

 

그대는 장주(장자)의 말을 들었는가?

 

장주 이르되 옛날 그림자 두려워하는 자가 있었다.

 

그는 햇빛 아래에서 빠르게 도망가도

 

그림자는 끝까지 쉬지 않고 따라 왔다.

 

나무 그림자 아래에 들었더니 그림자는 문득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무릇 그림자는 물체의 형상이 되어 오직 사람의 형체를 따르기만 하여

 

사람이 굽히면 따라서 굽히고 일어서면 따라서 일어서며,

 

그밖에 가고 오고 다니며 머무는 일 등이 오직 형체가 하는 대로이다.

 

그러나 그늘에서나 밤이면 없어지고

 

불빛에서나 낮에만 생겨난다.

 

사람의 처세도 또한 이와 같다.

 

옛날에 이르기를

 

인생은 몽(꿈), 환(근심), 포(거품), 영(그림자)이라 하였다."

 

 

 

세상 영화를 일부러 버리고 산림에 묻혔던 임억령, 그는 나아갈 때와 물러날 때를 알았던 선비였다.

 

 

 

집주인인 석천 임억령은 김성원, 고경명, 정철 등에게 시문을 가르쳤으며, 성산(별뫼)의 아름다운 풍경을 소재로 한 식영정 20영과 서하당 8영 등을 지었던 분이다.

 

 

 

송강 정철은 이곳에서 식영정과 서하당 그리고 성산의 주변 경치를 읊은 한시들의 영향을 받아 국문 시가 <성산별곡>을 남겼는데 이는 전원 가사 또는 강호 가사의 백미로 꼽힌다.

 

 

 

▷ 성산별곡 ◁

 

1. 어떤 지날 손이 성산에 머물면서

 

서하당 식영정 주인아 내 말 듣소

 

인생 세간에 도흔 일 하건마는

 

어찌 한 강산에 가지록 나이 어겨

 

적막 산중에 들고 아니 나시는고

 

 

 

2. 송근을 다시 쓸고 죽상에 자리 보아

 

적은 덧 올라 앉아 어떤고 다시 보니

 

천변에 떳는 구름 서석을 집을 삼아

 

나는 듯 드는 양이 주인과 어떤한고

 

창계 흰 물결이 정자 앞에 둘렀으니

 

천손 운금을 뉘라서 버혀 내어

 

잇는 듯 펴치는 듯 헌사토 헌사할사

 

산중에 책력 없어 사시를 모르더니

 

눈 아래 헤친 경이 철철이 절로 나니

 

듣거니 보거니 일마다 선간이라

 

 

 

3. 매창 아적 볕에 향기에 잠을 깨니

 

산웅의 해을 일이 곧 없도 아니하다.

 

울 밑 양지편에 외씨를 삐혀두고

 

매거니 돋우거니 빗김에 달화내니

 

청문 고사를 이제도 있다. 할다.

 

망혜를 배야 신고 줒장을 흩어지니

 

도화 핀 시냇길이 방초주에 이어세라

 

닦볶은 명경중 절로 그린 석병풍

 

그림자 벗을 삼고 새와로 함께 가니

 

도원은 여기로다 무릉은 어데메오

 

 

 

4. 남풍이 건 듯 불어 녹음을 헤쳐 내니

 

절 아는 꾀꼬리는 어디로서 오돗던고

 

희황 베개 위에 풋잠을 얼풋 깨니

 

공중 젖은 난간 물 위에 떠 있고야

 

마의를 의믜차고 갈건을 기우 쓰고

 

구부락 비기락 보는 것이 고기로다

 

하룻밤 빗기운에 홍백련이 섞어 피니

 

바람기 없어서 만산이 향기로다.

 

염계를 마주 보아 태극을 묻잡는 듯

 

태을진인이 옥자를 헤혔는 듯

 

노자암 바라 보며 자미탄 곁에 두고

 

장송을 차일 삼아 석경에 앉아하니

 

인간 유월이 여기는 삼추로다

 

청강에 떴는 오리 백사에 옮아 앉아

 

백구를 벗을 삼고 잠깰 줄 모르나니

 

무심코 한가함이 주인과 어떠한고

 

 

 

5. 오동 서리 달이 사경에 돋아 오니

 

천암 만학이 낮인들 그러할까

 

호주 수정궁을 뉘라서 옮겨 온고

 

은하를 건너 뛰어 광한전에 올랐는 듯

 

짝 맞은 늙은 솔란 조대에 세워 두고

 

그 아래 배를 띄워 갈대로 더져 두니

 

홍뇨화 백빈주 어느 사이 지나관데

 

환벽당 용의 소가 배 앞에 닿았느니

 

