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2-16 11:55 조회2,100회 댓글0건

본문

 

석면 생산과 수출 가장 많이 한 캐나다. 비판 커지자 수출입 전면 금지 법안 마련

 

 

 

지난 해말, 캐나다 연방정부의 과학부 장관(Science Minister) 커스티 던컨(Kirsty Duncan)은 2018년까지 캐나다 내에서 석면(Asbestos) 사용을 전면 금지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석면의 사용, 생산, 그리고 수출입 전체를 금지하는 법안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사실 석면은 이미 1987년에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중피종(mesothelioma)을 비롯한 폐암(lung cancer)을 일으키는 1급 발암물질(carcinogen)으로 지정되었습니다. 그러기에 국민 건강이나 복지에 대해서 다른 대부분의 나라보다는 더 앞선 선진국이라는 자부심을 갖고 있던 많은 캐나다 국민들에게는 이런 조치가 이제야 이루어졌다는 사실 자체가 조금은 놀랍고 당황스럽게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석면은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여섯 가지의 섬유상 규산광물(silicate minerals)의 총칭으로 크리스탈 결정형 화학구조를 갖고 있는 섬유성 무기물질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그 천연색상에 따라 백석면(crysotile), 청석면(crocidolite) 등으로 구분되며, 모두 현미경으로 확인이 가능할 정도록 미세한 섬유조직을 갖고 있습니다. 미세하게 얽히고 설킨 화학적 구조 덕분에 뛰어난 내구성, 내열성, 전기 절연성 등을 갖고 있으면서도 싼 제조 단가 덕분에 건설 자재, 전기 제품 등 다양한 제품에 널리 사용되어온 물질입니다. 하지만, 그 미세구조는 장점이면서 동시에 큰 문제점을 야기하는 원인이 되는데, 공기 중에 먼지처럼 퍼진 석면가루를 들이 마시는 경우, 폐에 아주 작은 유리가루가 들어가는 것과 같은 것이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게 됩니다.

폐속에 들어간 석면의 미세조각들을 면역세포들이 몸에 들어온 병원균으로 인식하고 공격을 하게 되는데, 광물질인 석면이 면역세포에 의해 분해될 리가 없으니, 그 주변에 면역세포들의 죽은 세포들이 쌓이게 됩니다. 오랜 기간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며 석면가루를 중심으로 암세포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석면(asbestos)이라는 이름은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말로 ‘not’의 의미를 갖는 접두사 ‘A-‘와 ‘멸종시키다(extinguishable)’라는 의미의 ‘sbestos’라는 단어가 붙어서 만들어진 합성어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물질은 ‘멸종되지 않는’, 즉 쉽게 분해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물질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석면은 실제 사용될 때보다 철거되거나 폐기된 이후에 제대로 처리되지 않고 버려지는 경우 더 많은 문제점을 일으키곤 합니다.

 

석기시대 때부터 이미 인류가 사용한 흔적을 보이고 있는 석면은 산업혁명 이후 전세계에서 대대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특히 2차 세계대전을 치르면서 여러가지 군수품에 다양하게 사용되면서 그 사용량이 대폭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대로 197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석면에 의한 질병이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1980년대 이후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들이 석면에 대한 금지 및 규제를 만들어 왔습니다. 비록 많은 나라들이 석면에 대한 규제를 늘려가고 있지만, 개발 도상국가 등 100여 국가에서는 비용절감 이유로 아직도 석면을 사용하고 있고, 이러한 나라들에 석면을 공급한 나라 중 하나가 바로 캐나다였습니다.

자칭 청정국가, 깨끗한 환경을 자랑으로 삼는 캐나다의 어찌보면 두 얼굴의 어두운 반대쪽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캐나다는 그간 석면을 가장 많이 생산하고 수출한 나라입니다. 1862년 런던 만국 박람회에서 캐나다는 석면 원석을 전시할 정도로 석면 채광을 국가적 자랑으로 삼기도 했습니다. 1874년에 처음 제프리(WH Jeffery)라는 사람에 의해 발견되어 1880년부터 채광을 시작한 퀘벡주의 제프리 광산은 단일 석면광산으로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광산이며 2011년까지도 활발히 채광을 해왔지만, 2012년 총선에서 승리한 퀘벡당이 광산 가동을 취소시키면서 현재는 폐광이 되었습니다.

