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03-21 15:26 조회2,587회 댓글0건

본문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의 전 단계에 해당하는 1, 2단계 공부의 주제는 고등학교나 대학에서 다루는 공부의 주제와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학교 등 일반 교육기관의 교육방법은 지식을 전달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필자의 ‘개념을 쌓는 공부 방법’과 ‘이론을 정립하는 공부 방법’은 단순한 지식의 전달이 아닌 스스로 개념을 연결하여 쌓고 이론을 만든 사람들의 사고를 스스로 재구성하여 따라감으로서 천재로 알려진 사람들의 사고 방법을 익혀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필자가 칼럼을 시작한 이후 여러 차례 언급했듯이 천재들의 사고능력은 동떨어진 개념을 서로 연결하는 두뇌 능력에 있습니다. 천재들의 사고 능력이 ‘서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에 있다는 것은 사실 2005년 스티브 잡스가 스탠포드 대학 졸업식의 연설 중 ‘점과 점을 연결하라’는 내용을 ‘개념과 개념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그 형태만 조금 바꾸어 필자 나름대로 설명한 것이기에 새로울 것이 없습니다.

 

천재들의 두뇌 능력을 ‘서로 동떨어진 개념과 개념을 연결하는 사고’라는 관점에서 보자면 필자가 제시하는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에서 1단계의 ‘개념을 쌓는 공부 방법’을 통해 개념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서로 동떨어진 개념을 연결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천재적 사고력을 지닐 수 있게 된다고 쉽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과연 개념과 개념을 연결만 한다고 해서 쉽게 천재들의 사고력을 따라갈 수 있을까요? 뉴턴과 아인슈타인의 사고를 예로 들어 한걸음 더 들어가 보겠습니다.

 

지난 3월 2일, 9일자 칼럼에서 예로 든 뉴턴으로부터 시작된 ‘위성’이라는 개념은 ‘중력’과 ‘힘’이라는 두 가지 개념의 연결입니다. 하지만 중력을 거스르는 힘의 차이를 생각할 수 없다면 ‘위성’이라는 개념은 만들어지기 어렵습니다. 즉, 상대적 힘의 차이를 확연하게 이해할 수 있어야 ‘위성’이라는 개념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의 경우에도 시간, 공간, 빛의 속도, 인간의 시각 (본다는 것)과 같이 적어도 4개 이상의 개념을 연결할 수 있어야 가능하지만, ‘상대성’이라는 단어에서 이미 알 수 있듯이 개념과 개념의 상대적 관계를 뚜렷하게 인식할 수 있어야 이러한 이론의 정립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필자의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에서 2단계의 훈련 그리고 나아가 3, 4 단계의 훈련에서 가장 중점을 두고 훈련을 하는 부분이 바로 이 ‘상대성’입니다. 이 말은 곧 ‘상대성’의 개념을 스스로 익혀가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는 것을 뜻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 상대성을 이야기하자면 또 다른 공부의 핵심요소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그것은 바로 ‘깨달음’입니다. 우선 예를 들고 설명을 이어가겠습니다.

 

‘중력’이라는 개념은 뉴턴 이전에 이미 존재하던 개념입니다. 즉, 자연현상을 설명하면서 그것을 함축하여 나타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이름’의 하나가 ‘중력’이었고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었던 개념입니다. 뉴턴의 사고가 달랐던 점은 바로 ‘중력’을 단순히 지식적인 개념인 ‘중력’으로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사과가 떨어지는 현상을 보고 실제 중력을 확연하게 스스로 봄으로서 자연 현상으로서의 중력의 개념을 뚜렷하게 인식하는데 있었다고 필자는 해석합니다.

 

여기서 단순히 이름 또는 지식으로 익혀 아는 것이 아닌 확연하게 스스로 보는 이 과정, 이것을 필자는 ‘깨달음’이라고 이야기합니다.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을 필자는 다른 표현으로 ‘지혜를 쌓는 공부 방법’ 또는 ‘깨달음을 얻는 방법을 익히는 방법’으로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즉, 깨달음을 얻는 것에서 그치는 공부가 아니라 끊임없이 깨달아가는 공부가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이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깨달음’이라고 이름이 붙었다고 해서 모든 ‘깨달음’이 필자가 이야기하는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의 ‘깨달음’은 아닙니다.

 

공부의 과정에서 무엇이 진정한 ‘깨달음’인지를 뚜렷하게 볼 수 없다면 공부의 방향은 엉뚱한 곳으로 흐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2단계 공부 방법에 대한 내용에 들어가기 전에 독자 여러분들께서 익숙할 만한 ‘일반적으로 알려진 깨달음’, ‘원효의 깨달음’, 그리고 ‘석가의 깨달음’까지 깨달음에 관한 내용을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15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 775
123 5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 사회의 보이지 않는 벽은 사람의 머릿속에 존재할 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770
1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내 두뇌속의 피라미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764
12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8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6 763
1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종속되어가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761
11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22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758
118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757
11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2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756
116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755
115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754
11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754
11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747
11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746
11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3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745
11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39 헤럴드코퀴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744
10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739
10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하는 것의 두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738
10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734
10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단 감정에 빠지는 것은 동물로서의 인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734
10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를 세우는 방법이 사고력을 결정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733
10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진주를 연결해 목걸이를 만들 듯 개념들을 연결하면 오래 기억할 수 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733
10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를 이루고자 생각하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4 732
10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731
10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4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729
10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풀리지 않았던 문제가 해결될 때의 통쾌함, 어디서 올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728
9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4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726
9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눈을 통해 보는 방법 외의 볼 수 있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725
9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725
9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종속된 삶은 동물적 생존본능에 바탕을 둔 욕심에서 시작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723
9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유토피아는 존재할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723
9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3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720
9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719
92 7월 1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욕망의 종류에 따른 기억력과 공부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717
9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으로 가르치는 교육은 원시적인 교육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716
9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4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715
8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독의 원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 713
8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의 두 종류 (비판적 사고 vs. 창조적 사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712
8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고난과 고통의 삶을 벗어나 스스로 만들고 이루어가는 성취감과 행복이 있는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705
8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석가모니의 깨달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702
85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702
8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696
83 7월 2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696
8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치매는 과거가 아닌 현재의 두뇌사용방법에 따라 결정되는 질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 693
8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687
8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부정적 감정으로 인한 감정의 소모는 삶을 지치게 하며 논리적인 사고 또한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683
79 6월 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는 것과 공부는 완전히 다른 개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681
78 6월 2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681
77 6월 30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을 통한 기억력 vs. 방법을 포함한 기억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2 679
7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려움과 공포는 실체를 모를 때 생기는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673
7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은 하나가 아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669
7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감대는 권력자나 지식인들에 의해 통제되고 만들어 질 수 있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660
73 7월 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에 집착하는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647
7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상상의 세계가 주는 즐거움은 또 다른 고통의 씨앗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646
71 8월 1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의적 사고력을 막는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645
7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3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637
69 8월 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새로운 아이디어로 창의적 목표를 세우기 어려운 이유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9 629
6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4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610
6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605
6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7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1 600
65 9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접하는 도박의 맛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6 600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