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3. 익산 미륵사지 석탑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3. 익산 미륵사지 석탑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4-06 16:47 조회1,879회 댓글0건

본문

23. 익산 미륵사지 석탑

 

6월의 싱그러운 바람을 코끝으로 상쾌하게 느끼며 미륵사지에 도착했다. 이곳에 도착하여 두 번 놀랐다. 첫 번째는 지금은 아무것도 없지만 주춧돌을 통해 알게 된 어마어마한 미륵사의 규모에 놀랐고, 두 번째는 미륵사지 석탑의 규모와 세련된 균형감에 놀랐다. 지금은 한창 복원 작업에 열중하는 석공들의 돌 다듬는 소리가 이 황량한 벌판에 은은히 퍼져나가고 있을 뿐이다. 1,400년 전의 백제 석공들의 후예들답게 돌을 떡 다루듯이 하는 그 솜씨야말로 하늘이 내려주신 은총이 아닐까. 세계 기능 올림픽에서 매년 1위를 차지하는 것 보지 못했는가? 외국에서는 한국이 출전하면 출전을 포기하는 사례가 빈번하며, 이제는 그만 출전해달라는 부탁도 있었다고 한다. 이 어찌 자랑스럽지 아니한가.

미륵사는 『삼국유사』의 「백제 무왕(武王)」 조(條)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하루는 무왕이 부인과 함께 사자사에 가는 중에 용화산(龍華山) 밑 연못가에 이르니 미륵삼존이 못 가운데 나타나므로 수레를 멈추고 경하하며 배례를 하였다. 부인이 이곳에 큰 절을 세우기를 원하고 바라니 왕이 그것을 허락하였다. 사자사의 지명법사(知命法師)를 찾아가 못을 메울 것을 물었더니 신통력으로 하룻밤 사이에 산을 무너뜨려 못을 메워 평지로 만들었다. 이에 미륵삼존을 모시고 불전과 탑·회랑을 각각 세 곳에 세우고 절 이름을 미륵사라 했다.” 백제 제30대 무왕(600~641)대에 세워진 국가 사찰로 통일 신라 시대와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 전기까지 유지되었으나 임진왜란 이후 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미륵사지는 우리나라 불교건축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으로 미륵신앙을 현실세계에 구현한 3탑 3금당의 독특한 가람구조를 지니고 있다.

현재 미륵사지에는 백제 시대에 만들어진 국보 제11호 미륵사지 석탑(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과 통일 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보물 제236호 당간지주 2기가 남아 있다. 미륵사지 석탑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큰 석탑으로 목탑의 축조방식을 적용하여 만들었다.

미륵사지 석탑(높이 24m로 추정)을 통해 우리나라 석탑의 기원과 발전 양식, 백제인들의 뛰어난 건축 기술과 미적 감각을 엿볼 수 있다. 석탑은 무너진 부분이 많고 동북쪽 한 귀퉁이만 6층까지 남아 있어 정확한 모습은 알 수 없으나 본래는 9층으로 짐작된다.

미륵사지 석탑은 창건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수리된 것으로 보이며 1915년 일제가 붕괴를 막기 위해 싸 바른 콘크리트에 무겁고 늙은 몸을 기댄 채 아슬아슬하게 버티고 있었다. 1998년 해체복원 결정이 내려졌다. 우선 일제가 보강해놓은 콘크리트의 양은 185톤에 달했다. 원래 두께를 30~40cm로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최대 4m나 됐다. 원래의 석재에 들러붙은 콘크리트를 떼어내기 위해서는 일일이 손으로 작업을 할 수 밖에 없었다. 2010년 해체 작업이 완료되고 2013년부터 복원이 진행되고 있다.

2009년 미륵사지 석탑을 해체하여 조사하던 중 중심기둥에서 약 9,700여점의 유물(은제관식, 금괴, 금제고리, 시주자의 명문이 적힌 금제소형판, 칼, 유리 밀 구슬류, 다양한 직물류 등)이 발견되었다.

금으로 만들어진 사리봉안기(가로 15.5, 세로 10.5cm)는 미륵사의 건립 목적과 발원자, 석탑 건립 연대 등을 밝혀주는 귀중한 자료로 백제 왕비가 재물을 바쳐 이곳에 미륵사를 세우고 사리를 받들어 모셔 왕실의 안녕을 기원한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탑은 석가모니가 남긴 유골과 사리를 모시는 무덤이다. 처음에는 불상을 만들지 않았기 때문에 탑은 당연히 불교 신앙의 중심이었다. 각 나라의 전통과 풍토에 따라 황토가 많은 중국은 벽돌탑을 돌이 많은 한국은 돌탑을 나무가 많은 일본은 목탑을 많이 만들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에 목조탑을 만들었다. 목탑은 비용이 많이 들고 비바람과 불에 약하다. 이 때문에 화강암을 써서 석탑을 만들게 되었다. 백제는 처음으로 목탑을 그대로 본떠 석탑을 만들었다. 미륵사지 석탑이 이를 잘 보여준다.

