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드레스 색깔의 차이(1)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드레스 색깔의 차이(1)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03-10 17:37 조회2,430회 댓글0건

본문

04.gif


눈에 보이는 것들이 모두 진실은 아니야-각자의 인식체계가 중요

지난 주 전세계의 인터넷 SNS를 떠들썩 하게 했던 한 벌의 드레스의 사진이 있었습니다. 

드레스의 사진을 놓고 어떤 사람은 파란색과 검은색으로 보인다고 하고, 또 어떤 사람들은 흰색에 금색 무늬가 들어간 드레스라고 이야기를 하니 사람들의 주목을 받을 수 밖에 없었을 텐데요. 필자의 경우는 처음에는 흰색과 골드로 보였는데, 다음날에 봤을 때에는 푸른 색에 검은색으로 보이길래 처음에는 ‘아. 인터넷에 두가지 다른 종류의 사진이 돌아다니는 거구나’라고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런데, 제게는 푸른색과 검은색으로 보이는 사진을, 동시에 뒤에서 함께 바라보던 아내가 드레스의 색깔이 흰색과 금색으로 보인다고 이야기하기에 적쟎이 놀라기도 했습니다. 

그럼 과연 왜 하나의 사진이 사람에 따라서 완전히 다른 색으로 보이는 것일까요? 또 혹자들이 서로 다투는 것처럼 둘중의 하나가 정상이고, 다르게 보이는 것은 비정상일까요?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우리는 우선 ‘색이란 무엇인가’부터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색’이란 두가지의 개념으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 물리학적 의미로 ‘색’이란 가시광선이 그의 고유 파장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것입니다. 가시광선은 전자기파(Electromagnetic Radiation)의 한 종류이고, 에너지가 높을 수록 짧은 파장을, 에너지가 낮을 수록 긴 파장을 갖는데, 약 700 nm (나노미터 1 nm= 0.000000001 m)정도의 가장 긴 파장을 갖는 가시광선이 붉은색을 띄고, 400 nm정도의 가장 짧은 파장을 갖는 가시광선이 푸른빛과 보라색빛을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색을 띄는 가시 광선이 우리들의 눈에 들어오면 안구의 후면부에 위치한 맹점 뒷부분의 시신경에 그 색이 전달되고 이를 두뇌에서 처리하여 그 색을 인식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런데, 이렇게 인식되는 색은 실제 물리적은 파장으로 구분되는 색과는 조금 다른 색으로서 이를 두번째 개념의 색, 즉 ‘인식에 의한 색’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두뇌는 동시에 수많은 정보를 처리해야 하는 엄청난 성능의 컴퓨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너무나 방대한 양의 정보를 매 순간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들어오는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처리한다면 두뇌는 이를 감당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의 두뇌는 사실 경험으로부터 많은 양의 정보들을 미리 처리해 놓고, 새로운 정보가 들어오면 미리 처리되어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보를 빠르게 인식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놀라울 정도로 현명한 방법을 이미 무의식속에 우리들의 두뇌는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문제는 개개인에 따라 이렇게 미리 처리되어 있는 데이터가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정보를 받아들인다 하더라도 각각이 인식하는 내용은 다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색’에 대한 인식도 바로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람들마다 다르게 되는 것입니다. 즉, 드레스로부터 들어오는 물리적인 색이 동일하다 하더라도, 두뇌가 처리하는 내용, 즉 각각의 경험에 의해 이루어진 기본 설정에 따라 각기 다른 색감을 인식하게 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서로에게 보이는 색이 차이가 난다 하더라도, 조금 더 강한 색으로 보이거나 조금 약한 색감정도로 보이는 차이이기에 서로가 동일한 색을 인지하고 있다고 생각하게 되는데, 이 드레스의 경우는 그 물리적 색감이 적은 양의 인식의 차이로도 다르게 보일 수 있는 특이한 색감이었던 것입니다. 

실제로 오랜 기간 색각의 개인적 인식 차이를 연구해온 미국 워싱턴 대학의 제이 네이츠 (Jay Neitz)박사도 이 사진이 그 간 그가 보아온 많은 사진들 중 개인적 색감의 차이를 가장 극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라고 놀라워 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색감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확인시켜 드리기 위해서 짧은 실험을 하나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에 보여지는 그림은 오랜 기간 색감과 인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는 Neuroscientist인 Beau Lotto의 홈페이지(http://www.lottolab.org/articles/doyousee.asp)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이 그림의 상단부에는 녹색과 적색이 반으로 나뉘어 있고, 그 아래에는 사막의 언덕처럼 보이는 그림이 녹색과 적색의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습니다. 

