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확장을 통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 1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확장을 통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 1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08-09 09:37 조회3,067회 댓글0건

본문

 

앞서 언급하였듯이 원 주제에 대한 나만의 정의를 내리고 그 정의를 바탕으로 주제를 확장하고자 질문을 만들었다 하더라도 많은 경우 더 이상 진행할 방법을 찾지 못하거나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사고가 제자리를 맴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만들어 놓은 질문에서 핵심요소를 찾아 다음의 사고로 넘어가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여기서 독자 여러분들 중에는 또 다시 ‘이 과정에서 핵심 요소만 필요하다면 왜 굳이 몇 단계에 걸쳐 정의를 내리고 또 정의를 바탕으로 공부에 사용하지도 않을 질문을 만들어야 하나?’라는 의구심을 품는 분들이 있을 것입니다. 필자의 답은 이렇습니다. 서두에서 언급했듯, 앞서 만든 질문은 답을 찾을 수 있을 확률보다 제자리를 맴돌거나 막혀서 더 이상 진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은 질문 자체가 답을 주지 못하는 것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아직 훈련이 부족해 이러한 질문을 바탕으로 답을 찾는 사고력이 부족하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핵심요소를 이어지는 주제로 하여 앞서 나열한 체계적인 공부 방법을 적용함으로서 나만의 정의를 내리는 단계까지 진행한 후 되돌아와서 핵심요소에 대한 정의와 원 주제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만든 질문을 합친 후 원 주제와 원 주제로부터 파생된 핵심요소를 하나로 연결하는 단계로 나아갑니다. 즉, 한 단계를 더 거쳐야 앞서 만든 질문을 사용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지금은 앞서 만들어 놓은 질문을 잠시 접어두고 질문에서 핵심요소만을 찾아 공부를 이어가는 방법에 초점을 맞춰야합니다.

 

지난주까지 정의를 바탕으로 질문을 만들고 그 질문에서 핵심 요소를 찾아내는 방법까지 다뤘는데 이 과정에서 필자가 빼놓고 넘어간 부분이 있어 핵심요소를 찾는 방법에 포함하여 보충 설명을 한 후 이야기를 이어가겠습니다.

 

합성어는 쪼갠 후 핵심 요소를 찾기 (원 주제포함)

 

앞서 설명한 예의 경우 모든 요소를 연결해주는 끈이 바로 ‘땅’이기에 이것이 핵심요소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가끔은 핵심요소가 좀 더 깊이 숨겨져 있어 찾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심장마비’와 같이 하나 이상의 단어 (심장 + 마비)로 이루어진 합성어입니다.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의 기본적인 접근법은 가장 작은 개념에서 시작하는 것이기에 두 단어 이상으로 이루어진 합성어를 주제로 삼으면 공부가 복잡하고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합성어는 각각의 단어로 쪼갠 후 핵심 요소를 찾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심장마비’를 각각의 더 작은 개념으로 쪼갰을 때 나오는 ‘마비’라는 단어는 앞에 ‘심장’, ‘근육’ 등과 같이 그것을 설명해 주는 단어가 있어야 그 의미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기에 변수가 많은 개념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의존도가 높은 개념보다는 그 자체로서 뚜렷한 의미를 지닌 ‘심장’과 같은 단어를 선택하는 것이 공부에 용이합니다.

 

이렇게 핵심요소를 찾았는데 그 단어가 합성어인 경우 그것을 쪼갠 후 각각의 단어에서 다시 핵심요소를 찾은 후 그것을 주제로 하여 사고를 확장해 갑니다.

 

여기서 한 가지 유념해야 할 것은 한국어의 특성상 한자가 많이 섞여있어 실제로는 합성어임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개념으로 받아들여지는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마저도 쪼개고 또 쪼개어 더 이상 쪼갤 수 없을 때 개념 하나 하나를 살펴본 후 핵심요소를 찾아야 합니다. 이렇게 핵심요소를 찾았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다음 단계인 원 주제와 핵심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준비 과정을 시작합니다.

 

핵심요소를 이어지는 주제로 하여 질문, 서술, 나만의 정의를 만드는 과정의 반복

 

핵심요소를 찾았다면 다음은 핵심요소를 주제로 하여 지금까지 배운 공부 방법을 단계별로 적용하는 것입니다. 공부의 각 단계는 앞서 ‘중력’이라는 원 주제에서 다뤘으므로 여기서는 간단하게 요약해서 적겠습니다. 앞서 찾은 핵심요소는 ‘땅’이므로 이것을 주제로 방법을 이어가겠습니다.

