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두산정계비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두산정계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08-02 09:54 조회3,827회 댓글0건

본문

 

 

f6e34c2025f5f000c4bacc24aff640cf_1533228882_8005.jpg
 

* 백두산정계비 위치도

 

 

 

백두산정계비는 1712년(숙종 38) 조선 정부와 청국 정부가 양국 영토의 경계를 구분하기 위해 건립한 비이다. 조선과 청국이 백두산 부근 지역에 대한 사회 경제적 관심과 영토 의식이 고양된 가운데 양국의 경계를 확정한 것이다.

 

 

 

조선은 세종대에 4군과 6진을 설치하였으나, 지형이 험난하여 교통이 매우 불편하였고, 여진족의 침입을 방어하기에도 불리하였으므로 세조대에 4군을 폐지하였다. 더군다나 임진왜란(1592)과 병자호란(1627) 등 대규모 전쟁을 거치면서 이 지역에 대한 정부의 관심은 소홀해졌다.

 

 

 

전란의 여파가 어느 정도 가라앉고 개간 사업이 본격 전개된 효종 ․ 현종대에 이르러 평안도, 함경도 북부 지역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었다. 특히 1644년(인조 22) 청이 수도를 베이징으로 옮기고 중원(중국 문화의 발원지인 황허강 유역의 남북 지역)으로 들어가면서 이 지역이 비게 되자 주민을 이주시키고 읍치(고을)를 두어 강역(국경)으로 확보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17세기 후반에 청과의 무역이 활발해지자, 무역 결재 수단으로 산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였다. 산삼은 주로 강계 등지를 비롯한 압록강, 두만강 상류에 집중 분포되어 있어 이 지역 농민들은 정부의 금압(억눌러서 하지 못하게 함)에도 불구하고 산삼을 채취하기 위해 월강(예전에, 압록강이나 두만강을 건너서 중국에 감을 이르던 말)하는 일이 잦았다.

 

 

 

청국 정부도 한족의 만주 이주와 조선인들의 월경에 대처하기 위해 이 지역을 무인 지대로 설정하여 왕래나 거주를 엄금하였다. 청은 자신들의 발상지를 보존하고 그 상무 정신을 고취하는 한편, 인삼, 초피 등 이 지역의 특산물을 독점하기 위해서였다. 이로 인해 조선과 청국은 외교 분쟁을 야기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백두산 일대의 경계를 확정하기 위해 청과 조선의 관리가 공동으로 조사하여 1712년(숙종 38) 5월 15일 정계비를 세웠다.

 

 

 

<백두산정계비문>

 

오라총관 목극등이

 

국정을 조사하라는 교지를 받들어

 

이곳에 이르러 살펴보고

 

서쪽은 압록강으로 하고

 

동쪽은 토문강으로 경계를 정하여

 

강이 갈라지는 고개 위에

 

비석을 세워 기록하노라

 

강희51년(숙종38, 1712). 5월 15일

 

 

 

그 요지는 조선과 청국 양국의 경계를 서쪽으로는 압록강, 동쪽으로는 토문강을 기준으로 삼아 설정한다는 것이었다.

 

 

 

양국 간의 경계가 이처럼 확정되면서 조선은 월경을 금지한다는 명분아래 방어 시설을 확충하여 조선인과 함께 청국인의 월경을 금지하였다. 아울러 조선 정부는 함경도를 비롯한 북부 지역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18세기 중엽 이후에는 지역 개발의 성과가 나타나 농지 개간이 활발해지고 인구도 늘었으며, 정부에서도 강역 보전과 민생 안정을 위한 제 정책을 적극 시행하였다.

 

 

 

그러나 정계비의 건립은 애초부터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청측은 토문강의 수원(물이 흘러나오는 근원)을 백두산 천지로 오인하여 두만강으로 간주했고 조선 측도 이를 그대로 받아들였던 것이다. 당시 이 지역에 대한 정보가 부정확하여 토문강의 수원을 송화강이 아닌 백두산 천지로 오인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19세기 후반 조선인들이 월경하여 이 지역을 개간했을 뿐만 아니라 영구 이주하여 집단 촌락을 이루면서 또 한 번 조선과 청국 간에 분쟁이 야기되었다.

 

 

 

간도는 두만강과 쑹화 강 사이에 있는 땅으로 조선과 청은 모호한 경계를 확정하기 위해 백두산정계비를 세웠다(1712). 그런데 19세기 후반 간도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면서 간도 귀속을 둘러싼 분쟁이 일어났다.

 

 

 

‘서쪽은 압록강, 동쪽은 토문강으로’라는 백두산정계비문의 내용에서 문제가 된 점은 동쪽의 경계로 삼는다고 새겨져 있는 토문강의 위치였다. 이에 대해 청은 토문강을 두만강이라고 주장했지만, 정부는 토문강이 쑹화 강(송화강)의 상류이므로 간도가 틀림없는 우리 영토라고 주장하였다.

 

이렇듯 백두산정계비문의 해석을 둘러싸고 양쪽이 팽팽하게 맞서 간도 귀속 문제는 확실한 결론을 맺지 못하였다. 그러나 대한 제국 정부는 간도에 이미 수십만 명의 한민족이 거주하는 것을 감안하여, 간도 관리사 이범윤을 파견하고 간도를 함경도의 행정 구역으로 편입하였다(1903).

 

 

 

이후 을사늑약으로 일제가 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강탈하면서, 간도 귀속 문제는 청 ․ 일간의 외교 문제로 넘어가 버렸다. 일제는 “한 ․ 청 양국의 국경은 두만강을 경계로 삼고, 일본 정부는 간도를 청의 영토로 인정한다.”라는 내용의 간도 협약을 맺었다(1909). 일제는 그 대가로 만주의 철도 부설권과 탄광 채굴권 등을 얻었다. 그 결과 현재까지 간도는 중국의 영토로 남아 있다.

