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2-01 12:01 조회2,085회 댓글0건

본문

 

인류 탄생과 진화 비밀 밝히는 인류학, 흩어져 있는 퍼즐 맞추기 처럼 흥미진진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영장목(Primates) 사람과(Hominidae) 사람속(Homo) 사람종(Homo sapiens)

 

이는 중고등학교에서 생물수업시간에 배우는 생태계 분류법, 즉 ‘종속과문강문계’ 에 따른 인간종에 대한 생태계에서의 생물학적 분류입니다. 지구상의 다른 생물들과는 다른, 인간은 뭔가 특별한 존재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 수 있고 그런 분들에게는 이런 생물학적 분류가 어색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분명 인간은 지구상 생태계의 한 일원으로서 그 생물학적 지위를 갖고 있습니다. 원숭이를 포함하는 영장목 아래에 사람과가 속해 있고, 사람과는 사람아과(Homoninae), 오랑우탄아과(Ponginae)으로 나누어지고, 사람아과는 다시 사람족(Hominini), 고릴라족(Gorillini)으로 구분되며, 사람족은 다시 사람속(Homo)과 침팬치속(Pan)으로 나뉘어집니다. 이렇게 구분된 사람 속에는 현재는 우리들과 같은 인종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Homo sapiens sapiens)만이 남아 있지만, 수만년 전까지만 해도 약 십여종의 다른 인종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개과 개속 회색늑대종의 아류종에 해당하는 개(Canis lupus familiaris)와 비교해서 생각해보자면, 사람과 침팬지의 차이는 개와 여우 정도의 차이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생물학적으로는 침팬지가 사람에 가장 가깝고, 그 다음으로 고릴라, 그리고 오랑우탄 순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인류의 진화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 듣게 되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Australopithecus)는 침팬지와 인간이 처음으로 구분되는 “속” 단계의 인류이며 약 500 만년 전에서 50 만년 전 사이에 아프리카 대륙을 거점으로 살았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외에 네안데르탈인, 호모 에릭투스, 호모 사피엔스 등의 구분은 모두 가장 낮은 단계의 “종”이 다른 인간들입니다.

어릴적 교과서에서 배웠던 인류의 진화와 문화의 탄생에 대한 기억을 더듬어 보겠습니다. 약 100 만년 전 아프리카 지역에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나타났고, 50 만년 전에서 10 만년 전경 유럽에는 하이델베르크인, 중국에 북경원인, 자바 지역에 자바원인, 그리고 아프리카 지역에 호모 사이피엔스가 생겨났으며, 그들이 각각의 지역에서 진화를 거듭한 후, 기원전 5000-3000년경 이집트 문명, 인더스 문명, 메소포타미아 문명, 그리고 황하 문명의 세계 4대 문명을 구축하며 본격적으로 다른 동물들과는 완전히 다른 인간만의 삶을 영유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최근의 고고학적 연구들은 모두 이러한 각 지역의 원시인류 종들이 자연스럽게 문명으로 연결되는 듯한 평화로운 인류 진화의 이야기에 반대되는 연구결과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까지도 중국의 학생들은 중국인의 선조는 북경원인이라고 배우고 있습니다. 중국의 ‘중화사상’, ‘선민사상’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중국인들은 ‘태생부터’ 다른 인류와는 다른 종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은 것입니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2000년대 초 중국 상하이 푸딘 대학의 유전공학연구소는 중국 각지에 거주하는 1만명의 사람 DNA 샘플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는 기대했던 바와 완전히 반대로 현재 중국인들은 모두 아프리카원인, 즉 호모 사피엔스의 염색체를 갖고 있었습니다, 즉 북경 원인은 현재 어디에도 남아있지 않으며, 모든 (한국인, 일본인 포함) 아시아인들의 선조는 아프리카에서 왔다는 것을 증명하는 결과를 보여준 것입니다. 중국의 북경원인과 비슷한 연구는 세계 각지에서 이루어졌고, 현재 알려진 바로는 수 만년 전까지 지구상에 함께 공생했던 호모 에릭투스, 네안데르탈인 등의 다른 인종들은 모두 멸종되었고, 아프리카에서 살았던 호모 사피엔스가 전 대륙으로 퍼져나가 현재의 인류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발표된 다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약 7 만년 전 아프리카의 호모 사피엔스들이 유럽, 아시아, 오세아니아 등의 다른 대륙으로의 급작스런 대이동이 있었다고 추정된다고 합니다. 몇몇 사회학자나 과학자들은 당시에 어떤 자연적 재앙에 의해 다른 인종들이 사라지고, 그 자리를 호모 사피엔스가 차지하게 된 것이라고 추측합니다. 하지만 우리 모두의 조상이 저지른 일이기에 받아들이기 쉽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남겨진 증거들은 호모 사피엔스가 다른 지역들을 점령하며 타 인종들을 잔혹하게 멸종시킨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여지고 있습니다.

