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과 중독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과 중독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2-09-29 14:31 조회998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과 중독


◆ 욕망이 강하면 원하는 것을 얻고자 떼를 쓰거나 집착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만일 원하는 것을 얻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는 두뇌의 힘을 가진다면 경쟁에서 이길 수 있어 집착이 줄어들 것이라는 생각은 들어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집착이 전혀 없을 것 같지는 않거든요. 예를 들어 강을 건너고자 방법을 생각하는 경우 방법을 찾는 것에 집착을 할 수도 있으니까요. 이런 경우는 어떻게 설명을 할 수 있을까요? 


- 중독이 되는 경우를 묻는 것 같군요. 


◆ 글쎄요? 집착을 한다고 해서 모두 중독이라고 볼 수는 없는 것 아닌가요?


- 물론 집착과 중독은 다르죠. 하지만 집착과 중독을 정확하게 구분해서 설명을 해 놓은 내용도 현재로서는 없는 것으로 보여요. 그렇다보니 사람들은 집착과 중독을 혼동해서 사용하는 것 같고요.  


◆ 집착과 중독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나요?  


- 집착은 일단 내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강한 욕망이라고 볼 수 있어요. 그래서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죠.


◆ 예를 들자면 어떤 것이 있나요? 


- 요즘 뉴스에서 가끔 전해지는 스토킹 범죄가 여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죠. 


◆ 알 것 같네요.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에게 집착해서 원하는 것을 이루려는 욕망을 집착으로 보면 되겠네요. 그런데 아까 집착과 중독을 사람들이 구분 없이 사용한다고 하셨잖아요? 집착으로 인해 스토킹을 하는 경우는 중독하고는 완전히 다른데 어떻게 구분이 안 될 수 있죠? 


- 도박중독에 대해 들어봤죠? 


◆ 그럼요. 도박에 중독되면 말 그대로 가진 것 다 잃고도 정신을 못 차린다고 하잖아요. 


- 하지만 도박중독도 집착과 중독으로 나뉠 수 있어요.  


◆ 도박중독을 집착으로도 분류할 수도 있다고요? 어떻게요? 


- 목적이 돈을 버는 것이라면 중독이라기보다는 집착에 가깝다고 봐야죠. 스토킹을 하는 경우와 비슷하게요. 


◆ 그러니까 집착의 대상이 돈이냐 아니면 사람이냐의 차이일 뿐 같은 현상이기 때문에 집착이라고 봐야 한다는 뜻이군요?


- 예.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하는 욕망은 같지만 대상이 다를 뿐이니까요.  


◆ 그렇다면 도박으로 인해 자신의 인생뿐 아니라 가정까지 망가뜨리는 경우는 집착이라고 봐야한다는 뜻인가요? 


- 맞아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하는 동물적 욕망이 강해 집착이 생기고 그 집착이 강하기 때문에 결국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것이죠. 


◆ 그러면 약물 중독도 사실은 중독이 아니라 약에 대한 집착이라고 봐야하는 것인가요?  


- 시작은 집착이라고 볼 수 있지만 약의 특성이 두뇌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약으로 인한 중독이라고 볼 수 있어요. 약물의 경우 투약하고 나면 두뇌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니까요. 이 부분은 내용이 길어지니까 후에 따로 다루는 것이 어떨까 하네요. 


◆ 그러죠. 그러면 다시 집착으로 돌아가서 욕망이 강하면 집착이 생기고 집착이 생기면 원하는 것을 이루고자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경계선을 넘는다는 뜻인데 왜 이런 일이 벌어지나요? 


- 자신이 욕망을 채울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지 못해서라고 봐야겠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채울 수 있었다면 집착이 생기지 않을 테니까요.


◆ 그렇다면 집착이라는 단어 자체가 그 사람의 정신적 상태를 반영한다고도 볼 수 있겠네요?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하지만 얻지 못해서 불안정한, 마치 언제 터질지 모르는 폭탄을 앉고 있는 것 같이요? 


- 예. 그렇게 볼 수 있어요. 그래서 집착이 강한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그 욕망을 터뜨릴지 알 수 없어요. 


◆ 그러면 중독은요?


- 겉모습을 보면 중독과 집착을 구분하기는 어려워요. 도박을 예로 들자면 같은 자리에 앉아서 같이 도박을 하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두뇌에서 벌어지는 일은 다르죠. 


◆ 어떻게 다른가요? 


- 책에 중독이 되는 것, 일에 중독이 되는 것 등과 같이 도박에 중독이 되는 경우는 도박이라는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결과를 확인해 보고자 하는 욕망이 강해서 생기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어요. 


