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를 위해 목표를 세우는 방법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를 위해 목표를 세우는 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2-05-05 11:23 조회916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를 위해 목표를 세우는 방법


◆ 일반적으로 학교공부는 뗏목을 만드는 방법을 가르치잖아요. 그런데 이러한 교수법이 뗏목을 만드는 방법을 찾는 공부와는 다르다는 것인가요? 


- 그 부분이 사람들이 오해하고 있는 부분이에요. 뗏목을 만드는 방법을 배우는 공부와 뗏목을 만드는 방법을 찾거나 생각하는 공부와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요. 


◆ 뗏목을 만든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기술을 익힌다는 뜻인데 그러면 BCIT와 같이 직업을 목표로 세워진 학교에서 배우는 것이 공부라는 뜻인가요? 


- 여기서 교육을 두 가지로 나눠서 설명해야 할 것 같네요. 뗏목을 만드는 방법을 배우는 공부는 직업을 목적으로 기술을 배우는 공부인 반면 일반 대학은 뗏목을 만드는 방법을 찾거나 생각할 수 있는 두뇌능력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봐야 해요. 


◆ 잘 이해가 가지 않는데 뗏목을 만드는 방법을 배우는 교육이 기술을 익히는 과정이라는 부분은 이해가 가는데 뗏목을 만드는 방법을 찾거나 생각하는 방법을 배우는 곳이 일반 대학이라고요? 


- 예. 맞아요. 하지만 이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이유는 현재 거의 대부분의 대학들이 학생들에게 미래의 직업을 얻는데 필요한 내용에 초점을 두어 가르치기 때문이에요. 한 마디로 말하면 대학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는 뜻이죠. 


◆ 조금 더 쉽게 설명해 주시겠어요? 


- 먼저 구분해야 하는 것은 뗏목을 만들 때 뗏목을 만드는 방법을 이미 알고 있는 사람으로부터 배우는 것은 공부가 기술을 배우는 공부이고 뗏목이 없는 상태에서 뗏목이라는 것을 디자인하고 실험하면서 만들어가는 공부가 대학의 공부라는 점이에요. 


◆ 아니 학교에서 배울 때에는 뗏목을 만드는 방법을 이미 알고 있는 사람에게 배우는 것이 당연한 것 아닌가요? 그렇지 않으면 어떻게 뗏목을 만들어요? 


- 만일 누군가가 가르쳐준 대로 따라서 뗏목을 만든다면 과연 내가 사고력을 사용해서 만들었다고 할 수 있을까요? 


◆ 아닐 것 같기는 하지만 다른 방법이 없잖아요. 몰랐던 것을 배우는데 가르쳐준 대로 따라야 배울 수 있는 것 아닐까요? 


- 그러한 공부는 한 기술을 익히는 데 초점을 둔 학교에서 볼 수 있는 교육이죠. 이미 알려진 기술을 배워서 직장을 잡고자 한다면 몰랐던 기술을 아는 사람으로부터 배워서 후에 직장을 잡을 수 있으니까요. 


◆ 그러면 뗏목을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요? 


- 앞서 이야기 한 것처럼 먼저 뗏목을 만들 목적 또는 목표가 필요해요. 


◆ 이해는 가요. 강을 건너가서 낚시를 하려면 뗏목과 같이 물을 건널 도구가 필요하니까요. 


- 맞아요. 하지만 목표를 세울 때 주의해야 할 것이 있어요. 목표는 내가 지금 필요한 것과 직결된 것이라야 해요. 뗏목을 만드는 이유와 목표를 혼동하면 뗏목을 만드는 방법을 생각하는 과정이 어려워져요. 


◆ 무슨 뜻이죠? 


- 예를 들어 낚시를 하고자 강을 건너려 할 때 낚시는 강을 건너려는 이유죠. 그런데 이 이유를 목표라고 착각하면 뗏목을 만들 방법을 찾기보다는 낚시에 매달려서 지금 현재 필요한 것을 찾아가는 사고의 과정과는 멀어질 수 있거든요. 그러니까 강을 건너려는 이유인 낚시가 목표가 아닌 ‘강을 건너겠다!’가 목표가 되어야죠. 


◆ 뗏목은 강을 건너는 도구이니까 강을 건너겠다는 현재 내가 당면한 것을 목표로 삼으라는 뜻이군요. 낚시는 강을 건넌 다음에 가능한 것이니까요. 


- 맞아요. 다음으로는 스스로 강을 건너기 위한 방법을 찾는 것이에요. 즉, 뗏목을 고안하는 과정이죠. 


◆ 이미 알고 있는 사람에게 배우면 빠를 것을 왜 굳이 뗏목을 스스로 고안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죠? 쉽고 빠른 길을 두고 굳이 사서 고생하는 길로 접어들 필요가 있나요? 


- 바로 그러한 생각이 공부를 어렵게 해요. 뗏목을 만드는 법을 배우면 빠르고 쉬울 수 있지만 강을 건널 때 얼마나 큰 크기의 뗏목이 필요한 지 또 어떤 나무를 써야 하는 지 등 물에 뜨는 도구를 제작할 때 필요한 요소들을 찾아 이유와 근거를 바탕으로 생각하는 과정이 빠지게 되죠. 


◆ 그래도 결과는 아는 사람한테 물어서 배웠을 때 더 빠르잖아요. 낚시도 바로 할 수 있으니까 원하는 고기도 잡을 수 있고요. 


- 물론 그렇죠. 알려진 기술을 배우고 익히면 빠르게 원하는 것을 성취할 수 있어요. 그것이 고기를 잡는 것처럼 내가 배운 기술을 사용하는 일을 하는 삶이 내가 원하는 삶이라면 말이죠. 하지만 스마트폰을 만드는 회사들이 매번 같은 기술로 같은 제품을 만들던 가요? 


