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옥시데인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옥시데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06-25 12:02 조회2,577회 댓글0건

본문

00.gif

 

 

우리의 삶과 생태계를 살아있게 하는 지구의 신비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는 다른 행성에서는 흔히 발견되지 않는 옥시데인(oxidane)이라는 매우 특이한 화합물이 있습니다.

 

옥시데인이라는 이름은 화합물의 학술적 이름을 결정하는 국제 순정응용 화학연합(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IUPAC)에서 결정된 공식 명칭이며, 분자식을 이용한 명명법으로는 일산화수소수(dihydrogen monoxide)라고도 불리는 물질입니다.

 

옥시데인은 무색, 무취의 특성을 갖기 때문에 공기 중에 퍼져있어도 실제로 그 존재를 느끼기가 쉽지는 않고, 현재 지구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액체 상태로 존재 합니다.

 

이 물질은 잘못 사용하거나 과다섭취를 하는 경우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기체 또는 고체 상태의 옥시데인에 피부가 노출되는 경우, 피부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도 있고, 액체 상태의 옥시데인이 호흡기에 들어가는 경우, 적은 양으로도 폐기능에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생명체 뿐만 아니라, 금속이 옥시데인에 오랜 시간 노출되는 경우, 금속 특유의 성질을 잃어버리고 산화, 즉 녹이 슬어버릴 수도 있습니다. 또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옥시데인은 이산화질소(nitrogen dioxide), 이산화 탄소(carbon dioxide) 등과 반응하여 산성비를 만들어내는 주범이기도 합니다.

 

물론 옥시데인은 위험하기만 한 물질은 아닙니다. 이 물질은 생명체가 존재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물질 중에 하나로서, 다른 행성과 달리 지구에 생명체가 있을 수 있는 이유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또한 옥시데인을 화학적으로 분리하면 에너지 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차세대 에너지원으로도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물질이기도 합니다. 또한 이 옥시데인은 다른 일반적인 액체들과 달리 매우 특이하게 고체 상태의 밀도가 액체상태의 밀도보다 더 낮아서, 고체형태의 옥시데인은 액체 상태의 옥시데인 안에서 아래로 가라앉지 않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색깔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다량의 옥시데인이 함께 있으면, 빛의 산란효과에 의해서 푸른빛을 띄기도 합니다. 이렇듯 생명체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이면서, 동시에 위험요소가 될 수도 있으며, 다른 액체 상태의 화합물과 비교했을 때 독특한 화학적 특성을 갖는 옥시데인은 우리들에게 친숙한 또 다른 이름이 하나 있는데, 그것이 바로 '물(water)'입니다.

 