매우 흥미로운 것은 제프리 광산이 위치한 타운의 이름이 바로 ‘Asbestos’입니다. 러시아의 또다른 세계적 광산이 위치한 지역의 이름이 ‘Asbest’인 것을 보면, 지역 이름 역시 ‘석면’에서 유래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동안 러시아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많은 양의 석면을 채굴해 오던 캐나다는 실제 캐나다 내에서는 극히 적은 양만을 사용하고, 대부분을 동남 아시아나 인도에 수출해 왔습니다. 스스로는 그 위험성을 인식하여 잘 사용하지 않으면서, 개발도상국에 수출해 이득을 취했다는 점에 국제적으로 많은 환경운동가, 인권운동가 들에게 지탄을 받아오기도 했습니다.

 

많이 늦은 감이 있지만, 이제라도 석면 생산과 사용을 중단했다는 것은 전 세계인의 건강과 환경을 위해서 환영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비록 2018년부터 석면의 사용을 중단한다 하더라도, 이미 우리 주변의 많은 건물과 물건에는 석면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오랜 기간 건물 철거 및 폐기물 등에서 석면이 노출될 수 있기에 앞으로도 그 위험성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그동안 유리섬유, 폴리오페핀 섬유 등 여러가지 물질들이 석면을 대체할 물질로 개발되어 거의 모든 품목을 대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물질들도 석면보다는 낫지만, 어느 정도의 생물학적 유해성을 갖고 있는 물질입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여러 국제 기구들은 이들 물질들에 대한 사용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생물학적으로 완전히 무해하면서, 석면을 포함한 이러한 물질들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을 찾아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15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종속되어가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761
12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22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758
1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독립된 삶’은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가장 큰 욕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774
12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종속된 삶은 동물적 생존본능에 바탕을 둔 욕심에서 시작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722
1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고난과 고통의 삶을 벗어나 스스로 만들고 이루어가는 성취감과 행복이 있는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704
11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3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720
11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부정적 감정으로 인한 감정의 소모는 삶을 지치게 하며 논리적인 사고 또한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683
11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4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725
11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풀리지 않았던 문제가 해결될 때의 통쾌함, 어디서 올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728
115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734
11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려움과 공포는 실체를 모를 때 생기는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673
11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686
11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상상의 세계가 주는 즐거움은 또 다른 고통의 씨앗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646
11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719
11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석가모니의 깨달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702
10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702
10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눈을 통해 보는 방법 외의 볼 수 있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725
10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의 두 종류 (비판적 사고 vs. 창조적 사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710
10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739
10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기반을 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791
10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731
10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으로 가르치는 교육은 원시적인 교육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716
10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753
10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단 감정에 빠지는 것은 동물로서의 인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733
10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하는 것의 두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737
9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2 971
9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폭력의 뿌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808
9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2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756
9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3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745
9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유토피아는 존재할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723
9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4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729
9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감대는 함께 난관을 극복하는 힘의 원동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885
9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747
9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감대는 권력자나 지식인들에 의해 통제되고 만들어 질 수 있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660
9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746
8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696
88 5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최고 지도자가 감정에 맡겨 결정을 내리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800
87 5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도전과 반항 그리고 사회의 양극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775
86 5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 사회의 보이지 않는 벽은 사람의 머릿속에 존재할 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770
85 5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지 않는 유리벽에 갇힌 사람들의 특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798
8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지 않는 벽을 깨고 나오기 위해서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848
8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724
8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39 헤럴드코퀴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744
8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754
8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4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715
79 6월 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는 것과 공부는 완전히 다른 개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681
7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2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833
7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은 하나가 아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669
7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3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637
75 6월 2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681
74 6월 30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을 통한 기억력 vs. 방법을 포함한 기억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2 679
73 7월 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에 집착하는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646
7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4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610
71 7월 1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욕망의 종류에 따른 기억력과 공부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717
70 7월 2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696
6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595
68 7월 2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와 계획을 세우는 사고력은 가장 기본적인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595
6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6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595
66 8월 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새로운 아이디어로 창의적 목표를 세우기 어려운 이유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9 628
65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7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1 600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