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5감과 6하 원칙을 바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꾸기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5감과 6하 원칙을 바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꾸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07-12 09:52 조회2,579회 댓글0건

본문

 

 

앞서 적은 것처럼, 주제의 정의를 묻는 질문과 지식의 한계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사고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두뇌를 자극했다하더라도 답을 찾지 못하면 사고력을 발휘하는 두뇌영역은 다시 잠이 들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다음 단계는 답을 찾을 수 있도록 두뇌를 훈련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전제할 것은, 앞서 언급했듯 정의를 묻는 질문 (예, 중력이란 무엇인가?)의 경우 바로 답을 못하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이러한 질문이 ‘지구는 왜 사과를 끌어당기나?’와 같이 호기심에서 떠오르는 질문으로 이어졌을 때 또한 막혀서 답을 찾기 어려우므로 여기서는 정의를 묻는 질문을 호기심에서 떠오르는 질문에 포함하여 다루겠습니다.

 

호기심에서 오는 질문과 같이 어느 순간 문득 떠오르는 질문들 중에서 답을 찾기 어려운 것들은 6하 원칙 중 이유나 근거를 묻는 ‘왜?’라는 단어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이유나 근거를 묻는 질문의 경우 질문은 쉽지만 답을 찾기 어려운 이유는 일상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로서 부모가 자녀에게, 선생님이 학생에게, 또는 직장 상사나 판·검사가 부하직원이나 피고인에게 던지는 ‘너 이걸 왜 이렇게 했어?’와 같이 이유를 묻는 질문들은 이를 통해 상대가 스스로 자기가 한 일에 대한 이유나 근거를 대도록 만들고 그것을 바탕으로 잘·잘못을 가리고자하는 접근법이라 볼 수 있습니다. 즉, 권력을 가진 자는 굳이 자신들의 언행에 이유를 댈 필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이유나 근거를 묻는 질문에 대한 답이 조금이라도 권력자의 의도에 어긋나는 경우 벌칙이 따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유나 근거를 묻는 질문을 하기는 쉽지만 답을 내놓아야 하는 입장에서는 결과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이러한 질문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현상은 진화의 과정에서 뿌리 깊게 유전자에 새겨져 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권력자나 지식인같이 사회적 지위가 높은 경우가 아니면 호기심에서 이유나 근거를 묻는 질문을 떠올리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떠올린다 하더라도 그 답을 찾으려 시도하기보다는 머릿속에서 질문을 털어내려는 방향으로 흐른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두뇌가 답을 찾기 어려운 이유나 근거를 묻는 질문에 얽매이지 말고 질문의 형태를 바꿔 답을 찾을 수 있어야 다음 단계의 공부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아래는 질문을 바꾸는 과정을 간단하게 단계별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5감과 6하 원칙을 이용하여 질문을 바꾸기

 

질문을 바꾸는 첫 단계는 우선 답을 찾기 어렵더라도 ‘왜?’라는 질문을 포함한 모든 6하 원칙과 함께 인간의 5감을 통해 받아들인 정보를 바탕으로 질문을 만드는 것입니다.

 

중력의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을 이어보겠습니다.

 

우선 중력은 5감 중 시각을 주로 이용해 관찰할 수 있는 자연현상입니다. 따라서 시각에 초점을 맞춰 6하 원칙을 이용하여 아래의 예제와 같은 질문을 가능한 많이 만들어 봅니다.

 

‘왜’를 이용한 질문: 왜 사과는 땅으로 떨어지는가?

 

‘어떻게’를 이용한 질문: 사과는 어떻게 땅으로 떨어지는가?

 

‘무엇’을 이용한 질문: 중력은 무엇을 땅으로 떨어지게 하는가?

 

‘언제’를 이용한 질문: 언제 사과는 땅으로 떨어지는가?

 

‘어디서’를 이용한 질문: 사과는 어디로 떨어지는가?