◆ 아니죠. 항상 새로운 기술로 새로운 제품을 만들죠. 


- 그러면 기존에 존재하는 스마트폰을 만드는 기술을 배워 익혀서 스마트폰을 만드는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 신제품 개발이 과제로 주어진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 글쎄요? 밤새 고민하고 또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겠죠. 개발자들의 삶이 이렇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거든요. 


- 어딘가 이상하지 않아요? 내가 배운 기술을 사용해서 금방 만들면 되는데 왜 고민하고 새로운 시도를 해야 할까요? 


◆ 그 부분은 생각을 해 보지 못했네요. 왜 그렇죠?


- 그 이유는 기존의 뗏목이 아닌 새로운 뗏목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죠. 문제는 기존의 뗏목을 만드는 방법은 배웠는데 새로운 뗏목을 고안하는 즉, 생각하는 방법은 배운 적이 없다는 거예요. 


◆ 그러니까 뗏목을 만들 때 무엇을 왜 어떻게 고려해야 하는 지 등은 배운 적이 없고 그저 뗏목을 만드는 방법만을 배웠기 때문이라는 뜻이죠? 


- 맞아요. 그것이 앞서 예를 들었던 하버드 대학의 마이클 샌델 교수의 교수법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이유에요. 샌델 교수는 실제로 학생들로 하여금 스스로 뗏목을 고안하는 두뇌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무엇이 왜 어떻게 필요한 지를 학생들 스스로 생각해 내도록 가르치니까요. 그래서 이 사람의 강의를 들어보면 샌델 자신이 ‘뗏목은 이렇게 만드는 거야’라고 직접적으로 가르치지 않고 서로 논쟁을 통해 뗏목을 만드는 방법을 생각해 내도록 가르치죠. 


◆ 그러면 민 박사님의 주장은 대학교육은 샌델 교수처럼 무엇인가를 고안해 낼 수 있는 사고력을 가르쳐야 한다는 것인가요? 


- 맞아요. 그래야 학생들이 비판적 사고나 창조적 사고가 가능한 두뇌능력을 키울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이러한 두뇌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새로운 제품이나 전략을 세우고 실행을 시킬 수 있는 지도자가 될 수 있고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13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4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2. 백제 금동 대향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203
24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1. 백제의 무령왕릉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126
242 [알기 쉽게 풀어 보는 한국사 수업] 추모(주몽)의 아들 온조가 세운 세운 백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27
241 [보석 이야기] 2016년은 로즈 골드(rose gold) 골드가 대세 !! 박한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3899
240 [이근백의 캐나다 생활 이모저모] 건강하게 여행 떠나는 방법, 무엇일까요 ? 이근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986
239 [이근백의 캐나다 생활 이모저모] 곤경 처한 사람들의 다른 선택, 인간 본성에 대한 고민 다시 해 이근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155
238 [이근백의 캐나다 생활 이모저모] 한 가족된 지구촌, 은퇴 이후 삶 - 어디가 좋을까 이근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232
23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활성기체 화학반응을 성공시킨 UBC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4065
23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플라스틱 코드(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693
23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이트데이 아니 파이데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553
23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42억 8000만년 된 미생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966
233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나무를 나무라고 부르는 이유 그리고 자녀교육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735
232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객관식, 주관식, 논술, 그리고 자녀교육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97
231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객관식, 주관식, 논술, 그리고 자녀교육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842
230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대학과 사회를 위한 도구로서의 나 vs 내 삶을 위한 도구로서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880
229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속의 자녀교육- 대학교육의 이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577
22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빈디시 연구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1846
22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질문의 종류와 기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346
22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Atomic Spectru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116
22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봉사활동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014
224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칭찬받아 춤추는 고래는 행복할까? (칭찬의 이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1721
2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079
22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 역사상 가장 뛰어난 항해자(voyager)는 누구일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1993
221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잔소리를 참는 부모 vs 잔소리를 할 필요가 없는 부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1989
220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자녀교육, 불편한 진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1615
21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2090
21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음식, 편식,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1629
21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시간이란 무엇인가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2494
21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안다는 것과 실천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1411
21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교과서, 시험,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522
21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추워도 너무 추운 밴쿠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887
213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좁고 좁은 저 문으로 들어가는 길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1644
21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크리스마스에 잠든 여성 천문학 거장 베라 루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197
2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올해 최고의 과학 업적들, 무엇이 있을까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1877
210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자녀들이 지도자의 자질을 키울 수 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1643
209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현재의 불편함을 공부의 주제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1445
20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외핵의 흐름과 지구 자기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583
20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명령하는 부모와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1842
20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자연과학과 철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2275
20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사람 (특히 자녀들)을 무시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070
2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설제에 숨어 있는 과학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3794
203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교육방법과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165
20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070
201 [과학이야기] 공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3031
200 사용하는 단어의 선택과 논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1656
199 토의 vs 논쟁 (토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1837
198 [과학 이야기] 컴퓨터 하드 드라이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1506
197 공부에 필요한 요소 - 용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1731
196 [과학 이야기] 2016년 노벨 화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1688
195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방법을 익히는 방법이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1781
194 [과학 이야기]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1389
193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예습과 복습을 통해 배우는 방법을 익히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697
192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사고력 키우기 (행동으로 옮기기 전에 생각하는 훈련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1936
191 [과학 이야기] 2016년 노벨 생리의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1797
190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새로운 물건을 사고 싶어 하는 아이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1921
189 [과학 이야기] 항균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1627
188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할 수 있는 것이 없어 방황하는 경우(무기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2 1758
187 [과학 이야기] 양자 전송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2 5275
186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답을 찾아 헤매는 방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1886
185 [과학 이야기] 초신성 폭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3851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