그럼 상단부의 녹색과 적색 사이에 위치한 흰색 점을 응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적어도 30초 정도 절대 다른 곳을 보지 마시고, 두 색깔 사이에 위치한 점만을 15cm정도의 가까운 거리에서 바라보셔야 합니다. 

그렇게 30초정도 흰점을 바라보신 후 바로 아래의 그림을 보신다면 분명 처음에는 동일하게 보였던 양쪽의 그림이 다르게 보이는 것을 인식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흰점을 바라보고 있는 30초동안 왼쪽의 배경은 녹색, 그리고 오른쪽의 배경은 적색이라는 것을 두뇌가 인지하게 되고, 그 사실이 두뇌의 기저작용에 의해 우리의 배경 데이터로 저장되어 버리는 것입니다. 

이렇게 각각의 배경이 녹색과 적색으로 다르게 저장되고나서 그림을 바라보면 그 그림이 배경색에 상대적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다르게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드레스의 색감이 개인에 따라 다르게 보여 서로간에 자신의 색깔이 맞다고 싸우게 되는 이유가 바로 이렇게 개인에 따라 이미 설정되어 있는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두뇌의 작용에 의해 인식되는 색에 차이가 생기는 것입니다. 이는 어느 것이 정상이고 비정상인 문제가 아니라, 모든 인식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절대적인 값에 의한 것이 아니라 개개인의 정보 분석, 즉 인식의 기저 작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과학을 공부하다보면 철학적 답을 얻고, 삶을 살아가는 방향을 깨닫게 될 때가 종종 있습니다. 우리가 인식하는 것들은 모두 외부세계의 절대적인 값이 무엇인가가 아닌 각각의 인식체계에 의해 재정립된 사실들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해 보면, 내가 알고 있는 것이 절대적으로 옳고, 남이 이야기하는 것은 틀린 것이라 주장하는 것이 얼마나 부질없는 것인지 느끼게 됩니다. 

세상에는 틀린 것이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이 있는 것이고, 서로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순간 분쟁과 시기와 같은 생각들은 사라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sjy.gif 
석준영  비센학원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57건 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33
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외핵의 흐름과 지구 자기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614
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밤 하늘은 왜 어두울까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0 2584
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노벨상의 이모저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82
9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쌍둥이 패러독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2579
9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생리의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570
9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이트데이 아니 파이데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570
9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옥시데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2568
8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47
8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컴퓨터 과학의 아버지 앨런 튜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543
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시간이란 무엇인가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2525
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티븐 호킹, 블랙홀 수수께끼의 잠금쇠를 열고 그 안에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518
8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엘니뇨와 BC주 가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3 2508
8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7년도 과학계 10대 이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499
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국제 단위계의 재정의 Huge change, but no chang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493
8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성자 별의 충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2452
8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살인 한파를 몰고 온 '폭탄 사이클론' 그레이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442
열람중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드레스 색깔의 차이(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2431
7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짜가 아닌 가짜뉴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416
7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탄소연대 측정(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2402
7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기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399
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로운 거미줄의 세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2392
7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럭체인과 비트코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382
7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발견에 공헌한 3인에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368
7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구조 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355
7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볼라 바이러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345
7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초끈 이론(Superstring theory)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339
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여행시대를 향한 진일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306
6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달의 뒷면에 착륙한 인류 최초의 탐사선 ‘창어4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2305
6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숨겨진 세기의 발명가 – 테슬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2300
6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99년만에 찾아온 토탈 이클립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295
6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측정의 기준-단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294
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자연과학과 철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2291
6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보 교환 수단의 미래- 양자 통신이란 무엇인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288
6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목성 탐사위성 주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259
6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양자 컴퓨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2244
6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뉴튼과 사과나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37
6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천체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232
5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크리스마스에 잠든 여성 천문학 거장 베라 루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228
5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오퍼튜너티 - 긴 탐사여정을 마치고 영원히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25
5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성 내부의 숨은 비밀을 밝혀줄 탐사선, 인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206
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 발명품 25가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174
5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2168
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핵융합 발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2140
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세상을 두려워 해야 하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136
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Atomic Spectru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136
5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파리기후협정이 뭐길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133
5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실수는 발명의 어머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2121
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2113
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102
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102
4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2097
4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091
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 노벨 물리학상과 중성미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090
4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앨런 머스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078
4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년에 주목할 과학 이슈 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073
4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트레스로 인한 어지럼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069
4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슈퍼 푸드 - '토마토'에 대한 모든 것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2063
3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037
3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 역사상 가장 뛰어난 항해자(voyager)는 누구일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019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