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1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1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0-02-07 09:14 조회2,862회 댓글0건

본문

 

c4440574b9365035f055bb93ac2f25f9_1581095628_709.jpg
남대문(국보 제1호)의 현판은 세로로 달려 있는데, 불꽃이 타오르는 형상의 ‘숭’ 자와 오행에서 불을 상징하는 ‘예’ 자를 수직으로 포개어 관악산의 화기를 막고자 했다. 이수광의 <지붕유설>에 의하면 현판은 양녕대군(세종의 형님)이 썼다고 한다.   

 

c4440574b9365035f055bb93ac2f25f9_1581095637_5491.jpg
1394년 조선이 한양 천도 후 도성의 4대문 이름은 동서남북 대신 흥인지문, 돈의문, 숭례문, 홍지문이라 지은 것은 유교에서 사람이 늘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인 인·의·예·지·신에서 비롯되었다. 

 

즉 동쪽의 문을 흥인지문으로 시작하여 돈의문, 숭례문, 홍지문의 인·의·예·지 넉 자를 사대문 이름에다 쓰고, 가운데 도성 한복판은 보신각(종각)이라는 이름을 붙여 믿을 신자를 썼다. 

 

흥인지문의 ‘인’은 어질고 착하다는 뜻이 담겨 있다. 돈의문의 ‘의’는 의롭다는 뜻이 담겨 있고, 숭례문의 ‘예’는 예의를 소중히 여긴다는 뜻이 담겨 있다. 다만, 북쪽에 세운 숙정문(숙청문)은 이름에 ‘지’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지혜로움을 뜻한다. 

 

사대문 사이에는 사소문이 있다. 사소문은 북동쪽에 있는 홍화문, 남동쪽에 있는 광희문, 남서쪽의 소덕문, 북서쪽의 창의문을 가리킨다.

 

서울성곽 남쪽 문 이름을 예라 배정해 숭례문이라 짖고 그 현판을 세워 단 까닭은 바로 논어 구절에 있다. ‘예를 통해 사람은 일어난다.’라는 뜻을 담은 문 ‘숭례문’의 현판이 세워서 단 연유이다.  숭례문은 조선이 ‘삼강오륜’을 도덕 기준으로 삼아 발전시키겠다는 강한 의지를 담은 표상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의 현판은 대부분 가로로 달렸다. 그러나 남대문의 현판만은 세로로 걸려 있다. 그렇다면 유독 남대문의 현판만 세로로 세우지 않으면 안 될 무슨 이유라도 있었던 것일까? 청계산과 관악산이 화성으로 남방에 있으므로 화기가 너무 강해 문제가 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것이 남대문의 현판과 무슨 관련이 있단 말인가? 

 

태조가 한양으로 천도하기 위해 도성을 정하고 백악산(현재 청와대 뒷산)을 주산으로 하여 경복궁을 남향으로 하려고 보니, 한양의 조산인 관악산과 정면으로 대치되는 상황이 되었다. 

 

관악산은 속리산에서 수 백리를 거꾸로 올라와 과천에서 힘차게 솟아 큰 봉우리를 만들고, 거기서 다시 아홉 개의 봉우리가 크기 순서대로 톱니처럼 이어져 사당동까지 뻗은 산이다. 경복궁에서 보면 연이은 봉우리들이 마치 톱날을 거꾸로 세운 것처럼 보인다. 그 모양이 불꽃이 타오르는 형상이라 예로부터 관악산을 불의 산(화산)이라 하였다.

 

풍수가들은 관악산의 화기로부터 궁성을 보호할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풍수에서는 “기는 물을 만나면 멈춘다.”라고 한다. 그래서 관악산이 뿜어내는 화기는 일차적으로 한강이 걸러 준다고 보았다. 그렇지만 그 화기가 너무 강하기 때문에 한강만으로는 부족하였다. 그것을 막기 위해서는 인위적으로 높은 산을 조성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즉 화기를 막기 위한 조산을 만들어야 하는데, 그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그래서 생각해 낸 첫 번째 방도가 앞서 말한 경복궁의 방향을 트는 일이었다. 

 

하지만 이것으로도 관악산의 화기를 누르기엔 역부족이었다. 그래서 큰 문을 정남 쪽에 세워 화기와 정면으로 대응하게 했다. 그리고 문의 현판 글씨를 세로로 쓰고, 현판을 세로로 세워 달았다. 우리나라의 모든 현판은 대부분이 가로로 달려 있다. 그러나 남대문의 현판만은 관악산의 화기를 맞받아칠 수 있도록 세로로 달았다. 

