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3-03-22 13:29 조회997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 자신의 내면에 존재하는 원하는 것을 찾아가는 사람은 명품이나 권력을 가지려는 욕망도 없다고 하셨는데,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금전이나 권력을 소유하지 않아야 하는 것 아닌가요? 그런데 반대라고요? 그러면 금전이나 권력을 더 원한다는 뜻인가요? 

   

- 아니요. 이루고자 하는 것이 자신의 내면세계에 있으니 외부로부터 찾지 않으니까 금전이나 권력과 같이 외부로부터 오는 욕망은 굳이 원할 이유가 없겠죠. 진짜가 내 안에 있는데 나를 오히려 옭아매는 재력이나 권력을 따라갈 이유가 없으니까요. 

   

◆ 그러면 돈과 권력을 소유하는 것과 내면세계의 원하는 것을 찾아가는 것은 어떤 관계가 있나요? 

   

- 자신이 추구하는 것은 자신에게 있으니 돈이나 권력이 있고 없음에 연연하지 않는다는 뜻이에요. 돈과 권력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나를 찾아가는 길을 가고 있는지의 여부가 중요한 거죠. 

   

◆ 그러면 돈과 권력이 필요한 것은 아니잖아요? 그러니까 돈과 권력을 소유하면 안 되는 것 아닌가요? 

   

- 내가 살아가는 삶이 모든 사회와 동떨어져 있는 상황이라면 굳이 돈도 권력도 필요가 없겠죠. 하지만 주변에 사람들이 있잖아요. 그 사람들 중에는 나와 공감하는 사람, 나와 함께 하고자 하는 사람, 나를 괴롭히는 사람, 나를 자신의 아래에 두고 부리려는 사람, 나와 비교해서 자신의 우월함을 나타내려는 사람 등 많은 종류의 사람이 있을 텐데 이런 상황에서 내가 가진 것이 아무것도 없다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 글쎄요? 나와 함께하려는 사람들이 많으면 모르겠지만 나를 부리려는 사람이나 내 위에서 권력을 휘두르려는 사람이 있으면 그 사람들에게 말 그대로 자신들이 가진 것도 별 볼일 없음을 보여주면 되는 것 아닌가요? 

   

- 물론 그 방법이 가장 이상적인 접근법이죠. 하지만 그러한 접근법은 사람들이 내 말을 듣고 이해할 수 있을 때 가능하죠. 그러니까 어느 정도의 생각을 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나 통해요. 

   

◆ 그러면 어떤 사람들을 예로 드신 건가요? 

   

- 가진 것이 너무 없어 지금 자신의 삶이 힘들고 괴로운 사람들은 가진 것이 없기 때문에 다른 생각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요. 물론 가지지 못한 모든 사람들이 그렇다는 것이 아니라 확률이 높다는 거니까 이 부분은 짚고 넘어갈게요. 

   

◆ 그러면 반대로 가진 사람들의 대부분은 내가 한 말을 듣고 이해할 수 있는 사람들인가요? 

   

- 아니요. 그렇지 않아요. 가진 사람들 중에서도 권력이나 돈이 자신의 가치를 대변해 준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그것들에 대한 집착이 강해서 아무리 이야기를 해도 듣지를 못하죠. 

   

◆ 그러니까 어느 쪽이든 집착이 강한 사람들은 내 이야기를 듣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군요? 하지만 이 내용이 돈이나 권력하고 어떻게 연결이 되죠? 

   

- 앞서 자신의 내면세계를 찾아가는 사람들은 외부로부터 얻고자 하는 욕심이나 욕망으로 인한 갈등이 적다고 했잖아요? 이러한 방법이 알려지고 많은 사람들이 물질과 같은 외부로부터 오는 욕망이 아닌 자신의 내면세계를 들어다보는 훈련을 한다면 사회가 어떻게 될까요? 

   

◆ 갈등이나 싸움이 줄어들겠죠.

   

- 그렇겠죠. 그리고 삶의 고통은 이러한 갈등이나 싸움에서 비롯되니까 내 삶의 고통에서도 벗어날 수 있겠죠? 

   

◆ 그럴 것 같아요. 하지만 아직 돈이나 권력이 있고 없음에 대한 이야기는 나오지 않았네요. 

   

- 아까 이야기 한 것처럼 생각이 있는 사람들은 그래도 나의 이야기를 듣고 방법을 물으면서 자신들의 삶도 바꾸려고 하겠죠. 하지만 집착이 강해 이야기를 듣기는커녕 그저 뜬구름 지나가는 소리로 듣는 사람들은 어떻게 할까요? 

   

◆ 글쎄요? 어떻게 하죠? 

   

- 그때 필요한 것이 내가 가지고 있는 것들이에요. 

   

◆ 왜요? 

   

- 돈, 권력 그리고 이제는 지식도 포함할게요. 지식도 여기에 해당하니까요. 이러한 것에 대한 집착이 강한 사람들이 보이는 특징이 뭔지 아세요? 