물은 우리 주변에 너무나 흔히 있는 물질이기에 매우 친숙하게 느껴지고, 상식적으로 모두가 잘 아는 물질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다보니 물의 특성을 보게 된다고 하더라도, 주변에서 워낙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이기에 그것이 특이한 것이라는 것을 생각해 본 적도 별로 없는게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스커피를 타먹을 때도, 한겨울 강위에 얼음이 둥둥 떠 다닐때도, 물 위에 얼음이 떠있는 것을 보면서, 그저 당연하다고 생각할 뿐, 그것이 이상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하지만, 곰곰히 생각해보면 고체 형태가 되면 대부분의 경우 밀도가 높아져서 동일한 부피일 경우 무게가 더 나가기 때문에 아래로 가라앉는 것이 정상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물은 그에 반대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물의 경우는 독특한 수소결합(hydrogen bonding)이라는 분자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서 얼음, 즉 고체가 되는 경우 물분자들이 일정한 육각구조를 형성하면서, 액체상태보다 분자간에 빈공간이 더 많이 생겨나 밀도가 액체 상태일때보다 더 낮아지는 특징을 갖게되고, 그 결과 섭씨 4도 온도를 갖을 때 물의 밀도가 가장 커지게 됩니다. 이러한 특이한 구조적 특징때문에 얼음이 물위에 뜰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물이 단지 다른 일반적인 물질과 달리 밀도의 역전현상을 갖는다는 이상의 큰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이는 바로 물의 이러한 특징 덕분에 생명체가 지구에 현재까지 살고 있다고도 이야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 겨울이 되어 강이 얼어 붙는다고 하더라도 얼음이 위로 뜨기 때문에 상층부로 올라오고, 그 덕분에 강이 완전히 얼었다고 하더라도 그 아래는 얼지 않아 생명체가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이러한 물의 특성 덕분에 가능한 것입니다. 만약 물이 밀도 역전의 특성을 갖지 않는다면, 한겨울, 또는 빙하기에, 강물이나 바닷물 등이 아래로부터 완전히 얼어붙어 더 이상 생명체가 살 수 없는 조건이 되어 지금과 같은 생태계를 이루고 지구상에 생명체들이 살아가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비록 우리에겐 너무나 흔한 것이라 그 특이성을 잘 느끼지 못하고 살고 있지만, 만약 지구 생명의 가장 근본이 되는 요소인 물이 다른 화합물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그래서 비슷한 물질들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그런 물질이었다면, 아마도 이 드넓은 우주에 다른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확률은 지금보다 훨씬 더 높아졌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우리에겐 흔할지 모르지만, 전 우주로 보자면 매우 희귀한 특성의 물을 갖을 수 있었던 것, 그것이 바로 이 지구의 생명체들에게 기적이 아닐까 싶습니다. 비록 우리는 대부분 그 기적을 못 느끼며 살아가고 있지만 말입니다. 

 

sjy.gif
석준영  비센학원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5건 15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의 근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4 779
124 5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 사회의 보이지 않는 벽은 사람의 머릿속에 존재할 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775
12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종속되어가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767
12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8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6 767
12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22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765
1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내 두뇌속의 피라미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765
11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2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763
11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763
117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762
11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760
115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757
11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756
11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754
11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3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752
11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39 헤럴드코퀴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745
11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743
10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하는 것의 두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743
10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를 세우는 방법이 사고력을 결정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739
10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진주를 연결해 목걸이를 만들 듯 개념들을 연결하면 오래 기억할 수 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738
10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단 감정에 빠지는 것은 동물로서의 인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737
10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풀리지 않았던 문제가 해결될 때의 통쾌함, 어디서 올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736
10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736
10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736
10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4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736
10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를 이루고자 생각하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4 733
10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유토피아는 존재할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731
9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눈을 통해 보는 방법 외의 볼 수 있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730
9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730
9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4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729
9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728
95 7월 1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욕망의 종류에 따른 기억력과 공부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728
9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종속된 삶은 동물적 생존본능에 바탕을 둔 욕심에서 시작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727
9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3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726
9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4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725
9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으로 가르치는 교육은 원시적인 교육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722
9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의 두 종류 (비판적 사고 vs. 창조적 사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717
8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독의 원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 717
8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고난과 고통의 삶을 벗어나 스스로 만들고 이루어가는 성취감과 행복이 있는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710
87 7월 2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707
8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석가모니의 깨달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705
85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704
8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702
8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치매는 과거가 아닌 현재의 두뇌사용방법에 따라 결정되는 질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 700
8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693
81 6월 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는 것과 공부는 완전히 다른 개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689
80 6월 30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을 통한 기억력 vs. 방법을 포함한 기억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2 689
7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부정적 감정으로 인한 감정의 소모는 삶을 지치게 하며 논리적인 사고 또한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687
78 6월 2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686
7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려움과 공포는 실체를 모를 때 생기는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681
7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은 하나가 아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672
7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감대는 권력자나 지식인들에 의해 통제되고 만들어 질 수 있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668
74 7월 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에 집착하는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659
73 8월 1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의적 사고력을 막는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651
7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상상의 세계가 주는 즐거움은 또 다른 고통의 씨앗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647
7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3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642
70 8월 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새로운 아이디어로 창의적 목표를 세우기 어려운 이유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9 633
6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4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614
6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7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1 614
6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609
66 7월 2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와 계획을 세우는 사고력은 가장 기본적인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606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