호모 사피엔스가 각각의 대륙에 도착한 시점은 인간종을 포함한 각 대륙의 동물종들중 엄청난 양의 종들이 멸종당해버린 시점과 일치합니다. 현재의 과학자들은 이러한 가설을 바탕으로 어떻게 호모 사피엔스는 다른 인종을 포함하여 수많은 동물 종들을 멸종시킬 정도의 강력한 포식자가 되었던 것인가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실제 백 만년 전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생태계의 먹이 사슬 중 그다지 높지 않은 지위를 갖고 있었고, 인간종이 도구나 불을 사용하기 시작한 이후로도 오랜 시간 인간의 지위는 크게 바뀌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즉, 당시 호모 사피엔스는 직립보행, 도구의 이용, 불의 이용 등과 같이 우리가 현재 뻔히 알고 있는 것들이 아닌 다른 무엇인가를 무시무시한 무기로 갖고 있었다는 이야기가 되고, 그 것이 과연 무엇인가를 알아내는 것이 현재 인류학자들의 많은 관심 중에 하나인 것입니다.

 

인류학, 고고학 등은 남겨져 있는 몇 안되는 증거들만으로 퍼즐을 맞춰가는 학문입니다. 그렇기에 더욱 더 과학적 논리가 뒤받침되지 않는다면 그저 의미없는 ‘썰’이 되어버리고 말 것입니다. 그러한 점에서 가장 신비스러운 이야기들을 가장 과학적인 증거들을 바탕으로 찾아내는 매력적인 학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15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종속되어가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746
12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22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733
1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독립된 삶’은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가장 큰 욕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731
12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종속된 삶은 동물적 생존본능에 바탕을 둔 욕심에서 시작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698
1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고난과 고통의 삶을 벗어나 스스로 만들고 이루어가는 성취감과 행복이 있는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686
11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3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705
11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부정적 감정으로 인한 감정의 소모는 삶을 지치게 하며 논리적인 사고 또한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658
11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4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706
11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풀리지 않았던 문제가 해결될 때의 통쾌함, 어디서 올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704
115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715
11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려움과 공포는 실체를 모를 때 생기는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657
11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673
11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상상의 세계가 주는 즐거움은 또 다른 고통의 씨앗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629
11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697
11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석가모니의 깨달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675
10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684
10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눈을 통해 보는 방법 외의 볼 수 있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708
10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의 두 종류 (비판적 사고 vs. 창조적 사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694
10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714
10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기반을 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767
10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709
10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으로 가르치는 교육은 원시적인 교육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693
10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724
10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단 감정에 빠지는 것은 동물로서의 인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708
10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하는 것의 두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707
9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2 937
9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폭력의 뿌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787
9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2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733
9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3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727
9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유토피아는 존재할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702
9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4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701
9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감대는 함께 난관을 극복하는 힘의 원동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840
9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714
9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감대는 권력자나 지식인들에 의해 통제되고 만들어 질 수 있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634
9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709
8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673
88 5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최고 지도자가 감정에 맡겨 결정을 내리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771
87 5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도전과 반항 그리고 사회의 양극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747
86 5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 사회의 보이지 않는 벽은 사람의 머릿속에 존재할 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736
85 5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지 않는 유리벽에 갇힌 사람들의 특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768
8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지 않는 벽을 깨고 나오기 위해서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827
8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701
8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39 헤럴드코퀴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718
8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726
8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4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692
79 6월 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는 것과 공부는 완전히 다른 개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646
7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2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807
7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은 하나가 아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644
7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3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616
75 6월 2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651
74 6월 30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을 통한 기억력 vs. 방법을 포함한 기억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2 647
73 7월 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에 집착하는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619
7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4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584
71 7월 1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욕망의 종류에 따른 기억력과 공부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680
70 7월 2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670
6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568
68 7월 2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와 계획을 세우는 사고력은 가장 기본적인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567
6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6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575
66 8월 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새로운 아이디어로 창의적 목표를 세우기 어려운 이유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9 602
65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7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1 579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