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질문의 종류와 기능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질문의 종류와 기능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2-27 11:53 조회2,381회 댓글0건

본문

 

아이들 질문 가로막는 것, 창의력 방해하는 큰 장애물 될 수 있어

 

 

논리적/객관적 사고력을 키우는 열쇠로서 필자는 질문을 강조해 왔습니다. 현재 BC주의 학교교육도 학생들로부터 더 많은 질문을 유도하고 또 그 질문에 스스로 답을 찾는 방향으로 전환을 하는 과정에 있음을 BC주가 제공하는 교육 정책에 관한 자료나 웹사이트를 통해 또는 학교 선생님들과 대화로 많은 부모들은 인식하고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보통의 아이들은 어려서부터 끊임없이 질문을 합니다. ‘구름은 왜 떠있어?’, ‘저건 뭐야?’, ‘왜 저렇게 생겼어?’ 등등 가끔은 부모가 정신을 차릴 수 없을 정도로 쉬지 않고 질문을 던집니다. 이렇게 아이들에게 질문은 자연스러운 것인데 왜 학교교육은 새삼스럽게 아이들의 질문을 유도하는 교육을 이야기하는 것일까요? 시간이 흐를수록 질문이 점차 줄어드는 아이들의 모습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질문을 멈추게 하는 요인이 아이들 주변의 어른들임을 조금만 관찰해보아도 알 수 있습니다. 예로서 ‘비는 왜 와?’와 같이 중력의 개념, 무게의 개념, 온도에 따른 물의 특성 등 깊이 있는 내용을 알지 못하면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을 받으면 많은 경우 부모 또는 선생님은 질문을 하지 못하도록 강요하거나 주제에서 벗어난다며 대답을 회피하는 경우가 바로 아이들의 질문을 막는 요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부모나 선생님이 아이들의 질문을 통해 모르는 것도 함께 찾아가려 하기 보다는 자신들의 지식 밖의 내용에 대해 질문하는 아이들을 막다보니 교육은 부모/선생님들이 이미 배워서 알고 있는 지식의 전달에 초점이 맞춰지고, 이렇게 지식의 전달에 치중하다보니 아이들이 미지의 세계를 탐구하는 방법을 익히기 보다는 주어지는 지식을 소화하는 형태의 공부를 하도록 훈련이 되고 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미처 생각하지도 못했던 미지의 세계를 탐구하는 힘을 기르는 것이 교육의 한 목적이라고 본다면 지식의 전달을 위주로 하는 교육으로부터 방향을 전환해야 할 필요성이 생길 수밖에 없었을 것이고 그렇기에 교육의 방향을 바꾸려 한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입니다.

 

이렇게 질문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지금, 일상에서 자녀들과 질문하는 방법을 찾아갈 수 있도록 아직까지 깊이 있게 다뤄지지 않은 질문의 종류와 기능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1. 지혜를 쌓는 도구로서의 질문 (인간만의 고유한 두뇌 발달에 초점을 둔 질문으로 개인의 판단 또는 생각이 배제된 질문): ‘바람은 왜 불지?’, ‘산은 왜 산이라고 하나?’, ‘생명이란 무엇일까?’, ‘존재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등의 질문은 판단이 배제된 상태에서 오감을 통해 들어오는 정보에 대한 호기심에서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질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질문은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 (연구)을 통해 과학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옳고 그름, 맞고 틀림 등에 기초를 둔 것이 아니기에 질문 중에서도 가장 익히기 어려운 형태의 질문이자 답을 찾기에도 가장 어려운 질문입니다. 하지만 답을 찾는 방법을 익히는 순간 인간에게 주어진 두뇌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즉, 지혜의 완성을 이룰 수 있습니다.

2. 지혜와 지식의 경계선에 있는 질문 (질문을 하는 사람에 따라 개인의 판단이 가미된 것과 배제된 것이 결정되는 형태의 질문): ‘대기 오염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은?’, ‘인구 증가와 사회문제의 연관성은?’ 등과 같은 질문은 질문을 하는 사람이 이미 판단을 내리고 질문을 하였는지/아닌지의 여부에 따라 두 갈래로 나누어지는 질문입니다. 질문을 한 사람이 자신의 판단을 내리지 않고 원인과 결과에만 중점을 두어 답을 찾는다면 위에서 이야기한 지혜의 질문과 같이 미지의 세계를 탐구하는 질문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득/실, 맞다/틀리다 등 (예, 인구 증가는 문제다)과 같은 판단을 내리고 사고를 해 나간다면 지식을 쌓는 질문에서 멈추게 되는 양면성을 지닌 질문들입니다. 이러한 형태의 질문들은 학교교육을 예로 들자면 석사/박사 과정과 같이 연구를 하는 사람들이 주로 던지는 질문입니다.