 

 

 

[숙종 38년 5월 23일 접반사 박권이 보고하였다. “총관 목극등과 백두산 산마루에 올라 살펴보았더니, 압록강의 근원이 산허리의 남쪽에서 나오기 때문에 이미 경계로 삼았으며, 토문강의 근원은 백두산 동쪽의 가장 낮은 곳에 한 갈래 물줄기가 동쪽으로 흘렀습니다. 총관이 이것을 가리켜 두만강의 근원이라 말하고, 이 물이 하나는 동쪽으로 하나는 서쪽으로 흘러서 나뉘어 두 강이 되었으니 분수령 고개 위에 비를 세우는 것이 좋겠다며, ‘경계를 정하고 비석을 세우는 것은 황제의 뜻이다. 신하들도 마땅히 비석 끝에다 이름을 새겨야 한다.’고 말하였습니다. 신 등은 함께 가서 두루 살피지 못하고 비석 끝에다 이름을 새기는 일은 성실하지 못하다는 말로 대답하였습니다.]

 

<숙종실록>

 

 

 

[애당초 조선은 두만강과 토문강을 두 강으로 잘못 알고 있었고, 내지의 해란하(해란강)가 강의 분계가 되는 것으로 오인하였습니다. 종래는 송화강의 발원지인 통화 송구자에 흙이 쌓여 마치 문과 같다며 토문의 뜻을 무리하게 붙이고 그 주장을 굽히지 않고 강변하였습니다. … 조선 국왕은 감계사 이중하의 치우친 말만 믿고는 홍토산수로 국경을 정하자고 완강하게 요청하여 서로 의견이 맞지 않아 합의가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국경 문제를 가지고 양국이 불편한 관계를 유지할 수 없기에 마침내 국경을 넘어 개간하도록 놓아두어 서서히 해결하고자 하였습니다. 오늘날 조선 무산부 앞 압록강 건너 동쪽의 광제곡, 육도구, 십팔위자 등의 지방에는 조선인으로 경계를 넘어 개간하는 사람이 대략 수천 명이고, 땅도 엄청납니다. 이곳에는 이미 토문강이 천연적으로 경계선 구실을 하고 있어 다시 조사하여 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 또한 근년에는 조선 관리가 변경에서 조세를 자주 징수하자 가혹한 징수에 대한 개간민들의 소요가 종종 일어나 길림에 가서 공소하였습니다. 현재 강의 발원지로 경계를 삼아 깨끗이 금을 긋기가 날로 어려우니, 때에 맞추어 백성을 어루만져야 할 것입니다. … 이에 조선인으로 돌아가기를 원하는 자는 마음대로 하도록 놓아두고 남고자 하는 사람은 변발하고 호복을 입게 하여 중국인과 같이 일률적으로 호적에 편성하여 땅을 개간하면서 조세를 납부하게 하였다.]

 

<청사고> 조선 열전, 광서16년(조선 고종27년:189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15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산타의 썰매는 초음속 비행물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3003
12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 혜허의 수월관음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3017
12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막강한 추천인 한 마디…입사 당락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017
121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2번째 경제용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 3020
120 [알기 쉽게 풀어 쓰는 한국사] 33. 조선 왕릉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3022
11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의 건국 신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0 3034
11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한민국 정부 수립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3043
117 여론조사, 제대로 알고 이해하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3046
116 [과학이야기] 공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3049
11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확장을 통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058
114 신비로운 수학 세계, 오묘한 음악과 갚은 관련 맺고 있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3070
11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리학의 전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3072
1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교각 스님(696~794)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3087
1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선크림 방지법 -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할 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3101
11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잉글리쉬 베이 밤하늘을 수놓은 불꽃놀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113
1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흥선대원군 이하응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4 3113
10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홍산(훙산) 문화(기원전 6,000년 ~ 기원전 800년)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116
10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육의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3122
106 페르세이드 유성우, 그 신비로운 세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3124
10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3125
10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한민국 임시 정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3164
10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과거는 필요 없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3177
10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목조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3180
1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너지 질량 등가 원리(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9 3195
100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핵심 사이트 몇 개면 취업정보 얻는 데 충분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3208
9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청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3220
9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토목·기계, 진출분야 넓고 최고 인기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3227
9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공주 공산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3249
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핼리팩스 대폭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3283
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 구조 2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3287
9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의 신분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3335
9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어 백(Air Bag)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3378
9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붕당 정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3403
9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관찰력을 늘리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3405
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홍산(훙산) 문화(기원전 6,000년 ~ 기원전 800년)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3 3409
8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하와이 노동 이민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5 3416
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설화문학과 패관문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28
8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2 신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 3432
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중력이라는 이름의 코끼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59
8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 방법의 기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3520
84 [알기 쉽게 풀어 쓰는 한국사] 32. 한국의 전통 건축 이해하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3603
8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을불 설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3605
8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독도는 우리 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617
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강화도 조약(1876, 조·일 수호 조규, 병자 수호 조약)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3618
8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매운 음식을 먹으면 스트레스가 해소될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3635
7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백강 전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3684
7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조실록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3702
7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3703
7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신할머니(삼신할미)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3716
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운궁(덕수궁), 대한제국의 꿈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3728
7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천재 물리학자, 레프 란다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3780
7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천재들의 공통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3803
7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6 3811
7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조영이 건국한 발해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0 3812
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설제에 숨어 있는 과학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3816
열람중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두산정계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3828
68 [과학 이야기] 초신성 폭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3867
6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불변의 진리였던 플로지스톤-진리가 아니었던 진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3907
6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30.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해인사 장경판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3908
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터치 스크린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391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