꺼강 녹초변에 소먹이는 아이들이

 

어위를 겨워 단적을 비끼 부니

 

물 아래 잠긴 용이 잠깨어 일어날 듯

 

내끼에 나온 학이 제 깃을 버리고

 

반공에 솓아 뜰 듯

 

소선 적벽은 추칠월이 좋다 하되

 

팔월 십오야를 모다 어찌 과하는고

 

섬운이 사권하고 물결이 채잔적에

 

하늘에 돋은 달이 솔 위에 올랐으니

 

잡다가 빠진 줄이 적선이 헌사할사

 

 

 

6. 공산에 쌓인 잎을 삭풍이 걷우불어

 

떼구름 거느리고 눈조차 몰아 오니

 

천공이 호새로와 옥으로 꽃을 지어

 

만수천림을 꾸며곰 낼세이고

 

앞여울 가리 얼어 독목교 비꼈는데

 

막대 멘 늙은 중이 어느 절로 간단 말꼬

 

산옹이 이 부귀를 남다려 헌사마오

 

경요굴 은세계를 찾을 이 있을세라

 

 

 

7. 산중에 벗이 없어 황권을 쌓아 두고

 

만고 인물을 거살이 헤어하니

 

성현을 커니와 호걸도 하도할사

 

하늘 삼기실제 곧 무심할까마는

 

어찌 한시운이 일락배락 하였는고

 

모를일도 하거니와 애달음도 그지 없다.

 

기산의 늙은 고불 귀는 어찌 씻돗던고

 

일표를 떨친 후에 조장이 더욱 높다.

 

 

 

8. 인심이 낯 같아야 보도록 새롭거늘

 

세사는 구름이라 머흐도 머흘시고

 

엊그제 빚은 술이 어도록 익었나니

 

잡거니 밀거니 슬카장 거후로니

 

마음에 맺힌 시름 적으나 하리나다

 

거문고 시옭 얹어 풍입송 이야고야

 

손인동 주인인동 다 잊어버렸어라

 

장공에 떴는 학이 이 골의 진선이라

 

요대 월하에 행여 아니 만나신가

 

손이서 주인다려 일오대 그대 진가 하노라

 

 

 

                                                                  송강 정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5건 1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0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를 세우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285
3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보 교환 수단의 미래- 양자 통신이란 무엇인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286
3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자연과학과 철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2289
30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측정의 기준-단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292
3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99년만에 찾아온 토탈 이클립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292
열람중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2295
2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숨겨진 세기의 발명가 – 테슬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2298
29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1 2300
29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여행시대를 향한 진일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304
2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달의 뒷면에 착륙한 인류 최초의 탐사선 ‘창어4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2304
295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우선순위만 잘 알아도 합격합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12
294 자녀교육 – 답을 찾을 수 있는 질문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2314
29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강화도 조약(1876, 조·일 수호 조규, 병자 수호 조약)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2314
29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동양의 파르테논, 종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315
29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방법을 바탕으로 자녀 등 학생을 가르치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316
2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야외 박물관 경주 남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320
28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과 분별 (내 탓)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9 2320
28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2 (두뇌의 작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320
28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2321
286 [ 과학 이야기] 에펠 탑의 과학자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7 2325
285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면접편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 2330
2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35
2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초끈 이론(Superstring theory)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339
28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볼라 바이러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342
281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2342
28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구조 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355
279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1. 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2366
27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발견에 공헌한 3인에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367
27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보살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367
27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질문의 종류와 기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369
2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 2374
274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 중급단계 주제를 다루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2376
27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2378
27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중근의 동양 평화론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2380
27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럭체인과 비트코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382
2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로운 거미줄의 세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2392
26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기초과정의 공부 방법을 응용하여 사고가 갇힌 상태를 스스로 확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2393
26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에 치우치면 사고력을 키울 수 없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2394
267 이공계열 단과대학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394
26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기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398
26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399
26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이 부족한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7 2399
26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2401
26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탄소연대 측정(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2402
26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최초의 한국 철도 – 경인선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2402
26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짜가 아닌 가짜뉴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414
259 [과학 이야기] 양성자 빔 암 치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2418
25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이력서 심사 30초면 결판…첫눈에 들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424
25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의 토지 제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 2426
2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드레스 색깔의 차이(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2429
25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바꾼 질문에 부합하는 서술을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433
25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분과 고분 벽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 2437
25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장승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437
2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살인 한파를 몰고 온 '폭탄 사이클론' 그레이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439
25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7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442
25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울진 봉평비, 영일 냉수리비, 포항 중성리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2443
24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서술을 종합하여 나만의 정의를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448
2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성자 별의 충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2450
24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2 2457
24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458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