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용의 꿈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용의 꿈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9-12-19 16:35 조회2,553회 댓글0건

본문

92f3239198951ab3afb50651acd58d0d_1576802099_2294.jpg
92f3239198951ab3afb50651acd58d0d_1576802099_5559.jpg
 

 

 

십이지의 하나인 용을 중심으로 우리 조상들의 삶 속에 용이 지니는 길상(운수가 좋을 조짐)과 희망의 상징적 의미를 되새겨 보려 한다.

 

 

용은 한국인이 태어나면서 죽을 때까지 접하게 되는 상상의 동물로, 십이지 속의 용(시간 및 방위 개념)부터 꿈속에 그리는 용, 공부하는 용, 복을 주는 용, 믿음의 용까지 우리 생활에 희망과 활력을 주었다. 따라서 생활 속에 보이는 용을 중심으로 전통 속의 용이 가지는 권위와 위엄의 상징을 보다 친근하게 음미하는 한편, 길상과 희망의 상징적 의미가 우리에게 새로운 활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용은 사람들의 상상 때문에 만들어진 동물이다. 몸은 여러 동물의 가장 좋은 부분만을 모아 만들어졌는데 코가 돼지코를 닮아 불만이었다. 그래서 용띠와 돼지띠는 궁합이 잘 맞지 않는다는 재미있는 이야기도 전한다.

  

 

용에게는 성격이 다른 아홉 마리의 아들이 있다고 『진주선』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민간에서는 더 많은 용의 아들이 등장한다.

  

 

싸움하기를 좋아하는 용 애자, 소송과 분쟁하기를 좋아하는 용 폐안, 고래를 무서워하는 용 포뢰, 지키는 것을 좋아하는 용 초도, 음악을 좋아하는 용 수우, 무거운 것을 짊어지기를 좋아하는 용 패하, 위험한 것을 좋아하는 용 조풍, 물을 좋아하는 용 공복, 멀리 보고 바닷물을 모을 수 있는 용 이문, 먹는 것을 좋아하는 용 도철, 불을 좋아하는 용 산예, 공부하기를 좋아하는 용 비희 등이다.

 

 

『본초 강목』에 보면, 용의 본성은 거칠고 맹렬하여 옥구슬을 좋아하고 구운 제비를 즐겨 먹는다고 한다. 용은 쇠, 망초, 지네, 연꽃잎, 오색 비단실 등을 두려워한다. 그래서 제비 고기를 먹은 사람은 물 건너기를 두려워하고, 비가 오기를 기도하는 사람은 제비를 제물로 하여 비를 불렀다.

  

 

십이지는 주로 시간과 방위를 나타내는 데 이용되었다. 용은 십이지 띠 동물 중 다섯 번째로, 시간은 오전 7시에서 오전 9시 사이를, 방위는 동쪽을 가리킨다. 용은 예부터 임금을 상징하며, 나라를 보호하고 불법을 수호하는 호국 신이자 호법신이었다.

 

 

용은 못이나 강, 바다와 같은 물속에 살며, 비나 바람을 일으키거나 몰고 다닌다고 여겨져 왔다. 용은 물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닌다. 용은 물의 신이면서 비의 신이기도 하였다. 또한, 풍농의 신으로 신앙이 되어 왔다. 농경민족인 우리에게 물은 생명처럼 소중하므로, 가뭄이 심할 때는 용에게 기우제를 지내고, 어로를 생업으로 삼는 어촌에서는 정월이나 첫 번째 출어할 때, 고기를 많이 잡았을 때, 용왕굿이나 용왕제를 지내며 배의 무사와 풍어, 마을의 평안 등을 기원한다.

 

 

정월 첫 번째 용 날 용이 우물에 알을 낳는다. 이 용알을 제일 먼저 길어다 밥을 지어 먹으면 그해 운이 좋고 농사가 잘된다고 믿었다.

  

 

용과 호랑이는 사이가 좋지 않으므로 용이 산다고 생각되는 개울에 호랑이 머리를 던져 용의 노여움을 사 비를 뿌리게 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용바위 위에 갓 잡은 소를 통째로 올려놓아, 귀한 제물에 감동한 용이 비를 뿌려 주기를 바랐다.

 

 

용은 봉황, 기린, 거북과 함께 ‘사령’의 하나로, 길상과 복을 가져다주는 신으로 여겼다. 따라서 의식주와 관련된 생활 용품에도 다양하게 등장한다. 의생활에서는 여인의 용 모양 비녀(용잠)와 외출용 모자(아얌)에서부터 임금이 입는 옷(곤룡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등장한다. 식생활에서는 그릇과 상(용문 소반. 임금의 평상은 용상)뿐만 아니라 음식에서도 나타나는데, 대표적인 것은 용 떡이다. 용 떡은 용틀임 형상으로 혼례상에 올라가며 다음날 떡국을 끓이거나, 죽을 쑤어서 신랑이 먹게 한다. 주생활에서는 병풍이나 장에서부터 대문, 문고리, 기와, 용마루 등에도 용이 보인다.

 

 

용은 강한 힘과 신적 능력을 갖춘 존재로 여긴다. 사람들은 그의 능력을 빌려 부귀영화와 안정된 생활을 누리고자 하였다. 용은 왕을 상징하지만(용안=임금의 얼굴, 용상, 곤룡포, 용비=임금의 즉위), 일반 사람들의 놀이 도구에도 등장하여 친근감을 보이기도 한다.

