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정몽주(1337~1392)와 정도전(1342~1398)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정몽주(1337~1392)와 정도전(1342~1398)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2-06-30 08:10 조회1,088회 댓글0건

본문


758783364_fVUrZy0G_c36706491d6a34c03b604c92ffb9d196a226c0bc.jpg

정몽주


758783364_JRYkluGz_cb5fa4ed6c2d321ec9b62f0b04fcc42b7f4920e0.jpg 

정도전

 

정몽주는 정도전보다 다섯 살 위였다과거에도 2년 앞서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아갔다한두 살 비슷한 또래가 아니라 다섯 살이나 많았다정도전이 목은 이색 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닦을 때 정몽주는 이미 목은 이색을 대신하여 강의할 정도의 대선배였다정도전은 정몽주로부터 유학 사상을 정확히 이해하는데 큰 가르침을 받았으며나중에 이렇게 쓰기도 했다. “정몽주 선생과 출입을 같이하고그 뒤 오랫동안 함께 지내며 보고 느낀 바가 깊었으니 선생은 내가 가장 잘 안다.”

 

두 사람이 가까운 사이가 된 것은 공민왕 때 성균관이 재건되어 같이 성균박사로 임명된 이후였다그 둘은 이인임 일파에 의해 친명 반원파로 몰려 귀양을 가기도 하였다그 당시 정도전은 정몽주에게 이런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

 

마음을 같이 한 벗이여굳은 지조를 지켜 평생 서로 잊지 말기로 합시다.”

 

이인임(李仁任, ?~1388)은 고려 시대 말기의 권신(權臣)이다그는 이성계의 최대 정적 중 하나였다그는 한때 신돈(고려 말 승려 출신 정치가)의 문하에 있었으며홍건적과 원나라의 최유 등을 물리쳤고우왕을 섭정하고 문하시중까지 올랐으나 최영과 이성계에 의해 실각하였다그는 이성계의 사위였던 이제의 백부이다.

 

정몽주가 명나라 사신으로 먼 길을 떠나야 할 때정도전은 귀양에서 풀려 방황하고 있던 참이었다그때 정몽주는 자기 서장관으로 정도전을 추천하여 함께 명나라에 다녀왔는데그로 인해 정도전은 종3품 성균쇄주 겸 지제고로 발탁되어 재기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두 사람은 같은 친명 반원파이며 유학을 통한 반불교 개혁파였으나스승인 목은 이색이 공민왕 사후 창왕을 옹립하면서 정몽주는 온건개혁파로정도전은 역성 혁명파로 갈라서게 되었다.

 

온건개혁파 고려 왕조는 존속시킨 채 개혁하자는 이색정몽주 중심의 세력

역성 혁명파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새 왕조를 새로 세워야 한다는 정도전조 준 중심의 세력

 

사실 정도전이 이성계에게 몸을 의탁하게 된 것도 정몽주 때문이었다예전에 이성계의 조전원수(고려 후기의 군사 지휘)로서 그의 군사적 능력을 인정하고 있던 정몽주가 정처 없이 떠도는 정도전을 이성계에게 추천한 것이었다그러나 역사는 어떻게 흘러갔던가정도전은 이성계의 일급 참모가 되어 그의 역성혁명을 앞장서 도왔고그 과정에서 위화도회군이방원의 정몽주 암살정권 탈취고려조 붕괴와 조선 왕조 개국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조선 왕조가 일어서는 데는 정도전의 힘이 컸다모든 일에 그가 힘써 큰 업적을 이루었으므로 참으로 으뜸가는 공신이었다그러나 도량이 좁아 남을 시기하고또 겁이 많았다그래서 자기보다 나은 사람을 꼭 해치려 하고옛날에 감정을 품었던 사람에게는 기어코 보복하려 하였다.