3. 지식을 쌓는데 중점을 둔 질문(지식을 늘리고자 하는 질문으로 동물적 생존 본능에 충실한 질문의 형태): ‘일제 강점기가 뭐야?’, ‘미적분은 어떻게 하는 거야?’, 등과 같이 모르는 것을 배워서 알고자 하는 형태의 질문입니다. 자신이 먹을 풀/생선 등에 독성이 있고/없음 등을 구분해서 지식으로 기억해야 생존할 수 있었던 진화의 과정을 통해 생존을 위한 판단 (있다/없다, 맞다/틀리다, 옳다/그르다 등)을 내리기 위해 던지는 질문의 형태로 질문에 있어서는 가장 기초적인 것이며 지금까지 학교교육의 주된 방법으로 받아들여진 것입니다.

 

자녀들과 함께 일상에서 미지의 세계를 탐구하는 질문과 지식을 찾는 질문 중 어느 쪽의 비중이 높은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5건 16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5 8월 1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의적 사고력을 막는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652
64 8월 1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양극화라는 불씨에 기름을 붓는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530
63 [헤럴드 코튀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8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512
62 8월 2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욕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551
61 9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접하는 도박의 맛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6 605
60 9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독에도 종류가 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9 472
5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609
5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590
57 9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형태의 천재적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586
5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51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548
55 9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천재들의 아이디어를 판단할 수 없는 사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530
5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52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510
53 9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삶의 고통과 괴로움은 목표를 향해 달려가기 때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470
52 [헤럴드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53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493
51 10월 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든 인간은 천재성을 가지고 태어난다. 다만 사회가 천재성을 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548
50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54.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519
4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치매 (1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478
48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492
47 10월 20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치매 (2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523
46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503
45 10월 2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1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532
44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508
43 11월 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2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6 458
42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459
41 11월 10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3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419
40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427
39 11월 1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4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511
38 [아이엘츠공식시험센터]아이엘츠를 준비중이라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필수 어휘 시리즈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395
37 11월 2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고기를 잡아주기 보다는 고기를 잡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515
36 [아이엘츠공식시험센터]아이엘츠, 셀핍 시험을 준비중이시라면 꼭 필요한 어휘 시리즈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441
35 12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3 414
34 [헤럴드아카데미] 셀핍 Writing문제 답안작성 꿀팁!! 함께 풀어보세요???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495
33 12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으로 목표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432
32 [아이엘츠IDP공식시험센터] 아이엘츠 기초반 수업에서 배우는 어휘! 사람의 외모 및 성격 관련 어휘,표현에 …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358
31 12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은 눈에 보이지 않는 목표를 만들 수 있는 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584
30 [헤럴드코퀴틀람] 아이엘츠 Writing 관련 빈출문제를 통한 문장 작성 방법~!! 라이팅 공부 중이시라면 …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395
29 12월 2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동물의 두뇌 vs. 인간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449
28 <왕초보 영어회화>공손한 표현 "Would you like to~" 쉽게 쓰고 계신가요??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1 371
27 12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높은 시험성적은 두뇌가 지식의 노예화가 되었다는 증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1 447
26 1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꿈을 이루기 위한 삶의 의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393
25 1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을 자극하는 호기심과 사고력을 막는 호기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4 479
24 기초 영어 회화 <날씨와 관련된 필수 패턴> "지난 밤에 진눈깨비가 내렸어요." 를 영어로~~????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378
23 1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 전달에 중점을 둔 교육으로는 보물을 찾을 수 없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392
22 아이엘츠 제대로 공부하기/에세이를 쓰실때 유용한 표현들과 함께 라이팅 점수도 챙겨보세요~!!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6 373
21 1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의 진화 과정을 그대로 따라가며 발달하는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427
20 2월 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와 신호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364
19 2월 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 발달에서 지식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344
18 2월 1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 사용을 보면 두뇌가 보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414
17 2월 2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은 언어와 두뇌 발달의 핵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390
16 3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역사적으로 탄압받은 질문 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410
15 3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의 정확도를 측정하는 시험의 의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9 413
14 3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스턴트 지식, 인스턴트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433
13 3월 2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공지능으로 인해 사라지는 직장, 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426
12 3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낚시? 그냥 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36
11 4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빈 깡통은 요란해서 사람의 시선을 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388
10 4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을 가진 사람과 생각이 없는 사람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5 361
9 4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은 결과/결론이 정해졌을 때 일어나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429
8 4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신호 체계 발달을 촉진하는 감정과 사회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288
7 5월 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하는 도구로서의 언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30 241
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랑에 눈이 머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212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