 

남대문의 이름도 화기를 누르기 위해 숭례문이라 했다. 이 이름은 정도전이 지은 것인데, 숭례문의 ‘예’ 자는 오행의 화(불)에 해당하고, ‘숭’ 자는 ‘높인다.’, ‘가득 차다’라는 뜻이다. 이 두 자를 함께 써서 수직으로 달아 마치 타오르는 불꽃 형상을 만든 것이다. 그래서 이 두 자를 포개면 불이 더 잘 탈것이라 생각한 것이다. “불은 불로써 다스린다.”라는 오행의 원리를 적용한 것이다.

 

이렇게 풍수지리학적 약점을 보완하는 한편 나쁜 기운이 서려 있다고 생각한 남동쪽의 남소문과 북문인 숙정문을 폐쇄하였다. 순조 때 실학자 이규경은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 남소문을 폐쇄한 이유는 음양가들이 정동과 정남의 한가운데 방향을 싫어했기 때문이라 하였다. 또 숙정문을 열어 두면, 음기, 즉 음풍이 강하여 풍기문란이 조장된다고 믿어 폐쇄한 것이라 하였다. 

 

또한, 조선 초기 궁궐 축조 때 지금의 남대문과 서울역 사이에 연지라는 연못을 파고 지천사라는 절을 세웠다. 도성이나 집 또는 산소 앞에 연못을 파는 것은, 밖에서 오는 화기 혹은 살기를 막기 위한 것이었다. 한편 연못은 안에 있는 기가 밖으로 새는 것을 막는 역할도 한다. 기는 물을 만나면 멈추고 그 물 앞에 기가 모인다는 풍수설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남대문 밖에 연못을 만든 것은, 도성 안의 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고, 관악산으로부터 들어오는 화기도 막고자 했다. 

 

그런데 성종 때 정승 한명회는 세종 8년 이후로 도성에 큰불이 그치지 않자 당시엔 이미 메워지고 없었던 이 연지를 다시 파 화기를 잡아야 한다고 하였다. 남대문 밖의 연지는 지금은 흔적조차 찾아볼 수 없지만, 이 연못이 깊고 맑으며 연꽃이 무성하면 남인이 성하고, 서대문 밖의 서지에 연꽃이 무성하면 서인이, 동대문 밖 동지의 연꽃이 무성하면 동인이 성하다는 속설이 있었다.

 

순조 23년에 남대문 밖의 장사치들이 돈을 모아 메워진 연지를 파고 물을 담자. 바로 그해에 남인의 거두 체제공이 등용되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5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막강한 추천인 한 마디…입사 당락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018
22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 혜허의 수월관음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3017
2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산타의 썰매는 초음속 비행물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3006
2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장보고(미상~84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2971
221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2960
22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의 문벌 귀족 사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959
21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단계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957
21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 훈민정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955
217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고 출신이 수시 지원할 때 알아야 할 것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2904
2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윤봉길 의사와 이봉창 의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2897
215 [김바울의 교육칼럼]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수업 환경, 능동적인 공부법으로 극복해 보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886
21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소재동 – 정도전 유배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883
21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875
열람중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863
211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연봉, 일자리 많고 은퇴 걱정 없는 '황금시장'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849
21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덕 대왕 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42
2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838
20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2 2817
2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왜 남북은 서로 시간이 다를까-남북회담을 계기로 알아보는 국제표준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11
20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라돈 침대 - 위험한 것일까? 안전한 것일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805
20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확장을 통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6 2792
20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지식의 한계를 확인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790
2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156회] 꿈이 알려준 과학적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788
20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천태종과 조계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783
20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병자호란과 남한산성 십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2774
20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기초단계 공부 방법 마무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64
19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과거시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758
19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석사 + 자격증 + 실무 경력' 가장 선호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736
19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역사상 세번째 여성 노벨 물리학 수상자가 된 워털루 대학 스트릭런드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729
1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 7대 브로이 공작, 루이 빅토르 피에르 레몽 드 브로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727
1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을 향한 인류 첫 탐사 - 파커 탐사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19
194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1)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717
193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를 다루는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2708
19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독립 협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702
191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공부와 삶 – 공부가 어려우면 삶도 고통의 연속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689
1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686
18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두뇌 속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2674
1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670
18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교각 스님(696~794)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669
1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29
185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서술을 구체적으로 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2599
1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과 국학(국어, 한국사) 운동의 전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585
18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답을 찾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579
18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5감과 6하 원칙을 바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꾸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578
1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564
18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몽유도원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61
17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561
17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울어야 얻는다'…당당히 요구해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558
17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글쓰기 방법 - Rephrase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48
1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44
1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용의 꿈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2539
17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종이 땡땡땡, 서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531
17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선택 그리고 정의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19
172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교육컨설팅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519
17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2518
1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516
16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의 공부 방법 종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1 2508
16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주 감은사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507
167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용 서명 전에 연봉·복리 조건 협상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504
16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503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