   

◆ 글쎄요. 지금까지 들은 내용이 있어 알 것 같기도 한데 정확하게 설명하기는 어렵네요. 

   

- 바로 자신보다 더 가진 사람들에 대한 복종이에요. 자신이 생각하기에 자신보다 지식이 많아 뛰어나서 그 사람을 마음속의 스승이라고 생각하면 그 사람에게 복종하며 자신을 낮추고, 자신보다 직책상 위에 있으면 그것에 복종하는 등 더 가진 사람들에게 복종하는 거죠. 이런 사람들은 자신이 복종하고 따르는 사람에 대한 무시나 싫은 소리를 강하게 거부해요. 심지어는 호칭에서 마저도 조금이라도 존경의 의미가 내포되어있지 않으면 화를 내면서 참지를 못하죠. 마치 자신이 섬기는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결사대와 같이요.

   

◆ 기억나는 것 같아요. 그런 사람들의 또 다른 특징이 자신보다 가지지 못한 사람들을 무시하고 명령하면서 가르치려 하는 거죠? 자신이 따르는 스승이 있으면 그 사람에 대한 존경을 보여야 한다고 강요도 하고요. 직장에서는 스승이 자신의 직장 상사일 테고요. 

   

- 맞아요. 그러니까 이런 사람들에게 내가 가진 것이 적어 보이면 나를 무시하거나 나를 가르치려 들겠죠? 그러니까 가진 것이 나를 이런 사람들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하는 한 방법이 될 수 있어요. 

   

◆ 잠깐만요. 나를 보호하는 방법이라는 말에서 이야기의 핵심을 놓친 것 같은데 왜 그런지 설명해 주시겠어요? 저는 오히려 반대로 그 사람들을 가르칠 만큼 가져야 한다고 생각했거든요. 

   

- 물론 내가 가진 것이 더 많아지면 자연스럽게 상대방이 머리를 숙이겠죠. 자신보다 더 가졌으니까요. 하지만 내면의 세계를 찾아가는 과정은 공부를 해 나아가는 과정이지 권력과 같은 것을 휘두르기 위함이 아니에요. 문제는 내가 가진 것이 적다고 생각되면 생각이 부족한 상대방은 나를 통해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할 수 있다는 거예요. 

   

◆ 자신보다 약해보이니까 사냥감으로 여긴다는 뜻인 것 같은데 그래서 방어를 위한 수단이라고 하신 거로군요. 

   

- 맞아요. 생각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해 도전을 할 상대를 찾지만 생각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반대로 약한 상대에 집착하거든요?

   

◆ 알 것 같기는 한데 조금 더 설명이 필요할 것 같아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6건 13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4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2 2473
24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울진 봉평비, 영일 냉수리비, 포항 중성리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2478
24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492
24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2501
24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국제 단위계의 재정의 Huge change, but no chang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504
241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입사 1차 관문 통과, 이력서가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511
24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513
23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나만의 정의를 바탕으로 주제를 확장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2516
23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로왕비 허황옥은 인도에서 왔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2516
23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주 감은사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520
23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엘니뇨와 BC주 가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3 2522
23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7년도 과학계 10대 이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523
234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의 공부 방법 종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1 2524
233 [과학 이야기] 전기 뱀장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2527
23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용 서명 전에 연봉·복리 조건 협상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528
23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2531
23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선택 그리고 정의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36
229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교육컨설팅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537
22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시간이란 무엇인가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2538
22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539
22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총 정리 – 1단계,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훈련 + 5감을 바탕으로 지식을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541
22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공부의 핵심,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542
22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티븐 호킹, 블랙홀 수수께끼의 잠금쇠를 열고 그 안에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542
22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종이 땡땡땡, 서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549
2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과 사고력은 두 개의 다른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2561
2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용의 꿈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2562
22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63
219 [CELPIP의 모든 것] '북미식 발음, 스피킹은 ‘인터뷰’ 아닌 컴퓨터 ‘레코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2563
21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 공부, 그리고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2564
21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컴퓨터 과학의 아버지 앨런 튜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564
21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1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2568
21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글쓰기 방법 - Rephrase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68
214 [CELPIP 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8 2569
213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울어야 얻는다'…당당히 요구해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573
2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몽유도원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80
21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584
21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585
20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이트데이 아니 파이데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585
20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생리의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590
2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노벨상의 이모저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91
20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하와이 노동 이민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8 2593
20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옥시데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2594
20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답을 찾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598
2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쌍둥이 패러독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2602
20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의 핏줄 김유신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2603
2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밤 하늘은 왜 어두울까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0 2603
20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과 국학(국어, 한국사) 운동의 전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606
19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5감과 6하 원칙을 바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꾸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609
19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618
197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서술을 구체적으로 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2623
1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외핵의 흐름과 지구 자기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630
19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라 왕궁 월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2632
194 헬륨 가스의 음성 변조, 그 이면에 숨은 과학의 비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0 2644
19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45
19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개념을 연결하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652
191 [CELPIP 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2657
1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688
18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두뇌 속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2690
1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693
1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과 미래의 직업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69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