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교각 스님(696~794) - 2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교각 스님(696~794) - 2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0-01-03 09:14 조회2,692회 댓글0건

본문

 

 

[794년 여름, 스님의 나이 99세, 갑자기 제자들을 불러 고별하니 어찌할 바를 몰랐다. 산이 울고 돌이 떨어지며 감정이 없는 것도 슬퍼했다. 돌아가신 사실을 알리는 비구니가 와서 미처 말하지 않았는데, 절에서 종을 쳤지만, 소리가 없고 맨땅에 떨어졌다. 

 

스님의 육신을 석함 안에 결가부좌의 자세로 모시기를 3년이 지나, 함을 열고 탑에 모시려고 하니, 얼굴이 살아 계실 때와 같았으며, 옮길 때 골절이 움직여 쇠사슬 소리가 났다. 

 

때는 813년, 내가 산 아래 살면서 어려서부터 보고 들은 것을 삼가 기록한다.]                                                                                                 <음력 7월 15일 비관경이 기록함> 

 

김교각이 절을 창건하는 과정에서 민양화라는 지역 유지가 자신 소유의 구화산 토지를 내놓게 되는데, 민영화는 평소에 심성이 착하고 주변에 베풀기를 좋아했던 사람이다. 그는 김교각의 마음에 감동하여 땅을 내놓고 그의 아들은 출가하여 도명법사가 되어 김교각의 제자가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지금도 지장보살 양측에는 민양화와 그의 아들인 도명법사의 상이 모셔지고 있다. 

 

김교각의 인품을 알 수 있는 시 두 편이 ‘전당시(당나라 때의 시 모음집)’에 실려 오늘날까지 널리 읽히고 있다. 그 첫 번째가 수혜미라는 시인데, 이는 김교각이 구화산을 찾았을 때, 허기진 몸을 이끌고 길을 물으려고 오용지라는 사람의 집에 들렀을 때 지은 시다. 오용지는 여러 날을 굶어 힘들어 보이는 김교각에게 쌀을 주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답으로 김교각은 시를 지어 오용지에게 주었다. 이 시는 중국 오씨 문중의 족보에 기록되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특히 힘든 수행을 하는 자신의 마음 자세와 도움에 대한 고마움을 담담하게 표현한 시다. 

 

<수혜미>

 

쌀의 고마움을 느끼며 

 

황금 수레 버리고 거친 베옷 걸친 후,

수행하려고 바다 건너 구화산에 왔네.

이 몸 원래 신라 왕의 아들이었지만,

수행의 길에서 오용지란 사람을 만났네.

문 두드려 미처 다른 이야기도 못 했는데

어제는 쌀을 보내주고, 새벽밥까지 지어줬네.

오늘은 황금 같은 저녁밥까지 먹었으나,

배가 부르니 어제의 배고픔 모두 잊어버렸네.

 

다음 시는 수행하려고 산에 올라왔다가 고된 수행을 이기지 못하고 산을 떠나는 아이(동자승)를 바라보는 스님의 애틋하고 인자한 마음을 깊게 느낄 수 있다. 

 

<송동자하산>

아이를 산에서 내려보내며 

 

절간이 쓸쓸하여 네가 집 생각을 하는구나.

운방(승려가 거처하는 방)을 떠나, 구화산을 내려가는구나.

네가 대나무 난간에서 죽마 타고 노는 것에 대해 곧잘 물어보더니,

부처님의 황금 땅에서 황금 모래 모으는 일도 싫어졌구나.

샘물 길으며 시냇가에서 하던 달구경도 그만두고,

찻사발 안에 놓인 꽃을 보고 즐기는 것도 그만두게 되는구나.

잘 가거라, 부디 눈물은 자주 흘리지 말아라.

노승은 이제 안개와 노을을 벗하리라. 

 

그의 수행은 점차 사람들에게 알려졌고 신라에까지 명성이 전해졌다. 이에 많은 사람이 바다를 건너와 그를 만나려 했다. 신라에서 사신으로 온 그의 외숙 소우와 소보도 찾아왔는데, 그의 불심에 감동하여 돌아가지 않고 구화산 기슭에 암자를 짓고 머물렀다고 한다. 훗날 두 사람이 세상을 떠난 후에 사람들이 그들이 거주한 곳을 이성전으로 만들고 그들의 상을 만들어 공양했다고 한다. 

 

또한, 두 사람이 돌아오지 않자 애가 탄 김교각의 어머니가 직접 찾아왔는데, 모자가 서로를 보고 희비가 교차하여 며칠 밤낮을 울다가 그만 어머니의 눈이 멀었다고 한다. 이에 김교각이 매일 화성사 앞의 샘물을 떠다 두 눈을 씻겨주었고 얼마 후에 광명을 되찾았다고 한다. 후세 사람들이 그들의 일화를 기념하기 위해 석탑을 쌓은 후 ‘낭랑탑’이라고 하고, 샘물의 이름을 ‘명안천’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 유적이 지금도 남아 있다. 

