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과 중독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과 중독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2-09-29 14:31 조회991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과 중독


◆ 욕망이 강하면 원하는 것을 얻고자 떼를 쓰거나 집착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만일 원하는 것을 얻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는 두뇌의 힘을 가진다면 경쟁에서 이길 수 있어 집착이 줄어들 것이라는 생각은 들어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집착이 전혀 없을 것 같지는 않거든요. 예를 들어 강을 건너고자 방법을 생각하는 경우 방법을 찾는 것에 집착을 할 수도 있으니까요. 이런 경우는 어떻게 설명을 할 수 있을까요? 


- 중독이 되는 경우를 묻는 것 같군요. 


◆ 글쎄요? 집착을 한다고 해서 모두 중독이라고 볼 수는 없는 것 아닌가요?


- 물론 집착과 중독은 다르죠. 하지만 집착과 중독을 정확하게 구분해서 설명을 해 놓은 내용도 현재로서는 없는 것으로 보여요. 그렇다보니 사람들은 집착과 중독을 혼동해서 사용하는 것 같고요.  


◆ 집착과 중독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나요?  


- 집착은 일단 내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강한 욕망이라고 볼 수 있어요. 그래서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죠.


◆ 예를 들자면 어떤 것이 있나요? 


- 요즘 뉴스에서 가끔 전해지는 스토킹 범죄가 여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죠. 


◆ 알 것 같네요.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에게 집착해서 원하는 것을 이루려는 욕망을 집착으로 보면 되겠네요. 그런데 아까 집착과 중독을 사람들이 구분 없이 사용한다고 하셨잖아요? 집착으로 인해 스토킹을 하는 경우는 중독하고는 완전히 다른데 어떻게 구분이 안 될 수 있죠? 


- 도박중독에 대해 들어봤죠? 


◆ 그럼요. 도박에 중독되면 말 그대로 가진 것 다 잃고도 정신을 못 차린다고 하잖아요. 


- 하지만 도박중독도 집착과 중독으로 나뉠 수 있어요.  


◆ 도박중독을 집착으로도 분류할 수도 있다고요? 어떻게요? 


- 목적이 돈을 버는 것이라면 중독이라기보다는 집착에 가깝다고 봐야죠. 스토킹을 하는 경우와 비슷하게요. 


◆ 그러니까 집착의 대상이 돈이냐 아니면 사람이냐의 차이일 뿐 같은 현상이기 때문에 집착이라고 봐야 한다는 뜻이군요?


- 예.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하는 욕망은 같지만 대상이 다를 뿐이니까요.  


◆ 그렇다면 도박으로 인해 자신의 인생뿐 아니라 가정까지 망가뜨리는 경우는 집착이라고 봐야한다는 뜻인가요? 


- 맞아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하는 동물적 욕망이 강해 집착이 생기고 그 집착이 강하기 때문에 결국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것이죠. 


◆ 그러면 약물 중독도 사실은 중독이 아니라 약에 대한 집착이라고 봐야하는 것인가요?  


- 시작은 집착이라고 볼 수 있지만 약의 특성이 두뇌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약으로 인한 중독이라고 볼 수 있어요. 약물의 경우 투약하고 나면 두뇌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니까요. 이 부분은 내용이 길어지니까 후에 따로 다루는 것이 어떨까 하네요. 


◆ 그러죠. 그러면 다시 집착으로 돌아가서 욕망이 강하면 집착이 생기고 집착이 생기면 원하는 것을 이루고자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경계선을 넘는다는 뜻인데 왜 이런 일이 벌어지나요? 


- 자신이 욕망을 채울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지 못해서라고 봐야겠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채울 수 있었다면 집착이 생기지 않을 테니까요.


◆ 그렇다면 집착이라는 단어 자체가 그 사람의 정신적 상태를 반영한다고도 볼 수 있겠네요?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하지만 얻지 못해서 불안정한, 마치 언제 터질지 모르는 폭탄을 앉고 있는 것 같이요? 


- 예. 그렇게 볼 수 있어요. 그래서 집착이 강한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그 욕망을 터뜨릴지 알 수 없어요. 


◆ 그러면 중독은요?


- 겉모습을 보면 중독과 집착을 구분하기는 어려워요. 도박을 예로 들자면 같은 자리에 앉아서 같이 도박을 하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두뇌에서 벌어지는 일은 다르죠. 


◆ 어떻게 다른가요? 


- 책에 중독이 되는 것, 일에 중독이 되는 것 등과 같이 도박에 중독이 되는 경우는 도박이라는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결과를 확인해 보고자 하는 욕망이 강해서 생기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어요. 


