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확장을 통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 2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확장을 통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 2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08-16 09:38 조회2,806회 댓글0건

본문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에서 가장 넘기 힘든 정신적 장애가 자신의 사고력을 바탕으로 찾은 지식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경우라고 한다면, 공부의 기술적인 부분에 있어서 어려움에 봉착하는 경우는 핵심요소를 찾는 과정과 이번 주 다루는 내용인 두 가지 동떨어진 개념을 합치는 과정입니다. 그나마 핵심요소는 단어를 분석하면서 연습을 하다보면 금방 익숙해 질 수 있지만 이번 칼럼에서 다루는 두 개의 동떨어진 개념을 연결하는 과정은 학교수업처럼 필자와의 대면 수업을 통해 그 방법을 전달할 때 효율이 가장 높습니다. 하지만 칼럼에서는 이러한 접근법이 불가능하기에 앞서 공부한 중력과 땅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 것으로 마무리 짓겠습니다.

 

주제를 합치는 방법에는 크게 관찰/실험/비교 이렇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관찰의 경우는 5감을 바탕으로 한 것이기에 주제를 확장하는 방법을 적용하면 가능하기에 다루지 않고 또 실험의 경우에는 관심주제를 직접 시도하면서 실험과정과 결과를 관찰한 후 시작해야 하므로 글만으로 다루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을 수밖에 없기에 넘어가겠습니다. 이렇게 두 가지 방법을 제외하고 나면 남은 것은 비교이며 위의 예의 경우 중력과 땅에 대한 나만의 정의를 비교분석하여 두 가지 동떨어진 개념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하겠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미리 언급할 것은, 필자가 관찰/실험/비교로 나누었다고 하여 이것들이 서로 독립된 형태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섞어가며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두 문장을 비교하여 개념을 확장하는 방법

 

먼저 지난주까지 원 주제 (중력)에 대해 나만의 정의를 내리고 그 정의를 서술로 바꾼 후 질문을 만든 다음 만든 질문에서 핵심요소를 찾아 주제를 확장하는 과정까지 다루었습니다. 이렇게 만든 정의와 질문을 다시 적고 칼럼 내용을 이어가겠습니다.

 

중력의 정의를 바탕으로 만든 질문: 사과와 같이 공기 중에 매달려 있는 공기보다 무거운 물체를 땅으로 떨어뜨리는 중력의 힘은 어디에서 오는가?

 

핵심요소인 땅에 대한 나만의 정의: 땅에는 바다, 바위, 산, 들, 모래, 나무 등이 있고 이것들이 모여 둥근 구의 형태로 지구라는 행성을 이루고 있으며 사과와 같은 물질들에 비해서 수천 수백만 배 정도로 무겁고 크다.

 

위의 두 문장을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단어가 사과와 땅 (점선 밑줄)입니다. 따라서 이 둘을 서로 비교하는 내용을 찾아 분석하는 것이 첫 번째 과정입니다. 두 문장에서 사과와 땅을 비교하는 부분은 그 부피와 무게를 비교한 부분이므로 굵은 선으로 밑줄을 친 ‘수천 수백만 배 정도로 무겁고 크다’라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을 강조하여 두 문장을 합쳐보면, ‘사과와 같은 물체가 그보다 수천 수백만 배 무겁고 큰 바위 등으로 구성된 둥근 지구에 떨어지는 현상을 중력이라고 한다!’라고 다시 정의를 내릴 수 있습니다.

 

자, 이제 두 개념이 합쳐졌습니다. 이렇게 두 개념이 합쳐졌으면 남은 과정은 길고 장황하게 표현된 부분을 짧은 단어로 함축된 표현으로 바꾸는 과정이 남아있습니다. 예를 들면, 앞서 ‘크고 무겁다’의 개념은 ‘질량’과 같은 물체의 물리적 성질을 나타내는 단어로 바꾸어 ‘사과와 같은 물체가 지구와 같이 질량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큰 물체에 의해 끌려 떨어지는 현상을 중력이라고 한다!’로 바꿀 수 있고 이 내용은 바로 중력이라는 개념을 설명하는 하나의 ‘이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앞서 필자가 언급했듯, 질량과 같은 함축된 표현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그 개념을 중력이나 땅에 대한 개념을 찾았던 방법을 통해 다시 정의를 내린 후 사용하여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자신이 사용한 개념을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즉,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되므로 사고력을 쌓는 공부와는 거리가 멀어지게 됩니다.

