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낚시? 그냥 가!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3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낚시? 그냥 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4-03-21 11:52 조회332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낚시? 그냥 가!

   

◆ 요즘 인공지능이 대세인데, 인공지능은 문제를 찾아내는 것에는 이용하기 어렵다고 하셨잖아요? 인공지능에 대해 조금 더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데, 인공지능은 어떻게 인간의 자리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일까요?

   

- 인공지능은 인간을 대체할 수 없어요. 다만 현실에서 인간을 대체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사람들이 인간에게 주어진 인공지능을 넘어설 수 있는 두뇌를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이죠. 

   

◆ 두뇌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는 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요? 인공지능과 인간의 두뇌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인공지능은 목적과 목표가 주어지면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가장 빠르고 정확한 방법을 찾을 수 있어요. 예를 들면 바둑과 같은 게임이죠.

   

◆ 그런데 인간도 목적과 목표가 없으면 살아가는데 어려움을 겪지 않나요? 직장에서 일을 하는 이유도 돈을 벌어 필요한 곳에 사용하기 위함이잖아요. 

   

- 보통은 그렇죠. 그런데 인간에게는 생존 말고도 또 다른 목적이 있는데 생각해 본적 있나요? 

   

◆ 생존하는 것 말고 어떤 목적이 또 있을까요?

   

- 골프를 취미로 하는 사람에게 골프를 왜 하나고 물으면 어떤 답이 나올까요? 

   

◆ 글쎄요? 그냥 재미있어서 한다고 하지 않을까요? 

   

- 그러면 낚시를 하는 사람에게 낚시를 왜 하냐고 물으면요?

   

◆ 그냥 한다고 답하더라고요. 

   

- 그냥 한다는 답 또는 재미있어서 한다는 답이 뜻하는 바가 뭘까요? 

   

◆ 생각해 본적이 없는데, 일단 이유를 모른다는 뜻 아닐까요? 

   

- 왜 모를까요? 

   

◆ 좋아는 하는데, 왜 좋은지에 대한 답을 찾지 못해서 일 것 같아요. 

   

- 왜 답을 못 찾을까요? 

   

◆ 글쎄요? 왜죠?

   

- 인간의 두뇌는 궁금한 것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요. 그런데 답을 찾기 위해서는 생각을 해야죠.

   

◆ 그러면 왜 좋은지 또는 왜 하는지 모르는 사람들은 생각을 안 하는 사람들인가요? 

   

- 아니요. 생각을 해보기는 했을 거라고 봐요. 하지만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생각을 정리하지 못했다고 볼 수 있죠. 

   

◆ 차이가 뭐죠?

   

- 궁금한 것이 있고 그것에 답을 찾을 수 있다는 것과 답을 찾지 못해 포기한 상태에서 ‘낚시, 그냥 가!’라고 답하는 사람의 차이는 두뇌 능력에 있어요. 그리고 그 차이는 목적이 아닌 목표에 질문과 호기심을 집중할 수 있는 사람이고요. 

   

◆ 이해가 안가요. 목적과 목표의 차이가 뭔가요? 

   

- 낚시의 첫 번째 목적이 뭘까요? 

   

◆ 당연히 고기를 잡는 것 아닐까요? 

   

- 회사의 목적은요? 

   

◆ 물론 이윤 창출이겠죠.

   

- 그런데 이런 목적은 어린이도 쉽게 볼 수 있고 이룰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겠죠?

   

◆ 그렇죠. 또 부모가 교육을 시키기도 하죠. 예를 들어 청소를 하면 용돈을 주는 방법으로 목적을 이룰 수 있는 방법을 교육하니까요. 

   

- 그러면 낚시나 골프를 하는 사람에게 왜 하느냐고 물으면, 왜 그냥 한다거나 그냥 즐기려고, 또는 즐기는 게 아니라 비즈니스를 위해 하는 거라는 식으로 이야기를 할까요? 

   

◆ 글쎄요? 그냥 솔직하게 말하면 될 것 같은데, 왜 그렇게 돌려 말하는 거죠? 낚시하는 이유를 그냥 고기를 잡기 위해서 한다고 말하면 너무 속물처럼 보일까봐 그럴까요? 

   

- 속물처럼 보인다는 뜻이 뭘까요? 

   

◆ 사냥하는 동물은 말 그대로 먹고 살기 위해 사냥을 하잖아요. 그러니까 낚시를 하는 이유도 고기를 잡기 위해서라고 답한다면 동물적 욕망과 다를 게 없잖아요. 

   

- 그러면 낚시하는 이유를 ‘그냥 해’라고 답하면요?

   

◆ 마치 철학자가 하는 말처럼 들릴 것 같아요. 

   

- 왜 철학자가 하는 말처럼 들릴까요? 

