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1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1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1-08-10 21:43 조회1,085회 댓글0건

본문

고려시대 이 땅에서 제작됐지만 국내보다 해외에 훨씬 많이 남아 있는 걸작 예술품이 있다. 세계적으로 160여점이 전해지는데, 국내엔 공식적으로 단 20여점이 확인된다. 그만큼 외국인들이 소장하고 싶어 한 ‘명품’이다. 일제강점기와 전쟁 등 격동의 역사 속에서 불법 유출되거나, 때론 선물로 주면서 대량 해외로 빠져나갔다. 이젠 희귀하다보니 보존 등을 이유로 특별전이 아니면 원본들을 만나기조차 쉽지 않다. 


주로 고려 말(13~14세기)에 그려진 고려 불화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종교예술품’의 하나로 평가받는다. 국내외 미술사가의 상찬도 이어진다. 종교화이지만 종교를 훌쩍 넘어 예술품, 귀한 문화 유산으로 손꼽힌다. 중세, 르네상스시대 유럽 기독교 성화들이 인류의 소중한 문화 유산으로 대접받는 것과 같다. 700여 년 전 고려 불화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역사적 의미와 예술적 가치는 무엇일까. 왜 종교적, 회화적 아름다움의 정수로 주목받을까.


고려 불화는 현존하는 당시 회화 유물이 거의 없기에 소중할 수밖에 없다. 재료가 종이나 비단, 나무일 경우 특성상 돌, 금속보다 쉽게 훼손된다. 수많은 고려 건축물이 있었지만 지금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 등 극히 일부만 남은 것도 그 이유다. 많은 이들이 고려시대에 해당하는 유럽 건축물 등을 보며 자조까지 하는데 그럴 일은 아니다. 유럽은 주재료가 돌이고, 고려는 흙과 나무라는 문화적, 지역적 특성이 반영됐을 뿐이다. 


758783364_t7nlgXZ9_a6f74238969b1f49e45d19b7cc3581df1d69a228.jpg

세계적으로 160여점, 국내에는 20여점만이 전해지는 고려 불화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종교예술품’의 하나로 평가받는 소중한 문화 유산이다. 사진은 고려 불화의 아름다움을 잘 보여주는 보물 1426호 ‘수월관음도’(106×55㎝·아모레퍼시픽미술관 소장)  


고려에도 전문화가(화원)들의 기구인 도화원이 있었고, 왕이나 공신, 귀족의 인물화는 물론 산수, 영모화 등 회화가 발달했다. 하지만 문헌으로 전할 뿐 남아 있는 작품은 극히 적다. 불경 필사본이나 목판본, 금속활자본이 그나마 전해져 웬만하면 국보, 보물 등으로 지정된다. 고려 회화로는 주자학을 들여온 회헌 안향을 그린 ‘안향 초상’(국보 111호)과 일부 작품이 있다. 학자, 관료인 익재 이제현을 담은 ‘이제현 초상’(국보 110호)도 있으나 원나라 진감여의 작품이다. 자료가 적다보니 고려시대 회화사를 제대로 정리하기 힘들다. 이런 상황에서 고려 불화는 당시 종교문화는 물론 회화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다. 풍성한 문화예술을 꽃피운 고려시대 예술세계의 잃어버린 한 고리를 채움으로써 역사적, 학술적 의미가 크다. 


758783364_92HMWmGE_f82038f254bc4b6f9f0bf96c5924a5bce16822a8.jpg


758783364_YjreN0pQ_f4731864fe7050acf052d126f36da9b6266ec476.jpg

758783364_itaoPxGB_a2f86bb207dd7fd5ce248edca8f1feb3e363f61c.jpg

보물 1426호 ‘수월관음도’의 세부 모습들. 14세기 초 비단에 그려졌다.