<조선왕조실록>

 

예로부터 인군(人君임금)과 신하가 서로 잘 만나기란 어려운 일이었다제자(帝者)가 다스리던 시대에는 인군과 신하가 모두 성인(聖人)이어서 서로 의견 대립이 없이 정사를 논의하여 화락한 정치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왕자(王者)가 다스리던 시대에도 군신(君臣)이 모두 현인(賢人)이어서 서로 정사에 부지런히 힘써서 융성하고 태평한 시대를 이루었다패자(覇者)가 다스리던 시대에는 인군이 신하만 못하였으나 신하에게 전권을 맡겨서 일대의 공업(功業)을 이룰 수 있었다.

정도전의 <조선경국전>

 

정도전은 패자(霸者이후의 정치에서는 재상이 전권을 가져야만 올바른 정사가 펼쳐질 수 있다고 보고 재상의 나라를 소망했던 것이다정도전은 조선 왕조 500년 가운데 가장 우뚝 솟은 혁명가요 큰 선비임은 분명하지만유학이라는 사상이 가지는 한계는 인식조차 하지 못했다자신의 우물 속에서 본 하늘이 전부인 줄 알고 간 것이다.

 

그런가 하면이방원(훗날 태종)에게 죽임을 당한 정도전의 최후는 태조실록에 기록됐지만그 진실은 알 수 없다고 한다

 

당시 우리나라에 수입된 경서는 다만 <주자집주>가 있을 뿐이었는데정몽주는 그것을 유창하게 경론(硬論하여 다른 이들의 의견보다 뛰어났다이에 사람들이 적잖이 의심하더니그 후 원의 호병문이 쓴 <사서통>을 구해 참조해 본즉 (정몽주의 강론과합치되지 않는 점이 없으므로 여러 선비가 더욱 탄복하였다.

<고려사>

 

정몽주는 재질이 비상하게 높고 기개와 절개가 뛰어나게 호매(豪邁성질이 호탕하고 인품이 뛰어나다)하며 충효 대절(大節대의를 위하여 목숨을 바쳐 지키는 절개)을 지켰고젊었을 때 부지런히 공부하고 성리학을 연구하여 조예가 매우 깊었다당시에는 국가에 사고가 많고 정무가 호번(浩繁넓고 크며 번거롭게 많다)하였으나정몽주는 대사를 처리하고 큰 의문을 해결함에 있어서도 음성과 안색이 변하지 않고 이리저리 응답하는 것이 모두 실정에 알맞았다그때 풍속은 상사나 제사에 오로지 불교의 예법을 숭상하였는데정몽주가 비로소 일반 양반이나 서민들로 하여금 <주자가례>에 의거하여 가묘를 세우고 조상에게 제사를 드리게 하였다.

<고려사>

 

포은 정몽주그는 예리한 국제적 감각을 지닌 외교관 겸 정치가로서 우뚝한 이름을 청사에 남겼다쓰러져 가는 사직의 대들보로서 중원과 일본을 오가며 펼친 활약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였으나한편 성리학적 가치관에서 탈피하지 못한 한계를 보여 주었다.

 

주공을 따르고자 하는 이름에서 드러났듯이 그의 정신적 토대는 민족 전통의 것보다는 화이(華夷중국 민족과 그 주변의 오랑캐)관에 가까웠다따라서 그의 개혁성은 근본적으로 보수적 성격을 띠었고요동 정벌을 반대하고 명에 대한 사대 원칙을 고수했으니 이른바 주체성과 진취적 전망은 모자랐다고 볼 수 있다그러므로 쇠잔한 고려 왕조와 더불어 침몰할 수밖에 없는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정몽주와 정도전은 공교롭게도 같은 56세 나이에 이방원에게 죽임을 당했다흥미로운 점은 뒷날 이방원의 처사였다즉위 첫해에 이방원은 자기가 죽인 정몽주를 만고 충신이라며 영의정으로 추증하고 문충(文忠)이란 시호를 내렸지만정작 정도전에 대해서는 만고역적으로 내몰았다.

