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6-09-01 00:05 조회1,828회 댓글0건

본문

자연 도태를 유도하는 경쟁

-  결과에만 집중하지 말고, 앞으로 접근 방법을 알 수 있게 유도 해야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들은 매순간 경쟁을 하며 살아갑니다. 그리고 경쟁에서의 승패는 생존과 직결되기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경쟁에서의 승리가 필수적입니다. 인간사회 또한 예외가 아님을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흔히 명문학교를 졸업하고 남들이 부러워하는 직장에서 높은 직책에 오른 사람을 두고 경쟁을 뚫고 살아남아 성공했다고 이야기합니다. 성공한 이는 다른 사람에 비해 더 많은 권력, 재화를 소유할 가능성이 높고, 이는 곧 성공한 이의 사회적 위치를 견고히 하며 사회에서의 생존가능성을 높이게 됩니다. 뒤집어 생각해 보면, 경쟁에서 진다는 것은 곧 사회에서의 도태를 의미함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인간사회의 경쟁은 그 결과가 생명의 유지에 미치는 물리적 영향 면에서 자연에서의 경쟁과 사뭇 다른 점이 있습니다. 동물들의 경쟁은 번식의 권리 또는 사냥터의 확보를 목적으로 싸우다 다쳐 회복이 불가능해지면 결국 죽음을 맞게 되어 도태하지만, 인간사회에서의 경쟁은 성적이 낮거나 직장에서 승진을 하지 못하면 경쟁에서 졌다는 말을 들을지는 몰라도 이로 인해 신체에 직접적인 상처를 입어 도태될 가능성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사람들은 경쟁에서 졌다는 것으로 인해 사회에서 도태되는 것일까요? 이는 경쟁의 결과를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로서 100미터 달리기 경주를 했을 때 이긴 사람에서는 환호와 기쁨 그리고 자신감을, 반면 진 사람에서는 아쉬움, 슬픔, 실망감으로 어깨가 쳐지는 모습을 쉽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경쟁의 결과가 경쟁 당사자들의 정신에 영향을 끼침을 쉽게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경쟁에서 지면 많은 경우 실패한 당사자는 스스로 졌다는 생각으로 인해 자신감 등을 잃게 되고 패배감에 빠지며 이러한 것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극단적인 경우 결국 사회에서 도태되는 길을 스스로 걸어가게 됩니다. 돈, 명예, 권력 등을 바탕으로 한 사회 피라미드 구조 속에서의 경쟁은 위로 올라갈수록 점점 더 치열해 질 수 밖에 없습니다. 대학에 가면 자신과 비슷한 성적을 가진 학생들이 모여 있기에 그 속에서 상위권을 차지하려면 더 열심히 공부해야 합니다. 직장을 잡기 위해서는 비슷한 교육을 받은 수많은 사람들 속에서 자신을 다른 지원자들과 차별화하기 위해 소위 말하는 ‘스펙 쌓기’를 해야 합니다. 그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주어진 자리는 한정이 되어있어 경쟁에서 살아남는 사람은 그나마 몇 명 되지 않습니다. 물론 다시 일어서서 자신의 길을 가는 사람도 있지만 많은 경우 패배감으로 인해 무엇을 하려는 의지조차 잃어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경쟁이라는 것은 승자에게는 승리의 기쁨을 통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힘을 주는 반면 패자에게는 스스로 도태가 되는 길을 선택해서 가도록 만드는 역할을 지니고 있기도 합니다. 독자 여러분께서는 자녀들이 항상 자신이 원하는 대로 경쟁에서 이기며 살아갈 수 있다고 확신할 수 있으신가요? 아니라면 어떻게 하는 것이 자녀들이 경쟁에서 졌을 때에도 그것에 연연하지 않고 자신의 길을 갈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일까요?