 

사진 1.jpg

( 미륵사지 석탑(국보 제11호/백제))

 

사진 2.jpg

(미륵사지 석탑 복원도)

 

사진 3.JPG

(미륵사 복원 상상도 - 7세기 무왕(600~641)때 세워진 미륵사는 중앙에 거대한 목탑과 동서에 석탑을 둔 형태를 따르고 있다.)

 

사진 4.jpg

(미륵사석탑에서 출토된 사리함과 명문사리기)

 

사진 5.JPG

(출토된 사리호와 유리구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6건 13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4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4. 신라의 건국 이야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1752
열람중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3. 익산 미륵사지 석탑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880
24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2. 백제 금동 대향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231
24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1. 백제의 무령왕릉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179
242 [알기 쉽게 풀어 보는 한국사 수업] 추모(주몽)의 아들 온조가 세운 세운 백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69
241 [보석 이야기] 2016년은 로즈 골드(rose gold) 골드가 대세 !! 박한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3945
240 [이근백의 캐나다 생활 이모저모] 건강하게 여행 떠나는 방법, 무엇일까요 ? 이근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29
239 [이근백의 캐나다 생활 이모저모] 곤경 처한 사람들의 다른 선택, 인간 본성에 대한 고민 다시 해 이근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190
238 [이근백의 캐나다 생활 이모저모] 한 가족된 지구촌, 은퇴 이후 삶 - 어디가 좋을까 이근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269
23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활성기체 화학반응을 성공시킨 UBC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4106
23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플라스틱 코드(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741
23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이트데이 아니 파이데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583
23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42억 8000만년 된 미생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34
233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나무를 나무라고 부르는 이유 그리고 자녀교육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779
232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객관식, 주관식, 논술, 그리고 자녀교육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160
231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객관식, 주관식, 논술, 그리고 자녀교육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869
230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대학과 사회를 위한 도구로서의 나 vs 내 삶을 위한 도구로서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911
229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속의 자녀교육- 대학교육의 이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607
22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빈디시 연구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1873
22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질문의 종류와 기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387
22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Atomic Spectru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158
22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봉사활동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048
224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칭찬받아 춤추는 고래는 행복할까? (칭찬의 이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1779
2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120
22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 역사상 가장 뛰어난 항해자(voyager)는 누구일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032
221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잔소리를 참는 부모 vs 잔소리를 할 필요가 없는 부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027
220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자녀교육, 불편한 진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1649
21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2125
21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음식, 편식,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1673
21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시간이란 무엇인가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2534
21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안다는 것과 실천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1447
21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교과서, 시험,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559
21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추워도 너무 추운 밴쿠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927
213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좁고 좁은 저 문으로 들어가는 길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1687
21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크리스마스에 잠든 여성 천문학 거장 베라 루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254
2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올해 최고의 과학 업적들, 무엇이 있을까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1924
210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자녀들이 지도자의 자질을 키울 수 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1679
209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현재의 불편함을 공부의 주제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1478
20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외핵의 흐름과 지구 자기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625
20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명령하는 부모와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1912
20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자연과학과 철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2308
20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사람 (특히 자녀들)을 무시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101
2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설제에 숨어 있는 과학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3857
203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교육방법과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215
20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107
201 [과학이야기] 공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3078
200 사용하는 단어의 선택과 논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1702
199 토의 vs 논쟁 (토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1867
198 [과학 이야기] 컴퓨터 하드 드라이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1539
197 공부에 필요한 요소 - 용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1773
196 [과학 이야기] 2016년 노벨 화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1744
195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방법을 익히는 방법이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1828
194 [과학 이야기]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1408
193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예습과 복습을 통해 배우는 방법을 익히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752
192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사고력 키우기 (행동으로 옮기기 전에 생각하는 훈련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1977
191 [과학 이야기] 2016년 노벨 생리의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1858
190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새로운 물건을 사고 싶어 하는 아이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1949
189 [과학 이야기] 항균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1660
188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할 수 있는 것이 없어 방황하는 경우(무기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2 1789
187 [과학 이야기] 양자 전송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2 5322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