   

◆ 글쎄요? 왜 그럴까요? 

   

- 듣는 사람도 답이 없다는 뜻 아니겠어요? 

   

◆ 그럴 것 같네요. 자신도 답이 없으니 낚시를 왜 가냐고 묻는 말에 ‘그냥 가’라고 답하는 것이 마치 철학자의 답처럼 들릴 것 같네요. 그러면 결론은 ‘그냥 가!’라고 답하는 사람도 답을 찾지 못하는, 그러니까 두뇌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이고, 그 말을 듣고 ‘와, 멋진 답이다!’라고 답하는 사람도 두뇌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이라고 볼 수 있나요?

   

- 아니요. ‘그냥 가!’라고 답하는 사람이 스스로 그 답을 만들어 표현했다면 자신이 생각을 통해 답을 찾았기 때문에, 단순히 멋진 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보다는 두뇌 능력이 한 단계 위라고 볼 수 있어요. 하지만 과거 누군가 한 말을 멋지다고 생각하면서 따라 했다면 도토리 키재기죠. 두뇌 능력이 거기서 거기라는 뜻이에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5건 16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5 7월 2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와 계획을 세우는 사고력은 가장 기본적인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601
6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600
6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6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600
6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588
61 9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형태의 천재적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579
60 12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은 눈에 보이지 않는 목표를 만들 수 있는 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576
59 8월 2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욕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550
5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51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547
57 10월 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든 인간은 천재성을 가지고 태어난다. 다만 사회가 천재성을 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546
56 10월 2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1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530
55 9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천재들의 아이디어를 판단할 수 없는 사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528
54 8월 1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양극화라는 불씨에 기름을 붓는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526
53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54.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518
52 10월 20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치매 (2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517
51 [헤럴드 코튀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8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512
5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52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510
49 11월 1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4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508
48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507
47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503
46 11월 2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고기를 잡아주기 보다는 고기를 잡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502
45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492
44 [헤럴드아카데미] 셀핍 Writing문제 답안작성 꿀팁!! 함께 풀어보세요???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491
43 [헤럴드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53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489
4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치매 (1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474
41 1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을 자극하는 호기심과 사고력을 막는 호기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4 473
40 9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독에도 종류가 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9 470
39 9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삶의 고통과 괴로움은 목표를 향해 달려가기 때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470
38 11월 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2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6 458
37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457
36 12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높은 시험성적은 두뇌가 지식의 노예화가 되었다는 증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1 445
35 12월 2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동물의 두뇌 vs. 인간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443
34 [아이엘츠공식시험센터]아이엘츠, 셀핍 시험을 준비중이시라면 꼭 필요한 어휘 시리즈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439
33 12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으로 목표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430
32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426
31 1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의 진화 과정을 그대로 따라가며 발달하는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426
30 3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스턴트 지식, 인스턴트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426
29 3월 2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공지능으로 인해 사라지는 직장, 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425
28 4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은 결과/결론이 정해졌을 때 일어나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423
27 11월 10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3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418
26 12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3 409
25 2월 1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 사용을 보면 두뇌가 보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409
24 3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역사적으로 탄압받은 질문 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408
23 [아이엘츠공식시험센터]아이엘츠를 준비중이라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필수 어휘 시리즈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393
22 [헤럴드코퀴틀람] 아이엘츠 Writing 관련 빈출문제를 통한 문장 작성 방법~!! 라이팅 공부 중이시라면 …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393
21 1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꿈을 이루기 위한 삶의 의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391
20 1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 전달에 중점을 둔 교육으로는 보물을 찾을 수 없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388
19 2월 2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은 언어와 두뇌 발달의 핵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388
18 4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빈 깡통은 요란해서 사람의 시선을 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387
17 3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의 정확도를 측정하는 시험의 의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9 382
16 기초 영어 회화 <날씨와 관련된 필수 패턴> "지난 밤에 진눈깨비가 내렸어요." 를 영어로~~????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376
15 아이엘츠 제대로 공부하기/에세이를 쓰실때 유용한 표현들과 함께 라이팅 점수도 챙겨보세요~!!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6 372
14 <왕초보 영어회화>공손한 표현 "Would you like to~" 쉽게 쓰고 계신가요??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1 370
13 [아이엘츠IDP공식시험센터] 아이엘츠 기초반 수업에서 배우는 어휘! 사람의 외모 및 성격 관련 어휘,표현에 …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354
12 4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을 가진 사람과 생각이 없는 사람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5 353
11 2월 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와 신호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346
10 2월 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 발달에서 지식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341
열람중 3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낚시? 그냥 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33
8 4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신호 체계 발달을 촉진하는 감정과 사회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282
7 5월 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하는 도구로서의 언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30 236
6 5월 1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가스라이팅 당하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9 22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