[‘이겼다/졌다’의 결과에만 중점을 두지 않고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접근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필자가 이야기하는 지혜의 교육에서는 ‘달리기는 왜 할까?’ 또는 ‘너는 왜 이기려고 하니?’와 같은 질문을 통해 달리려는 이유, 이기고자 하는 이유 등을 찾아감으로서 자신이 무엇을 왜 원하는지를 스스로 인식하는 형태의 접근법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질문을 통해 그 근원을 찾아가는 이러한 방법이 아직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는 아이가 스스로 지금 주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예로서 자녀가 100미터 달리기에서 제일 늦게 들어왔을 때 ‘너 꼴찌네’와 같이 ‘졌다’는 개념을 바탕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100미터 달리기를 해 보니까 어때?’ ‘다리에 힘을 기르면 지금보다 빨리 달릴 수 있을 것 같아?’ ‘어떻게 운동하면 빨리 달릴 수 있도록 다리에 힘을 키울 수 있을까?’ 등과 같이 질문을 통해 자녀를 이끄는 것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14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84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자녀를 향한 기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1751
183 [과학 이야기] 양성자 빔 암 치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2405
열람중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 1829
18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물수제비 (stone skipping)’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6000
180 자녀가 친구와 다퉜을 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1887
179 여론조사, 제대로 알고 이해하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3033
178 페르세이드 유성우, 그 신비로운 세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3112
177 아이와 눈높이를 맞춘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2007
176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자녀를 대할 때 감정을 배제하기 어려운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1843
175 [과학 이야기] 펜싱에 숨어 있는 신비로운 과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2228
174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 1523
17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베누' 소행성에 대한 연구를 위한 탐사선 발사 계획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 1916
172 자녀를 혼내야 하는 경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2024
171 기억에 대한 불편한 진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1931
170 자녀들이 감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1717
169 신비로운 수학 세계, 오묘한 음악과 갚은 관련 맺고 있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3053
168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2062
167 큰 인기 몰고 있는 ‘포켓몬 고(Pokemon GO)’ 스마트폰 게임, 혹시 들어보셨나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1577
166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1688
1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목성 탐사위성 주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245
164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1611
163 [과학 이야기] 전기 뱀장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2468
162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배우는 사람 (아이들)의 이해력을 탓하는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1592
161 다이아몬드와 흑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1631
160 기수법<Numeral Syste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6 2894
159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공부는 본인의 의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1358
158 지식과 지혜의 차이(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9 2806
157 빛의 성질에 관한 탐구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9 1575
156 지혜와 지식의 차이(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2 4039
155 녹지 않는 빙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2 7653
154 비행시간과 상대속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6 5995
153 생활 속의 자녀교육- 공부에 재미를 붙일 수 있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1343
152 석가의 출가로 보는 지혜의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1258
151 자녀가 집중력을 키워갈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379
150 [과학 이야기] STARSHOT, 불가능을 가능케 하는 인류의 노력 계속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382
149 자녀가 집중력을 키워갈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1322
148 [과학 이야기] LHC의 데이터 공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1210
147 불의 고리(Ring of Fir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2208
146 자녀교육 – 답을 찾을 수 있는 질문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2280
145 [과학 이야기] 케플러 우주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1556
144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개념을 연결하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1505
143 생활 속의 자녀교육(36) – 자녀가 창의력을 늘릴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7 1528
142 [과학 이야기] 황금 비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7 1961
141 생활 속의 자녀교육 (35) - 수학공부가 어려운 이유와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1 1527
140 [과학 이야기] 초전도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1 2863
139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34) - 자녀의 두뇌발달 가능성 및 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1472
13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핵융합 발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2123
137 생활 속의 자녀교육 (33) - 자녀와 소통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7 1135
136 [ 과학 이야기] 에펠 탑의 과학자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7 2311
13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30) - 배우는 방식이 다른 아이들의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1374
13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어떻게 하면 수학, 과학을 잘 할 수 있을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1863
133 생활 속의 자녀교육 (29) - 생존에 의존한 행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3 1221
13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세계의 바둑 대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3 1939
131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28) - 다른 사람에 대한 비난과 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5 1754
13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상 현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5 1848
12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1660
128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27) - 부부관계가 자녀교육에 영향을 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1468
12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26) – 자유롭고 즐거운 삶을 향한 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1545
12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양자 컴퓨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2228
125 C3소사이어티 <제9회 리더십 컨퍼런스> 접수 시작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1716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