 

김교각을 석지장 혹은 김지장으로도 불린다. 그의 교화로 화성사는 신도 수가 늘기 시작했고 구화산의 개산조사(처음으로 절을 세운 사람을 가리키는 말)가 되었다. 뒤에 육신 공양을 하여 지장보살의 화신으로 받들게 되었다. 그의 덕분으로 구화산은 지장보살의 성지로 알려지고, 보현보살의 성지인 아미산, 문수보살의 성지인 오대산, 관세음보살의 성지인 보타산과 더불어 중국 4대 보살 성지중 하나가 되었다. 

 

생전에 어떤 사람이 그에게 “언제 신라로 돌아갈 겁니까?”라고 물었는데, 그는 “1,300년 후에 돌아갈 것이다”라고 예언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의 말에 따라 1997년 탄신 1,300주년을 기념하여 화성사가 경주 불국사에 그의 입상을 기증했다고 한다. 불국사 무설전에 그의 입상이 모셔져 있다.

 

 

한중 양국 불교계는 수교 15주년을 맞아 2007년 한중교류의 해를 기념하여 김교각 스님 입상을 좌대와 불신, 광배를 포함 2.5m 규모의 입상을 제작하여 2007.11.20 안후이성 츠저우시 주화산(구화산) 육신보탑에서 ‘김교각 지장보살 한국 봉안’을 위한 중국 정부 차원의 공송 법회를 봉행하였고, 다음날 한국으로 운송되어 2007.11.23. 서울특별시 삼성동 봉은사에서 ‘김교각 지장왕보살 입상 한국 봉안 한중 합동 법회’가 개최되었으며 입상은 동국대 정각원에 모셔졌다.

   

6d51cf79221d72e831cc89553c031a89_1578071644_4896.PNG
 

중국 각지에 봉안된 김교각 상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6건 13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4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내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1179
24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하는 것이 목표가 된 경우의 두뇌작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4 1171
24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과 성적은 지식과 개념의 차이에서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170
24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타인의 판단을 받아들이는 것 vs. 내가 내리는 판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1163
24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방법을 찾는 두뇌능력은 문명과 과학기술 발달의 원동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1160
241 생활 속의 자녀교육 (33) - 자녀와 소통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7 1159
24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방을 통해 배우는 두뇌능력과 사고력은 차원이 다른 두뇌의 기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9 1157
23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우리나라의 신석기 시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1148
23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정몽주(1337~1392)와 정도전(1342~139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1144
23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방을 통해 배우는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1143
23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육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1139
23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 두 가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1135
23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고유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1133
23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삶에서 행복과 자유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1133
23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회암사터-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1128
23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행복이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1124
23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의 종류 그리고 기억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1122
22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내 삶의 주인이 된다는 것은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키우는 과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1116
22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1114
22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물질적 만족을 추구하는 사고와 정신적 만족을 추구하는 사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8 1112
22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종류의 행복한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1111
22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양명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1099
22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소헌왕후 심씨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 1096
22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조적 사고는 신개념을 만드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1093
2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초점을 둔 공부가 야기하는 사회문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1092
2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우리나라의 구석기 시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1086
2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는 두뇌능력을 반영하는 거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1079
21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새로운 지식을 배워가는 공부는 미래를 보장해 줄 수 있다. 하지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1073
21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과 개념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1069
21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정서적 안정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058
2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라인들의 근친혼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1055
21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해력과 사고력을 늘리는 공부 vs 지식을 익히는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1038
21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는 모든 것은 허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5 1037
21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조적 사고력을 넘어서는 인간의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029
21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떡잎부터 차이나는 공부머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1019
21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에 갇히면 이해력과 창의력은 멀어질 수밖에 없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1007
21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언어에 갇혔는지를 확인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0 1005
20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의 발달의 시작은 목표 지향적 사고로부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1003
20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의 초석; 스스로 내리는 정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1002
20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논리적인 사고를 통해 개념을 정립하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1001
20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아날로그 정보처리 방식이 가진 장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 997
20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경쟁의 시작은 새로운 지식으로부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996
20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회가 필요로 하는 사람은 지식인이 아닌 창조적 사고능력을 지닌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996
20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자유에 대한 갈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992
20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2 991
20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게임이나 도박에 빠지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982
20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인과 결과는 꿰어진 구슬처럼 연결되어 있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977
19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대건 신부와 최양업 신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977
19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공부의 효율을 늘리는 공부 방법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976
19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혜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973
19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아날로그 vs. 디지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30 970
19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회암사터-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968
19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일반 대학과 직업기술에 초점을 둔 대학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964
19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바보 온달(? ~ 59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962
19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과 중독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962
1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후삼국시대-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960
19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방법을 목표로 설정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956
18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를 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6 954
18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954
18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를 가두는 교수법 vs. 열어주는 교수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951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