 

‘누가’를 이용한 질문: 누가 사과를 땅으로 떨어뜨리는가? 등

 

이렇게 질문을 만드는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구체적인 서술이 질문에 포함되었는지의 여부입니다. 예를 들어 ‘왜’가 들어간 질문을 만들 때 ‘땅으로’라는 부분을 빼놓고 ‘왜 사과는 떨어지는가?’라고 질문을 만들어도 의사소통에는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과정에서는 당연해서 필요가 없다고 생각되는 ‘땅’이라는 단어가 빠짐으로서 다음 사고과정으로 넘어가기 어려운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후에 중력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또 한 가지 고려해야할 중요한 요소는 짐작, 추측, 또는 기대감이 질문에 포함되었는지의 여부입니다.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의 핵심은 자연현상, 사물 등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위의 예 중에서 ‘누가’를 이용한 질문을 던지는 경우 만일 질문을 하는 사람이 ‘아이가 나무 막대기로 사과가 달린 가지를 두들겨서 사과를 땅으로 떨어뜨린다.’와 같은 현실에서 벌어질 수 있는 현상이 아닌 ‘보이지 않는 신과 같은 존재의 힘이 사과를 땅으로 떨어뜨린다.’와 같은 짐작 또는 추측에서 질문을 만들었다면 이는 확인할 수 없는 상상이나 환상으로만 가능한 내용이기에 이러한 짐작이나 추측을 바탕으로 질문을 만드는 경우 5감을 통해 들어오는 정보를 왜곡할 수 있습니다.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꿨다면 다음은 아래 필자가 제시하는 질문들을 바탕으로 만들어 놓은 질문들을 다시 한 번 검수하는 과정을 이어갑니다.

 

1) 만들어진 질문이 구체적인가?

 

2) 질문이 5감을 통해 받아들여진 정보를 있는 그대로 서술하여 만든 것인가?

 

3) 질문이 추측, 짐작, 또는 기대심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는 않은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 혜허의 수월관음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3021
224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막강한 추천인 한 마디…입사 당락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020
2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산타의 썰매는 초음속 비행물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3012
2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장보고(미상~84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2977
2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의 문벌 귀족 사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961
220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2960
21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단계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957
21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 훈민정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956
217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고 출신이 수시 지원할 때 알아야 할 것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2906
2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윤봉길 의사와 이봉창 의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2901
215 [김바울의 교육칼럼]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수업 환경, 능동적인 공부법으로 극복해 보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888
21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소재동 – 정도전 유배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885
21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875
2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864
211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연봉, 일자리 많고 은퇴 걱정 없는 '황금시장'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850
21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덕 대왕 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43
2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839
20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2 2821
2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왜 남북은 서로 시간이 다를까-남북회담을 계기로 알아보는 국제표준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14
20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라돈 침대 - 위험한 것일까? 안전한 것일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806
20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확장을 통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6 2793
20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지식의 한계를 확인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791
2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156회] 꿈이 알려준 과학적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789
20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천태종과 조계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786
20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병자호란과 남한산성 십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2776
20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기초단계 공부 방법 마무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65
19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과거시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758
19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석사 + 자격증 + 실무 경력' 가장 선호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736
19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 7대 브로이 공작, 루이 빅토르 피에르 레몽 드 브로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733
1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역사상 세번째 여성 노벨 물리학 수상자가 된 워털루 대학 스트릭런드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731
1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을 향한 인류 첫 탐사 - 파커 탐사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23
194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1)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719
193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를 다루는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2710
19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독립 협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703
191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공부와 삶 – 공부가 어려우면 삶도 고통의 연속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692
1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688
18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두뇌 속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2677
1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671
18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교각 스님(696~794)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670
1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33
185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서술을 구체적으로 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2603
1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과 국학(국어, 한국사) 운동의 전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586
18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답을 찾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580
열람중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5감과 6하 원칙을 바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꾸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580
1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565
18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몽유도원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61
17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561
17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울어야 얻는다'…당당히 요구해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559
17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글쓰기 방법 - Rephrase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49
1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46
1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용의 꿈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2541
17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종이 땡땡땡, 서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531
173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교육컨설팅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521
17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2520
17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선택 그리고 정의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19
1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516
16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주 감은사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509
168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의 공부 방법 종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1 2508
1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로왕비 허황옥은 인도에서 왔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2505
166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용 서명 전에 연봉·복리 조건 협상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504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