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별초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별초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12-27 09:15 조회4,049회 댓글0건

본문

 

13세기 초, 오랫동안 부족단위로 유목 생활을 하던 몽골족이 통일된 국가를 형성하면서 동북아 정세가 급격히 변하였다. 몽골이 금을 공격하고 북중국을 점령하자, 고려와 몽골의 접촉도 시작되었다. 고려에 대해 무리한 요구를 일삼던 몽골은, 고려를 방문했던 몽골 사신이 귀국길에 피살된 사건을 구실로 대군을 이끌고 침략하였다(1231). 이로부터 고려는 40여 년 동안 몽골과 전쟁을 벌였다. 

 

무신 정권은 수도를 강화도로 옮기고, 주민을 산성과 섬으로 피난시킨 뒤 항전과 외교를 병행하면서 저항하였다. 이 기간에 김윤후가 이끈 민병과 승군이 처인성(경기 용인)에서 몽골 장수 살리타의 군대를 물리치는 등 일반 민중의 항쟁이 이어졌다. 특히, 사회적으로 천대받던 노비와 부곡(천민 집단 부락《농업·수공업 등을 하며 차별 대우를 받았음》) 지역의 주민까지도 몽골에 대항하여 싸웠다. 

 

고려 조정에서 몽골과 강화를 맺자는 주화파가 득세하고, 최씨 정권이 무너지면서 전쟁은 끝났다. 몽골은 고려를 완전 정복하겠다는 처음의 계획을 포기하고, 고려의 주권과 고유한 풍속을 인정하였다. 이것은 고려의 끈질긴 저항이 안겨 준 결과였다. 

 

무신 정권이 종식되면서 고려 정부가 개경(개성)으로 환도(1270)하자, 대몽 항쟁에 앞장섰던 삼별초는 배중손의 지휘 아래 반기를 들었다. 개경 환도를 몽고에 대한 항복과 종속으로 받아들이고 강력히 반발하였다. 이들은 원종의 해산 명령을 무시하고 몽고군과 굴욕적인 휴전에 반대하며 강화도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삼별초는 원래 「야별초」라는 군부대에서 기원한다. 그리고 이 야별초는 처음 치안 유지를 위한 것이었다. 이 부대는 무신 권력자인 최우에 의하여 설치되었기 때문에 다분히 친위적 성격을 갖는 군사 조직이었다. 몽고와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삼별초의 군사 조직이 갖는 중요성과 기능은 계속 확대되었으며, 이에 따라 그 규모도 증가하였다. 그리하여 야별초는 좌별초와 우별초로 나뉘었고, 여기에 몽고군에 포로로 잡혔다가 탈출해 온 장정들로 신의군을 조직하면서 삼별초가 되었다. 

 

삼별초는 백성들이 농성 중인 산성이나 섬에 수십 명 또는 수백 명이 파견되어 함께 싸우기도 하고, 때로는 유격전을 벌이기도 하였다. 이렇게 몽고군에 대항해 함께 싸운 경험은 훗날 삼별초의 항쟁에 농민들이 적극 호응하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1270년 6월 배중손은 몽고의 직접적 관리 하에 들어간 개경 정부를 부정하고, 왕족인 승화후 온을 왕으로 옹립하고 강화에 새로운 정부를 수립하였다. 대몽 정부인 이 새 정부야말로 진정한 고려 왕조의 계승자임을 자처하였다. 삼별초의 항쟁은 무신 정권의 잔여 세력들이 왕권 강화와 친정 체제 구축을 시도하는 원종에 도전하는 성격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원종의 이런 정치적 움직임은 몽고의 후원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이었기 때문에 삼별초의 항쟁은 자연히 반몽적인 민족 항쟁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329ae9573034faecce8a837c93486cd9_1545930883_4338.jpg
* 삼별초의 항쟁

 

 

강화도의 삼별초군은 1천여 척의 함선을 타고 진도로 이동하였다. 진도는 경상도와 전라도를 잇는 길목이며, 이를 거점으로 나주와 전주 등지를 장악, 한반도 남부에 과거 후백제 정권과 같은 강력한 정권을 일단 확립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가 있었다. 8월 19일 진도에 도착한 삼별초군은 진도 북쪽에 용장성을 쌓고, 전라도와 경상도 일원을 제압하였고 제주도까지 장악하였다. 반란 당시 이를 진압할 병력조차 제대로 없었던 개경 조정은 몽고에 원군을 요청하였다. 1270년 11월 김방경 등이 이끄는 여 ․ 몽 연합군은 진도로 진출하다가 삼별초의 반격으로 대패하였다. 그러나 1271년 5월 상당수의 삼별초 병력이 인근 남해안 일대에 나가 있는 사이에 개경의 정부군과 몽고군은 기습적으로 진도에 상륙하여 공격을 감행하였다. 공격을 전혀 예상치 못하였던 삼별초군이 조직적인 저항을 벌일 사이도 없이 진도성은 함락되었고, 승화후 온과 배중손도 전사하였다. 

 

 진도를 잃은 삼별초군은 김통정의 지휘로 제주도로 본거지를 옮겨 항쟁을 계속하였다. 이제 13세기 반몽 항전 역사의 모든 무게 중심은 제주도에 집중되었다. 1272년부터 삼별초군은 다시 활동을 재개하여 본토를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1273년 2월 여 ․ 몽 연합군 1만 5천여 명, 160척 선단은 3군으로 편성되어 영산강을 출발, 추자도를 거쳐 제주의 삼별초군을 포위하고 공격하였다. 삼별초군은 끝까지 저항하였으나, 김통정은 산중으로 도피하였다가 죽고, 나머지도 모두 전사하거나 포로가 됨으로써 3년여에 걸친 항쟁은 종식되었다. 김통정은 강력한 카리스마를 가지고 대륙으로부터의 침략 세력에 대항한 영웅, 그러나 자신의 뜻을 펼치지 못하고 좌절한 「비운의 영웅」이었다. 