◆ 잘 이해가 안 되는데, 결과를 확인해 보려는 욕망이 무슨 뜻이죠? 


- 책을 읽는 이유가  무엇일지 생각해 보신 적 있나요? 


◆ 일단 재미있으니까요. 물론 모든 책이 다 재미있지는 않지만요.


- 책이 재미있어서 읽는다면 왜 재미있는지 생각해 볼까요? 


◆ 내가 모르던 새로운 지식을 접할 수 있고 또 다른 사람들의 생각도 볼 수 있으니까 그런 것 같아요. 


- 그렇죠? 내가 모르던 것을 알아가는 것이 재미있는 것이죠?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어요. 일에 중독이 되는 경우도 지금 하고 있는 일의 결과가 어떻게 나타날 지 궁금했는데 결과를 확인함으로서 새로운 지식을 얻기 때문에 일이 즐겁고 또 도박에 중독이 되는 경우도 도박을 하는 과정에서 나에게 원하는 카드가 들어올 것인지 그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이 재미있죠. 그래서 ‘쪼는 맛’이라는 표현도 있을 정도로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은 짜릿하죠. 또 다른 예로 제가 뉴욕에 있는 콜럼비아 대학에 과학자로 있을 때 제 보스의 경우를 이야기 할 수 있겠네요. 이 교수가 젊은 시절 미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 살고 있는 자신의 여자 친구 가족에게 인사를 하기위해 경유지를 거쳐 여자 친구 집으로 가던 중이었데요. 그런데 경유지 공항에서 실험 결과가 너무 궁금해 못 견뎌서 여자 친구를 혼자 보내고 자신은 표를 바꿔 되돌아왔다고 했거든요. 이 이야기는 제가 직접 들은 이야기에요. 


◆ 여자 친구를 혼자 가도록 두고 돌아올 정도로 실험 결과가 궁금했다는 뜻인데 어떻게 보면 진짜 도박에서의 쪼는 맛과 비슷한 것 같네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7건 13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성자 별의 충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2485
24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살인 한파를 몰고 온 '폭탄 사이클론' 그레이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486
24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울진 봉평비, 영일 냉수리비, 포항 중성리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2491
24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500
24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국제 단위계의 재정의 Huge change, but no chang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510
24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2511
241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입사 1차 관문 통과, 이력서가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519
24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로왕비 허황옥은 인도에서 왔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2524
23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525
23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나만의 정의를 바탕으로 주제를 확장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2527
23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엘니뇨와 BC주 가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3 2528
236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의 공부 방법 종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1 2528
23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주 감은사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530
234 [과학 이야기] 전기 뱀장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2533
233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용 서명 전에 연봉·복리 조건 협상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538
23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2541
23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7년도 과학계 10대 이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542
23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545
229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교육컨설팅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545
22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선택 그리고 정의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51
22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시간이란 무엇인가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2551
22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총 정리 – 1단계,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훈련 + 5감을 바탕으로 지식을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552
22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티븐 호킹, 블랙홀 수수께끼의 잠금쇠를 열고 그 안에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557
22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공부의 핵심,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560
22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종이 땡땡땡, 서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566
22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69
22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과 사고력은 두 개의 다른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2573
22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글쓰기 방법 - Rephrase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73
21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용의 꿈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2573
218 [CELPIP의 모든 것] '북미식 발음, 스피킹은 ‘인터뷰’ 아닌 컴퓨터 ‘레코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2574
217 [CELPIP 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8 2577
21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 공부, 그리고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2578
21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1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2579
21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컴퓨터 과학의 아버지 앨런 튜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579
213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울어야 얻는다'…당당히 요구해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579
2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몽유도원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93
2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이트데이 아니 파이데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593
21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595
2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하와이 노동 이민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8 2600
20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생리의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601
2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옥시데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2604
20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답을 찾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606
20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607
2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쌍둥이 패러독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2607
2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노벨상의 이모저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607
20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의 핏줄 김유신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2610
2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밤 하늘은 왜 어두울까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0 2615
20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과 국학(국어, 한국사) 운동의 전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615
19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5감과 6하 원칙을 바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꾸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622
19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630
197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서술을 구체적으로 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2638
1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외핵의 흐름과 지구 자기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643
19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라 왕궁 월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2648
1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54
193 헬륨 가스의 음성 변조, 그 이면에 숨은 과학의 비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0 2654
19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개념을 연결하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659
191 [CELPIP 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2664
1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696
18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두뇌 속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2700
1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706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