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이트데이 아니 파이데이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이트데이 아니 파이데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4-06 16:36 조회2,571회 댓글0건

본문

원주율 이야기

 

지난 화요일 3월 14일은 한국에서 연인 사이에 남자가 여자에게 사탕 선물을 주는 화이트 데이였습니다. 하지만, 이 날은 자연과학에 관심있는 사람들에게는 파이(π)데이로도 유명합니다. 수학에서 사용하는 원주율, 즉 파이(π)값이 3.14로 시작하는 것을 인용해서 3월 14일을 파이데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파이(π), 원주율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3.1415926535… 시작되는 끝없이 계속되는 무한소수입니다. 이 숫자를 기념하기 위해서 세계의 많은 대학들의 수학과들은 3월 14일 1시 59분에 기념행사를 하기도 하고, 또 100년마다 돌아오는 3월14일 **15년 9월 26일 3시 35분에는 대대적인 행사를 하기도 합니다. 지난 2015년에도 파이데이를 기념하는 대대적인 행사가 있었으며, 다음 행사는 2115년에 열리게 될 것입니다. 이날은 또한 가장 유명한 물리학자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생일이기도 하기 때문에, 수학, 물리학을 공부하거나 관련 학문에 흥미를 갖는 사람들이 함께 기념하는 의미 있는 날이 되곤 합니다.  

 

파이(π), 즉 원주율은 원의 둘레와 원의 지름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매우 오래전부터 동서양을 통해 두루 알려지고 연구되어 온 매우 중요한 수학 상수 중에 하나입니다. 파이값에 대한 연구는 기원전 165년경 고대 이집트시대로 거들러 올라갑니다. 아메스(Ahmes)라는 사람이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 파피루스에 파이에 대한 설명이 적혀있는 것이 현재 발견된 가장 오래된 기록에 해당하며, 이후 그리스 시대의 아르키메데스는 이를 구할 수 있는 계산법을 가장 수학적으로 설명하였기에, 이를 바탕으로 파이를 아르키메데스의 상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원주율은 처음부터 지금의 숫자처럼 정확하게 알려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리스 시대를 비롯한 초기에 꽤 오랜 기간 동안 원주율은 3으로 계산되었습니다. 그리스 시대의 남아있는 문헌 뿐만 아니라 구약성경에서도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는 데, 구약성경 열왕기 상권 7장 23절을 보면, ‘청동을 부어 바다 모형을 만들었다. 이 둥근 바다는 한 가장자리에서 다른 가장자리까지 지름이 열 암마, 높이가 다섯 암마, 둘레가 서른 암마였다’ 라고 적혀 있습니다. 여기서 둘레(서른 암마)가 지름(열 암마)의 정확히 세배에 해당하는 값으로 표시되고 있다는 것이 당시에 사람들이 원주율을 3으로 알고 있었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원주율이 고대 그리스시대에 이론화되기 시작했지만, 이를 파이(π)라고 표기하기 시작한 것은 1706년 영국의 수학자 월리엄 존스(William Jones, 1675-1749)에 의해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그리스어로 둘레를 뜻하는 “페리페레스”라는 말의 첫 알파벳인 파이(π)를 이용해서 원주율을 사용할 것을 제안했었습니다. 이후 여러 수학자들은 파이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정식을 고안해 내기 위해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소수점자리값들을 찾아내기 위한 노력은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1600년대 독일의 수학자는 소수점 이하 35자리까지 값을 계산해 내는 데에 성공을 했고, 컴퓨터가 사용되기 전 시대에는 영국의 수학자인 샹크스(William Shanks)가 가장 많은 자리수의 파이 값을 찾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약 15년 동안의 계산을 통해 707자리수까지 계산해냈었다고 합니다. 이후에 이 숫자는 528번째 자리부터는 틀렸다는 것이 알려짐으로써,  사람이 손으로 계산해서 알아낸 값은 527자리가 최대 자리수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컴퓨터가 개발된 후 파이값에 계산은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하였고, 1949년에는 약 70여시간의 계산을 통해 소수점 이하 2037자리까지 값을 계산해 내기도 했습니다. 현재는 슈퍼컴퓨터를 사용해서 엄청하게 정확한 값을 계산해 낼 수 있게 되었으며, 공식적으로 발표된 것으로는 프랑스의 연구팀이 약 2조 7천억자리까지 계산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0년에는 일본의 한 회사원이 개인 컴퓨터를 이용해서 5조자리까지 계산을 성공했다는 보도가 발표되기도 했었습니다. 또한 작년 11월에는 피터 트러브(Peter Trueb)라는 사람이 105일간에 거쳐 소수점 이하 22조 4591억 5771만 8361자리까지 계산해 낸 것이 현재까지의 가장 긴 기록으로 남아있습니다. 