 

한때는 벗이었지만 적이 된 정몽주와 정도전결국 정몽주는 비극적 최후를 맞고새로운 나라 조선이 세워지며 정도전은 역성혁명의 역사를 쓰게 됐다.

하지만 조선의 기틀을 다지고 설계한 정도전과 조선을 반대하고 고려를 지키려 한 정몽주의 운명은 죽음 후 180도 뒤바뀌었다정도전은 간신’, 정몽주는 충신으로 조선 왕조 500년 내내 불리게 된 것이다과연 조선의 설계자 정도전이 간신으로 평가받은 이유는 무엇일지이들의 뒤바뀐 운명의 배경에 궁금증이 증폭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1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확한 진단의 양면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971
3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항일 의병 운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8 10347
30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두산정계비, 간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4867
3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줄다리기 승패는 신발이 좌우한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6476
300 공부가 쉬운 주제가 가진 이면 - 욕심, 그리고 욕심을 넘어서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1682
29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독립 협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690
29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99년만에 찾아온 토탈 이클립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275
297 [공부의 주제를 선택하는 방법]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답을 찾는 훈련을 할 수 있는 공부의 주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927
29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정신문화와 물질문화의 균형을 이룬 실학 댓글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892
29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인공지능의 번역능력과 인간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944
2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를 마음대로 내리게 할 수 있다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830
29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과 이순신 댓글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4393
29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천재들의 공통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3783
29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불변의 진리였던 플로지스톤-진리가 아니었던 진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3889
2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아버지를 아버지라고 부르지 못한 노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1820
28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를 서술에서 배제하는 훈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1565
2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조실록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3683
2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기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373
28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관찰 후 서술의 필요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1681
28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2374
28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덜 익은 햄버거의 용혈성 요독 증후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1933
28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관찰력을 늘리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3384
28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병자호란과 남한산성 십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2759
28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내가 지식으로서 알고 있다는 생각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727
28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156회] 꿈이 알려준 과학적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763
27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깨닫는 것’ -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882
27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창덕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961
27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동양의 파르테논, 종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292
2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보 교환 수단의 미래- 양자 통신이란 무엇인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265
27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육하원칙을 바탕으로 하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819
274 [알기 쉽게 풀어 쓰는 한국사] 33. 조선 왕릉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3004
27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측정의 기준-단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274
27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공부의 원동력 = 호기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1835
271 엘리트 어학원 미국대학 입시 전략 설명회 및 장학생 시상식 안슬기 수습기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1731
2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파리기후협정이 뭐길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100
26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주제의 핵심요소 찾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1763
268 [알기 쉽게 풀어 쓰는 한국사] 32. 한국의 전통 건축 이해하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3573
267 [알기 쉽게 풀어 쓰는 한국사 수업] 31. 고려 시대 여성의 지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5207
26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세상을 두려워 해야 하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116
26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알파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061
26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30.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해인사 장경판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3876
26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에서 실행되는 실험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4154
26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듣기 훈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4645
26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개념을 연결하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603
26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트레스로 인한 어지럼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054
259 [알기 쉽게 풀어 쓰는 한국사 수업] 29. 상정고금예문과 직지심체요절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5118
258 [알기 쉽게 풀어 쓰는 한국사 수업] 28. 왕오천축국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4887
25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건강식품도 독이 될 수 있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709
25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구체적인 공부 방법을 나누겠습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127
25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당신의 뇌를 깨우는 모닝커피 한 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782
25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7. 신라의 황룡사 9층탑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4072
25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6. 경주 석굴암 본존 불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4500
252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안 돼! 하지 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1741
25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음의 질량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4473
25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5. 불국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2856
2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꿈의 소재 그래핀이 열어가는 무한한 가능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4978
24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네가 알아서 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1867
247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나무를 나무라고 부르는 이유 그리고 자녀교육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1642
24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4. 신라의 건국 이야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1727
24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3. 익산 미륵사지 석탑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842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