  


불화는 불교의 교리, 정체성을 회화적으로 시각화, ‘비단에 그린 불경’인 셈이다. 나아가 불교세계를 예술적으로 승화시킨 예술품이다. 서구의 성화가 성경을 시각화한 것과 마찬가지다. 불화는 기원전 3~2세기쯤 인도의 불교사원에서 처음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 불교가 전래되면서 이후 세계 곳곳으로 확산돼 삼국시대에는 이 땅에도 불화가 나타났다. 불화는 재료, 용도 등에 따라 벽화나 천장화, 불경 편찬과 곁들인 변상도, 비단이나 종이, 삼베 등에 그린 두루마리(족자형), 각종 장엄(향이나 꽃 따위를 부처에게 올려 장식하는 일) 등이 포함된다. 통념상 고려 불화는 비단, 종이에 그려져 두루마리, 족자로 전해지는 것을 말한다.


고려시대 불교는 국교일 정도로 고려인의 삶과 가치관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민중들의 큰 관심 속에 왕실과 귀족관료 등은 불화 조성을 적극 후원했다. 따라서 당대 최고 화가가 최고의 재료로 정성을 들여 빚어내 빼어난 수준을 자랑하는 것이 불화다. 


고려 불화의 아름다움은 다양하게 서술된다. 무엇보다 신비로운 색채의 조화가 첫손에 꼽힌다. 주로 붉은색과 녹색, 군청색의 원색을 사용, 화려하지만 튀지 않고 오히려 우아하고 격조 높은 색감을 자랑한다. 안료나 채색 기법, 중간색의 적절한 활용 등으로 가능한 일이다.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세밀하고 유려한 선들도 일품이다. 먹선 등으로 윤곽을 잡고 선을 여러 번 겹침으로써 입체감, 생동감을 전한다. 붓질에는 힘과 리듬감이 실려 작자의 능력을 엿보게 한다. 


또 순금 가루를 천연접착제인 아교에 갠 금니를 적절히 활용, 금니(금박 가루를 아교풀에 갠 것)의 특수효과를 살린다. 찬란한 금빛의 금니는 다른 색채들과 조화롭게 어우러질 경우 성스럽고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기독교의 스테인드글라스나 다양한 색의 모자이크 성화도 같은 효과를 노린 것이다. 고대부터 황금, 황금색은 성스러움이나 고귀함, 신비로움을 상징하며 최고급 미술품에 사용됐다. 특히 고려 불화의 금니는 금박을 사용하는 일본 등과 달라 불화의 국적 판별에 중요한 단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1830
22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1519
223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ESSAY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7 1407
2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0 1894
221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3 1854
22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운현궁 – 조선말, 왕실문화를 거닐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850
219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읽기와 쓰기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1723
21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시대의 중앙 정치 조직과 지방 행정 조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3 5343
217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어휘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2044
2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주자학과 양명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9 4058
215 [김바울의 교육칼럼]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수업 환경, 능동적인 공부법으로 극복해 보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867
214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980
213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797
212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미리 준비하기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46
21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2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09
21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3096
2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2 2191
20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9 2142
20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2 2792
20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천태종과 조계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764
20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의 문벌 귀족 사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929
20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140
2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4 2244
20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838
20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659
20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1919
19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8 2134
19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교각 스님(696~794)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646
19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교각 스님(696~794)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3069
19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용의 꿈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2507
19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배론 성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262
19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보살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349
19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보살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218
19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부처님의 향기로 가득한 정암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1722
1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흥선대원군 이하응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4 3102
1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운궁(덕수궁), 대한제국의 꿈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3712
18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 1874
188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면접편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 2315
187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2번째 경제용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 3001
18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나라 안의 나라, 개항장 인천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1809
185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고 출신이 수시 지원할 때 알아야 할 것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2886
184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 고교 재학생이라면 이것부터 알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1856
183 민동필 박사, 자녀교육을 위한 안내서 영문판 제작 밴쿠버 중앙일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499
182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특례, 수시 전문 입시컨설팅 그룹 리사운드입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862
1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3 1949
18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7 1795
17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9 1944
178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우선순위만 잘 알아도 합격합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04
17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 2342
17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2024
1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2073
17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9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2 2239
173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076
17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159
171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1)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699
1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7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418
16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2 2443
168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교육컨설팅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504
1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034
166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재외국민 특례 방심하지 말고 미리 준비하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046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