 

사실 원주율 값을 소수점 하나라도 더 정확히 찾아내는 것이 수학 이론적으로 큰 변화를 가져오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이는 컴퓨터의 연산 처리성능 속도를 가늠하는 척도로 자주 사용되기도 하고, 계산 알고리즘 방식을 개발하는 데에는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곤 합니다. 값 자체의 가치보다 그를 찾아내기 위한 노력에서 얻어지는 부산물들의 가치가 더 유용한 경우라 할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5건 14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8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를 향한 첫 걸음, 지식의 개념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1 939
18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를 위해 목표를 세우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938
18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예습을 통해 학교 공부를 준비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932
18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유와 근거로 지식의 재건축을 통한 기억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9 931
1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회암사터-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927
18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동물의 두뇌를 벗어나지 못한 인간의 모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925
17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의 두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924
17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아는 것이 정말 힘일까? (공부에는 독이 될 수 있는 ‘나는 알고 있다!’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923
17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7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920
17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내 두뇌에 존재하는 여러 다른 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907
17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최고의 두뇌와 경쟁할 수 있는 두뇌 능력을 키우는 공부 방법 (지식의 개념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906
17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해를 통해 지식을 배우는 과정에는 생각이 필요하지 않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 905
17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의 재건축, 왜? 어떻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5 902
17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발달에 장애가 되는 지식의 정확도를 묻는 시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901
17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조적 사고의 기반, 이유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898
17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896
16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을 보면 학습능력이 보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1 891
16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감대는 함께 난관을 극복하는 힘의 원동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890
16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879
16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좋았던 기억보다 고생한 기억이 오래 남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866
165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5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861
16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860
16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키며 달을 보라고 가르치는데 달이 아닌 손가락을 본다고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858
16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즐거움에 대한 욕망이 집착을 만든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854
16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지 않는 벽을 깨고 나오기 위해서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851
16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운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는 것과 사고력은 완전히 다른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851
15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여 일을 하는 일꾼 vs. 결정되지 않은 미지의 세계를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7 849
15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6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848
15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천재들은 어떻게 천재적 두뇌능력을 발휘할 수 있을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847
15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3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843
155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2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839
15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2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837
15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인과 결과를 연결하는 인과의 법칙을 찾아가는 공부가 사고력을 늘리는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837
15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직접경험을 통해 배우는 공부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837
15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2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835
15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831
14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2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2 828
14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가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827
14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길들여지는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3 818
14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818
14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폭력의 뿌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811
14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취업을 위한 교육에 열을 올리는 학교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810
14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2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807
14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움’과 ‘공부’는 두 가지 다른 개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805
14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최재형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804
14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4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802
13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무뎌지는 감정은 기억력 저하로 이어지고 기억력 저하는 치매로 이어질 수 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801
138 5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최고 지도자가 감정에 맡겨 결정을 내리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800
137 5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지 않는 유리벽에 갇힌 사람들의 특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799
13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의 핵심은 지식과 기술이 아니라 공부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798
13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즐거움에 대한 욕망과 이태원 참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 797
13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기반을 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792
13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야나기 무네요시-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788
13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784
13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권력자의 생존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 783
13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권력자들은 국민을 애완동물처럼 길들이고자 한다. 어떻게 그리고 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781
12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3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779
128 5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도전과 반항 그리고 사회의 양극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778
12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 778
12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의 근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4 778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