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련 방법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련 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11-01 09:16 조회2,959회 댓글0건

본문

 

 

중급과정에서의 공부 방법부터는 나 자신의 사고력을 중심에 두고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걸러서 나만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구체적인 서술을 하는 방법과 함께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공부 방법을 별도로 익히면서 중급과정의 공부 방법을 이어갈 때 공부의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우선 방법에 들어가기 전에 외부의 지식을 소화하여 받아들인다는 것이 공부와 삶에서 무엇을 뜻하는 것인지 또 왜 필요한 것인지 그 이유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외부의 지식을 소화하여 나의 것으로 만드는 공부 방법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물리학을 접해본 경험이 거의 없는 경제 전문가가 양자역학을 이해하기 어렵듯 아무리 공부를 많이 한 사람이라도 자신이 가질 수 있는 지식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또 공부를 해 나가는데 있어서 모든 것을 다 찾아 이해할 수도 없습니다. 그렇다고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서로 얽히고설킨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나만의 지식만을 가지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이어가는 것 또한 한계가 있기에 토론, 대화 등을 통해 서로의 지식과 생각을 나누며 살아갑니다. 하지만 서로의 지식을 나누는 과정에서 내 생각과 지식을 상대가 이해할 수 없거나 내가 상대의 생각이나 지식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대화는 중단될 것입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이 학교나 회사 등의 프로젝트를 주제로 토론하는 경우 벌어진다면 그 사람은 자신이 속한 사회로부터 도태될 가능성이 높을 것입니다.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은 우선 내 생각과 지식을 상대가 이해할 수 있도록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하지만 상대의 생각과 지식을 내가 소화해서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결국 상대가 가진 지식에 주눅이 들어 상대의 지식을 여과 없이 받아들여 앵무새처럼 반복하거나 아예 그 사람과의 대화를 외면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은 지식을 내 것으로 흡수하는 방법을 익히는 방법도 포함합니다.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련의 궁극적인 목적은 상대가 아무런 대가 없이도 지식이나 비법 등을 스스로 내어놓을 수 있도록 이끄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심화과정에서나 가능하므로 현 단계에서는 책, 강의 등과 같이 대가를 지불하고 배우는 지식을 흡수하는 방법을 먼저 익힙니다. 책이나 강의 등 상대적으로 논리가 뚜렷한 내용마저도 내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일상의 대화나 토론에서와 같이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에서 상대의 의견을 정확하게 이해한다는 것은 무리일 수밖에 없습니다.

 

다음으로 외부의 지식을 소화하여 받아들인다는 것이 일반적인 공부와 삶에 있어서 무엇을 뜻하는지에 대한 설명입니다.

 

일반적인 학교교육에서 다른 이의 지식을 받아들여 내 것으로 만드는 과정의 결여가 불러오는 가장 뚜렷한 현상이 표절일 것입니다. 이는 예술, 문학, 학문 등 영역에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비단 학교교육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회사의 프로젝트나 학자 사이의 논문 등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표절을 예로 들어 다른 이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과정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석·박사 학위를 받은 학자들과 학자생활을 하다 정치를 하는 사람들의 논문을 예로 들어 살펴보겠습니다.

 

논문이라는 것은 연구를 하는 사람이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현상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고자 자료를 모으고 분석한 후 필요하면 실험도 하면서 얻은 결과를 세상에 내어놓는 한 방법입니다. 그런데 만일 이 사람이 새로운 아이디어나 발견을 할 수 있고 또 이러한 창의적 사고와 발견을 계속 이어갈 수 있다면 과연 자신의 또는 타인의 논문을 표절할 이유가 있을까요?

 

사고력이라는 것은 관찰을 통해 새로운 현상을 찾고 그 현상에 대해 스스로 궁금하여 답을 찾고자 질문을 이어가는 두뇌의 힘을 뜻하므로 사고력을 지닌 사람이라면 계속해서 새로운 아이디어나 발견을 이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말을 뒤집어서 생각해보면 결국 표절이라는 것은 사고력이 결여된 교수나 연구원이 자신의 현재 직위를 지키거나 진급에 필요한 논문이라는 결과를 보여주어야 하는 상황 등에서 벌어지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교육의 목적은 독립된 사람을 길러내는 것에 있다고 흔히 말합니다. 여기서 독립된 사람이란 사고력을 바탕으로 스스로 논리적인 판단을 통해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사람을 뜻할 것입니다. 그런데 사고력이 부족해서 표절을 하는 교수, 정치인, 사회 지도자들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련은 다른 사람들의 지식을 단순히 따라하는 표절이 아닌 내 생각을 바탕으로 그것들을 분류하고 거른 후 판단하여 선별적으로 받아들이는 공부 방법으로 학교뿐 아니라 삶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자신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훈련하는 방법입니다.

 

다음 주 이어지는 칼럼에서 그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2f58c0a1fd41ec372651ce9610914355_1540487803_9662.pn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5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막강한 추천인 한 마디…입사 당락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018
22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 혜허의 수월관음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3017
2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산타의 썰매는 초음속 비행물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3005
2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장보고(미상~84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2971
열람중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2960
22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의 문벌 귀족 사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959
21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단계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957
21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 훈민정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955
217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고 출신이 수시 지원할 때 알아야 할 것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2904
2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윤봉길 의사와 이봉창 의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2897
215 [김바울의 교육칼럼]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수업 환경, 능동적인 공부법으로 극복해 보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886
21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소재동 – 정도전 유배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883
21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875
2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862
211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연봉, 일자리 많고 은퇴 걱정 없는 '황금시장'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849
21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덕 대왕 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42
2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838
20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2 2816
2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왜 남북은 서로 시간이 다를까-남북회담을 계기로 알아보는 국제표준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11
20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라돈 침대 - 위험한 것일까? 안전한 것일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805
20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확장을 통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6 2791
20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지식의 한계를 확인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790
2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156회] 꿈이 알려준 과학적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787
20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천태종과 조계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783
20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병자호란과 남한산성 십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2774
20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기초단계 공부 방법 마무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64
19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과거시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758
19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석사 + 자격증 + 실무 경력' 가장 선호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736
19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 7대 브로이 공작, 루이 빅토르 피에르 레몽 드 브로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727
1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역사상 세번째 여성 노벨 물리학 수상자가 된 워털루 대학 스트릭런드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727
1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을 향한 인류 첫 탐사 - 파커 탐사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19
194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1)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717
193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를 다루는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2708
19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독립 협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702
191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공부와 삶 – 공부가 어려우면 삶도 고통의 연속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689
1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686
18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두뇌 속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2674
1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670
18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교각 스님(696~794)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669
1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29
185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서술을 구체적으로 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2598
1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과 국학(국어, 한국사) 운동의 전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585
18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5감과 6하 원칙을 바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꾸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578
18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답을 찾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578
1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564
18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몽유도원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61
17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561
17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울어야 얻는다'…당당히 요구해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558
17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글쓰기 방법 - Rephrase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48
1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44
1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용의 꿈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2539
17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종이 땡땡땡, 서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530
17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선택 그리고 정의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19
172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교육컨설팅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519
17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2518
1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516
16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의 공부 방법 종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1 2508
16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주 감은사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507
167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용 서명 전에 연봉·복리 조건 협상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504
16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503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