 

 

한국인은 꿈에 용을 타거나 용이 승천하는 것을 보면, 고위 관직에 올라 만인을 호령하게 되고, 자신이 용이 되면 성공을 암시하는 길몽으로 여겼다. 용이 우물이나 바다에 떨어져서 죽거나 나뭇가지에 걸려 있으면 흉몽으로 간주하여 조심하였다.

 

 

‘용꿈을 꾸고 자식을 얻으면 훌륭하게 된다.’라는 말처럼 장차 크게 이름을 떨칠 자식을 낳게 될 꿈이 바로 용꿈이다. 그러한 기원 아래 신랑과 신부가 첫날밤을 보내는 방의 이불과 베갯모, 병풍, 촛대 등에 용을 새겨 놓았다(몽룡실).

  

 

“고려 태조 왕건의 할아버지인 작제건이 배를 타고 중국으로 가는데 배가 앞으로 나가지 않자 고려 사람이 내려야 한다는 점괘가 나왔다. 하는 수 없이 배에서 내린 작제건 앞에 용왕이 나타나 부처로 변신한 여우를 물리쳐 달라고 했다. 작제건은 활을 쏘아 여우를 죽였고, 그 보답으로 보물과 용왕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게 되었다. 작제건과 용왕의 딸 사이에서 ‘용건’이 태어났다. 용건은 훗날 미인과 결혼하여 고려를 세운 왕건을 낳았다. 용의 피를 이어받은 왕건은 어른이 되어 고려의 왕이 되었다.”

                                                                                                                                                         <고려 왕건 설화>

 

 

석탈해는 용성국 왕과 적녀국 왕녀 간의 소생이고, 백제 무왕인 서동은 어머니가 과부로 서울 남지 변에 살던 중에 그 연못의 지룡과 교통하여 출생하였고, 후백제 시조 견훤은 광주 북촌의 부잣집 딸이 구렁이와 교혼하여 낳았다고 한다. 창녕 조 씨의 시조 조계룡은 용의 후예라고 하는 씨족의 시조 신화로서 나타난다.

  

 

“용을 타고 하늘을 날면 입신출세한다. 용을 타고 하늘을 날면 승진하고 벼슬에 오른다.”라는 속담처럼 용은 훌륭한 사람에 비유되며 용이 올라간다는 것은 입신출세, 곧 등용의 뜻으로 해석된다. 또한, 미꾸라지도 오래되면 용이 될 수 있다고 하는데, 이것은 꾸준히 노력하면 출세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래서 옛날 선비들은 문방사우, 즉 종이, 벼루, 붓, 먹뿐만 아니라 연적이나 필통에도 용을 새겨 놓아 등용을 바라는 마음을 나타냈다.

 

 

용은 모습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능력이 있고, 자유자재로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 숨기기도 한다. 용은 뭇 동물이 가진 최상의 무기를 갖추고 있으며, 구름과 비를 만들고, 땅과 하늘에서 자유로이 활동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존재로 믿어져 왔다. 작아지고자 하면 번데기처럼 작아지고, 커지고자 하면 천하를 덮을 수 있을 만큼 커질 수 있으며, 높이 오르고자 하면 구름 위에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믿었다. 용은 대체로, 짙은 안개와 비를 동반하면서 구름에 쌓여 움직인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5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막강한 추천인 한 마디…입사 당락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033
22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 혜허의 수월관음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3032
2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산타의 썰매는 초음속 비행물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3028
2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장보고(미상~84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2993
2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 훈민정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980
22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의 문벌 귀족 사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976
21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2973
218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단계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967
217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고 출신이 수시 지원할 때 알아야 할 것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2941
2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윤봉길 의사와 이봉창 의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2918
21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소재동 – 정도전 유배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896
214 [김바울의 교육칼럼]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수업 환경, 능동적인 공부법으로 극복해 보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892
21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891
2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887
21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덕 대왕 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69
210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연봉, 일자리 많고 은퇴 걱정 없는 '황금시장'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868
2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854
20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2 2843
2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왜 남북은 서로 시간이 다를까-남북회담을 계기로 알아보는 국제표준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28
20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라돈 침대 - 위험한 것일까? 안전한 것일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815
20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확장을 통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6 2807
2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156회] 꿈이 알려준 과학적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805
2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천태종과 조계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801
20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지식의 한계를 확인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800
20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병자호란과 남한산성 십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2785
20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기초단계 공부 방법 마무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82
19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과거시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766
19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 7대 브로이 공작, 루이 빅토르 피에르 레몽 드 브로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755
197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석사 + 자격증 + 실무 경력' 가장 선호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753
1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역사상 세번째 여성 노벨 물리학 수상자가 된 워털루 대학 스트릭런드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750
1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을 향한 인류 첫 탐사 - 파커 탐사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39
194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를 다루는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2726
193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1)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725
19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독립 협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721
1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701
190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공부와 삶 – 공부가 어려우면 삶도 고통의 연속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699
18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교각 스님(696~794)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693
18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두뇌 속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2688
18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683
1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42
185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서술을 구체적으로 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2618
1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과 국학(국어, 한국사) 운동의 전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600
18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5감과 6하 원칙을 바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꾸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595
18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답을 찾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594
1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577
18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몽유도원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76
17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575
17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울어야 얻는다'…당당히 요구해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567
17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글쓰기 방법 - Rephrase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65
1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57
열람중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용의 꿈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2554
17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종이 땡땡땡, 서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546
17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535
17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선택 그리고 정의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32
171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교육컨설팅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531
1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2526
169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용 서명 전에 연봉·복리 조건 협상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522
168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의 공부 방법 종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1 2521
1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주 감은사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518
16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로왕비 허황옥은 인도에서 왔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2514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