 

 

329ae9573034faecce8a837c93486cd9_1545930896_9002.jpg
*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토성(항파두성)

 

  

 

아마 제주 삼별초의 지휘자 김통정이 가졌던 카리스마는 진도의 지휘부가 가졌던 그것보다 훨씬 강력하였던 것 같다. 제주 삼별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제주 토착민과의 합리적 관계 설정, 그리고 여몽군의 침입을 대비한 방어시설의 조속한 구축이었다. 그리하여 제주 삼별초의 거점으로 마련된 것이 애월읍에 소재한 항파두성이었고, 여몽군의 제주도 상륙 차단을 위한 「환해장성」이 해안을 따라 구축되었다. 

 

북제주군 애월읍 소재 대략 6km 길이의 항파두성(사적 396호)은 내외 2중으로 만들어졌으며 성의 동서 양측으로 고성천과 소왕천의 두 소하천이 깊은 계곡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항파두성은 토축만으로도 대단히 견고한 요충이 되고 있다. 이 성은 다음 몇 가지 점에서 주목을 끈다. 우선 이 성은 13세기 고려 성곽의 한 예를 보여주는 사례가 된다. 대개 우리나라의 성곽은 여러 시대 장기간에 걸쳐 사용되고 수축된 경우가 많다. 삼국시대에 만들어져 근대에 이르기까지 사용되고 근년에 보수 복원되는, 1500년 동안 보수와 재수축이 되풀이된 성곽의 예도 적지 않다. 이 경우 성곽이 갖는 시대적 성격이 모호해지는데, 항파두성의 경우는 「13세기 후반」이라는 역사성을 분명히 가지고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둘째, 도성으로서의 성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이 성은 산성과 같이 유사시 단순한 방어성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개경이나 강도와 같은 하나의 도성을 건설한 것이라는 점이다. 이 점에서 항파두성의 중요성은 성곽의 축성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성안에 배치하였을 제반 성내 구조가 중요한 연구과제가 된다. 셋째, 이 성은 13세기 이후 후대에 거의 사용되지 않은 시설이었다는 점에서 이 시기의 자료를 충실히 보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제주 삼별초는 역사적 사건으로서 매우 극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한반도 북쪽 국경선 압록강 하류에서 1231년 개시된 전쟁은 40여 년 후, 고려의 최남단 해양의 제주도가 그 마지막 무대가 된다. 그것은 여몽전쟁의 치열하고 복잡하였던 양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 오랜 세월의 흐름 속에서 정권의 주역이었던 항몽세력은 제주에서 반정부의 소수세력이 되어 「붉은오름」의 죽음으로 그 최후를 장식하였다. 제주 삼별초의 항전을 끝으로 고려의 항몽전쟁 40여 년은 그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그 최후 단계였던 삼별초의 항전은 반몽 ․ 반개경정부라는 역사적 성격을 분명히 함으로써 역사의 큰 흔적을 남겼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 혜허의 수월관음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998
224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막강한 추천인 한 마디…입사 당락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991
2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산타의 썰매는 초음속 비행물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2988
222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2944
221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단계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943
22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장보고(미상~84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2942
21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 훈민정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939
21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의 문벌 귀족 사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931
217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고 출신이 수시 지원할 때 알아야 할 것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2887
2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윤봉길 의사와 이봉창 의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2878
215 [김바울의 교육칼럼]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수업 환경, 능동적인 공부법으로 극복해 보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868
21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859
21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소재동 – 정도전 유배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856
2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840
211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연봉, 일자리 많고 은퇴 걱정 없는 '황금시장'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835
21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덕 대왕 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28
2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817
20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왜 남북은 서로 시간이 다를까-남북회담을 계기로 알아보는 국제표준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795
20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2 2793
20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라돈 침대 - 위험한 것일까? 안전한 것일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789
20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확장을 통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6 2777
20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지식의 한계를 확인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774
2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천태종과 조계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764
20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156회] 꿈이 알려준 과학적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763
20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병자호란과 남한산성 십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2757
20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기초단계 공부 방법 마무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42
19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과거시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739
19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석사 + 자격증 + 실무 경력' 가장 선호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717
19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역사상 세번째 여성 노벨 물리학 수상자가 된 워털루 대학 스트릭런드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714
1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 7대 브로이 공작, 루이 빅토르 피에르 레몽 드 브로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711
1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을 향한 인류 첫 탐사 - 파커 탐사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08
194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1)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701
193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를 다루는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2695
19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독립 협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690
191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공부와 삶 – 공부가 어려우면 삶도 고통의 연속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668
1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661
18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두뇌 속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2658
1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656
18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교각 스님(696~794)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648
1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11
185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서술을 구체적으로 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2582
1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과 국학(국어, 한국사) 운동의 전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574
18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답을 찾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564
18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5감과 6하 원칙을 바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꾸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550
181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울어야 얻는다'…당당히 요구해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548
18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547
17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546
17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몽유도원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45
17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글쓰기 방법 - Rephrase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34
1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27
1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용의 꿈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2509
17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선택 그리고 정의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08
173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교육컨설팅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507
17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종이 땡땡땡, 서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504
17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2500
170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용 서명 전에 연봉·복리 조건 협상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498
16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의 공부 방법 종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1 2493
16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492
1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로왕비 허황옥은 인도에서 왔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2488
16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487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