◆ 잘 이해가 안 되는데, 결과를 확인해 보려는 욕망이 무슨 뜻이죠? 


- 책을 읽는 이유가  무엇일지 생각해 보신 적 있나요? 


◆ 일단 재미있으니까요. 물론 모든 책이 다 재미있지는 않지만요.


- 책이 재미있어서 읽는다면 왜 재미있는지 생각해 볼까요? 


◆ 내가 모르던 새로운 지식을 접할 수 있고 또 다른 사람들의 생각도 볼 수 있으니까 그런 것 같아요. 


- 그렇죠? 내가 모르던 것을 알아가는 것이 재미있는 것이죠?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어요. 일에 중독이 되는 경우도 지금 하고 있는 일의 결과가 어떻게 나타날 지 궁금했는데 결과를 확인함으로서 새로운 지식을 얻기 때문에 일이 즐겁고 또 도박에 중독이 되는 경우도 도박을 하는 과정에서 나에게 원하는 카드가 들어올 것인지 그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이 재미있죠. 그래서 ‘쪼는 맛’이라는 표현도 있을 정도로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은 짜릿하죠. 또 다른 예로 제가 뉴욕에 있는 콜럼비아 대학에 과학자로 있을 때 제 보스의 경우를 이야기 할 수 있겠네요. 이 교수가 젊은 시절 미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 살고 있는 자신의 여자 친구 가족에게 인사를 하기위해 경유지를 거쳐 여자 친구 집으로 가던 중이었데요. 그런데 경유지 공항에서 실험 결과가 너무 궁금해 못 견뎌서 여자 친구를 혼자 보내고 자신은 표를 바꿔 되돌아왔다고 했거든요. 이 이야기는 제가 직접 들은 이야기에요. 


◆ 여자 친구를 혼자 가도록 두고 돌아올 정도로 실험 결과가 궁금했다는 뜻인데 어떻게 보면 진짜 도박에서의 쪼는 맛과 비슷한 것 같네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8건 14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709
18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교각 스님(696~794)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710
186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공부와 삶 – 공부가 어려우면 삶도 고통의 연속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714
18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과 미래의 직업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715
1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724
1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CT와 MRI, 그 속을 들여다보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724
182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를 다루는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2736
181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1)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738
18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일본 열도로 건너간 백제 사람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749
179 [비센의 과학 이야기] 전자렌지 귀신이 와이파이 전파를 잡아 먹어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3 2750
17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독립 협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754
17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역사상 세번째 여성 노벨 물리학 수상자가 된 워털루 대학 스트릭런드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762
1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플라스틱 코드(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763
17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건강식품도 독이 될 수 있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766
17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을 향한 인류 첫 탐사 - 파커 탐사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68
17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솔린 옥탄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2771
17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단계별 총 정리 - 서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2772
17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게으름의 본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 2777
1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 7대 브로이 공작, 루이 빅토르 피에르 레몽 드 브로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777
16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2779
16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과거시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779
167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석사 + 자격증 + 실무 경력' 가장 선호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780
16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785
1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밴쿠버 기후와 생물군계 관계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788
16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랙 홀의 비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2798
16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기초단계 공부 방법 마무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801
16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확장을 통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6 2818
16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156회] 꿈이 알려준 과학적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818
16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당신의 뇌를 깨우는 모닝커피 한 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19
15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병자호란과 남한산성 십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2819
15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라돈 침대 - 위험한 것일까? 안전한 것일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825
15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천태종과 조계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827
15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지식의 한계를 확인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833
15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원효의 깨달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841
1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왜 남북은 서로 시간이 다를까-남북회담을 계기로 알아보는 국제표준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47
153 지식과 지혜의 차이(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9 2851
15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2 2870
15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육하원칙을 바탕으로 하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873
150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연봉, 일자리 많고 은퇴 걱정 없는 '황금시장'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880
1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유전자를 내맘대로 재단하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2881
14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884
14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덕 대왕 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90
14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895
145 [김바울의 교육칼럼]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수업 환경, 능동적인 공부법으로 극복해 보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902
144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2 2912
14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912
142 [과학 이야기] 초전도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1 2917
14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5. 불국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2918
14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소재동 – 정도전 유배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919
13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생아 황달(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921
13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윤봉길 의사와 이봉창 의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2933
13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해부학적 영상진단과 기능적 영상진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7 2945
13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폭발 직전의 발리 아궁화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961
135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고 출신이 수시 지원할 때 알아야 할 것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2973
134 기수법<Numeral Syste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6 2976
13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브라질 너트 효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2980
132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단계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983
131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2989
13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식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르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3004
12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 훈민정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300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