 

1. 정의를 묻는 질문: ‘땅’이란 무엇인가?

 

2. 5감 + 6하 원칙을 이용해서 질문: 내게 보이는 땅에 해당하는 것들은 무엇이 있는가?

 

3. 질문에 부합하는 서술: 땅에는 바다, 바위, 산, 들, 모래, 나무 등이 있고 이것들이 모여 둥근 구의 형태로 지구라는 행성을 이루고 있으며 사과와 같은 물질들에 비해서 수천 수백만 배 정도로 무겁고 크다.

 

여기까지 진행했다면 여기서 다시 크게 두 가지 접근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새로운 주제 (땅)에 대한 정의가 앞서 남겨놓은 질문 (사과와 같이 공기 중에 매달려 있는 공기보다 무거운 물체를 땅으로 떨어뜨리는 중력의 힘은 어디에서 오는가?)과 합쳤을 때 의미가 통하는 경우이고 두 번째는 의미가 통하지 않는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두 번째의 경우는 서로 합쳐질 때까지 핵심요소 (예, 무게, 크기 등)를 찾고 그것을 주제로 공부하는 과정을 이어가면서 각 단계별로 만들어진 질문과 합쳐질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합니다. 즉, 지금부터 설명할 첫 번째 방법을 계속 반복하는 과정이므로 첫 번째만을 다루겠습니다.

 

- 계속 -

 

627b72b994b625b9208af0c70a94b805_1533832675_1618.pn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5건 15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 플레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3017
12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산타의 썰매는 초음속 비행물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3021
123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막강한 추천인 한 마디…입사 당락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025
122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2번째 경제용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 3026
1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 혜허의 수월관음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3028
120 [알기 쉽게 풀어 쓰는 한국사] 33. 조선 왕릉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3033
11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의 건국 신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0 3050
118 여론조사, 제대로 알고 이해하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3058
11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한민국 정부 수립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3060
116 [과학이야기] 공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3068
열람중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확장을 통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068
114 신비로운 수학 세계, 오묘한 음악과 갚은 관련 맺고 있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3078
11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리학의 전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3085
1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교각 스님(696~794)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3105
1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선크림 방지법 -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할 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3118
11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잉글리쉬 베이 밤하늘을 수놓은 불꽃놀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124
1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흥선대원군 이하응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4 3125
108 페르세이드 유성우, 그 신비로운 세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3131
10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홍산(훙산) 문화(기원전 6,000년 ~ 기원전 800년)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131
10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육의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3145
10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3148
10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한민국 임시 정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3178
10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과거는 필요 없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3185
10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너지 질량 등가 원리(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9 3206
101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핵심 사이트 몇 개면 취업정보 얻는 데 충분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3218
10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청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3233
9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목조 미륵보살 반가사유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3233
9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토목·기계, 진출분야 넓고 최고 인기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3240
9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공주 공산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3263
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 구조 2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3299
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핼리팩스 대폭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3303
9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의 신분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3351
9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붕당 정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3411
9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관찰력을 늘리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3414
9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어 백(Air Bag)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3417
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홍산(훙산) 문화(기원전 6,000년 ~ 기원전 800년)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3 3424
8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하와이 노동 이민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5 3431
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설화문학과 패관문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47
8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2 신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 3457
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중력이라는 이름의 코끼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80
8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 방법의 기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3533
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을불 설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3617
83 [알기 쉽게 풀어 쓰는 한국사] 32. 한국의 전통 건축 이해하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3636
8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독도는 우리 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643
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강화도 조약(1876, 조·일 수호 조규, 병자 수호 조약)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3644
8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매운 음식을 먹으면 스트레스가 해소될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3651
7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백강 전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3697
7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조실록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3720
7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3722
7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운궁(덕수궁), 대한제국의 꿈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3744
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신할머니(삼신할미)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3771
7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천재 물리학자, 레프 란다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3806
7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천재들의 공통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3813
7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6 3825
7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조영이 건국한 발해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0 3831
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설제에 숨어 있는 과학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3842
6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두산정계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3857
68 [과학 이야기] 초신성 폭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3879
6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불변의 진리였던 플로지스톤-진리가 아니었던 진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3915
6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30.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해인사 장경판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392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