 

서로 동떨어진 개념을 연결하는 사고력은 천재들의 사고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천재들의 경우 자신들은 개념과 개념의 연결을 할 수 있었지만 그 방법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해줄 수 없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반면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은 능동적으로 질문을 바꿔 답을 찾을 수 있도록 하고, 구체적으로 서술하는 방법을 익혀 질문의 종류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서로 동떨어진 개념을 연결함으로서 나만의 이론을 만들어 가는 공부방법이기에 이 방법으로 공부를 하면 후에 다른 사람을 가르칠 수 있는 힘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해를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내가 머리를 쥐어짜며 생각에 생각을 거듭하지 않아도 되기에 과정을 건너뛰고 답을 얻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방법은 생각에 생각을 거듭해야 하므로 결과를 얻는 데 까지 걸리는 시간도 길고 또 그만큼 노력도 필요합니다. 이러한 시간과 노력을 쏟아 붇지 않는다면 사고력을 늘린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테니스나 골프와 같은 것들을 처음 배우겠다는 사람들이 시작하는 단계부터 이러한 활동을 마치 오랫동안 연습해온 사람들처럼 즐길 수 있기보다는 스스로 시간을 내어 노력하고 시도해야하는 시간이 필요하듯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또한 처음에는 어렵더라도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서 공부해야 후에 사고력을 사용하는 즐거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627b72b994b625b9208af0c70a94b805_1533832675_1618.pn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5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막강한 추천인 한 마디…입사 당락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032
22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 혜허의 수월관음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3030
2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산타의 썰매는 초음속 비행물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3027
2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장보고(미상~84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2993
2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 훈민정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978
22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의 문벌 귀족 사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974
21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2972
218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단계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967
217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고 출신이 수시 지원할 때 알아야 할 것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2939
2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윤봉길 의사와 이봉창 의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2916
21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소재동 – 정도전 유배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896
214 [김바울의 교육칼럼]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수업 환경, 능동적인 공부법으로 극복해 보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892
21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891
2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886
21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덕 대왕 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68
210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연봉, 일자리 많고 은퇴 걱정 없는 '황금시장'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868
2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854
20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2 2842
2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왜 남북은 서로 시간이 다를까-남북회담을 계기로 알아보는 국제표준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27
20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라돈 침대 - 위험한 것일까? 안전한 것일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815
열람중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확장을 통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6 2807
2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156회] 꿈이 알려준 과학적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805
2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천태종과 조계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801
20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지식의 한계를 확인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800
20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병자호란과 남한산성 십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2785
20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기초단계 공부 방법 마무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82
19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과거시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764
19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 7대 브로이 공작, 루이 빅토르 피에르 레몽 드 브로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755
197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석사 + 자격증 + 실무 경력' 가장 선호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752
1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역사상 세번째 여성 노벨 물리학 수상자가 된 워털루 대학 스트릭런드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750
1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을 향한 인류 첫 탐사 - 파커 탐사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37
194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를 다루는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2726
193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1)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725
19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독립 협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719
1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701
190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공부와 삶 – 공부가 어려우면 삶도 고통의 연속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699
18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교각 스님(696~794)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692
18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두뇌 속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2686
18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683
1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40
185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서술을 구체적으로 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2616
1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과 국학(국어, 한국사) 운동의 전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600
18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5감과 6하 원칙을 바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꾸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592
18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답을 찾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592
1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몽유도원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76
18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576
17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573
17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울어야 얻는다'…당당히 요구해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567
17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글쓰기 방법 - Rephrase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65
1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57
1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용의 꿈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2553
17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종이 땡땡땡, 서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545
17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535
17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선택 그리고 정의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31
171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교육컨설팅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531
1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2526
16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의 공부 방법 종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1 2521
16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용 서명 전에 연봉·복리 조건 협상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518
1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주 감은사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518
16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로왕비 허황옥은 인도에서 왔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2513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