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밤 하늘은 왜 어두울까요 ?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밤 하늘은 왜 어두울까요 ?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07-30 12:31 조회2,596회 댓글0건

본문

05.gif

 

밤의 비밀을 밝히기 위해 노력하는 과학자들

 

 

 

캠핑의 계절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곳, 밴쿠버 지역만큼 캠핑을 즐기기 좋은 곳도 아마 드물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최상의 캠핑장들이 주변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텐트를 치고, 아이들과 물놀이도 즐기고 배부르도록 바베큐도 해먹고 밤 늦은 시간 조용히 앉아 하늘을 바라보면 어두운 밤하늘에 무수한 별들이 반짝이고 있습니다.

 

모두가 반짝이는 별들과 가끔식 지나가는 유성들을 바라보고 있을 때, 조금 색다르게 밤하늘을 바라보는 건 어떨까요?

 

“밤하늘은 왜 어두운 걸까요?”

 

당연히 밤이라, 햇빛이 없으니까 어둡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위성에서 지구를 바라본 사진이나 우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 등을 보면 태양이나 별이 있어도 그 주변은 빛이 없습니다. 즉, 밤에 태양이 하늘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원래 우주 밖 배경의 색깔인 것이고, 낮에 태양으로부터의 빛들이 대기권에 산란되어 밝게, 그리고 푸르게 보이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우주의 배경은 원래부터 어두운, 즉 빛이 없다는 것인데, 왜 그런 것일까요?

 

이 문제는 문득 생각하면 우스꽝스러운 질문 같지만, 천체 물리학계에서 오랜 세월동안 그 답을 찾고자 노력했던, 우주를 이해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질문입니다.

 

그리고 이 문제에 제일 먼저 답을 한 과학자는 바로 우리의 태양계에 대한 연구로 유명한 케플러(Johannes Kepler, 1571-1630)입니다. 케플러는 밤하늘이 어둡다는 ‘관측결과’가 이 우주가 유한한 경계를 갖고 있다는 증거라고 설명했습니다.

 

만약, 우주가 무한하다고 가정한다면, 우주에는 무한한 별이 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무한한 별들이 각각 그 빛을 내고 있다면, 이 우주공간에는 무한한 양의 빛이 퍼져나온다는 결론을 얻게 됩니다. 그렇다면, 우주의 전 공간에서 빛이 나온다는 것과 같은 것으로 우주는 어두운 것이 아니라 사방에 불을 밝히고 있는 것처럼 밝은 공간이 되야만 합니다.

 

하지만, 매일 밤 관측되는 바와 같이 우주는 어둡기 때문에, 반증법적으로 이 우주가 무한하지 않다, 즉 유한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케플러의 깔금한 설명 덕분에 16세기 이 후 사람들은 우주가 유한한 경계를 갖고 있다고 믿게 되었고, 우주의 끝부분이 있다는 개념은 철학적 사고, 종교적, 그리고 문학적 성향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케플러의 유한한 우주개념에 반기를 든 과학자는 아이러니하게도 케플러의 업적으로부터 얻어진 태양계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중력의 개념을 발견한 뉴튼(Sir Isaac Newton, 1643-1727)이었습니다. 뉴튼은 잘 알려진 대로 질량을 갖고 있는 모든 물질들은 서로 끌어당긴다는 만유인력 법칙을 발견하였습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유한한 거리에 있는 모든 물질들은 잡아당기는 인력을 갖게 되고, 이들이 태양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지구와 같이 거대한 질량을 중심으로 일정하게 회전운동을 하지 않는 한, 인력의 영향으로 서로 끌어당겨져야 합니다.

 

쉽게  말하면, 유한한 우주의 모든 물질들은 한 점의 방향으로 수축되어야 한다는 것인데, 우주가 이렇게 수축되고 있다는 사실은 당시의 관측기술로도 설명될 수 없었습니다.

 

오히려 근대 과학으로 우리는 우주가 팽창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뉴튼에 의해 밤 하늘이 어두운 이유는 미궁에 빠지고, 결국 우주는 유한한 것이 아니라 무한한 것이라고 받아들어지게 됩니다.

 

적어도 '만유인력의 법칙'이 이 세상을 지배한다는 것은 관측으로 입증된 사실이었기 때문입니다.

 

100년 넘게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던 이 문제에 다시 도전장을 내민 과학자는 독일의 천문학자 올베르스(Heinrich Wilhelm Matthaus Olbers, 1758-1840)입니다.

 

1815년 혜성(comet)을 발견하여 자신의 이름을 따서 올베르스 혜성이라고 명명한 것으로도 유명한 그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스층 흡수이론’을 주장합니다.

 

맑은 날에는 가시거리가 멀지만, 스모그현상 등에 공기가 탁해지면 멀리있는 빛을 보기 힘들 듯이 우주 공간에 퍼져있는 먼지, 가스층 등에 의해 무한한 공간의 무한한 별들로부터 오는 빛이 산란되어 지구에 모두 도착하지는 못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무한한 우주의 무한한 별들이 있는 것은 맞지만, 그로부터 출발한 모든 빛이 지구에 도착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설명이 맞다면, 오랜 기간동안 무한한 별들로부터 빛을 흡수하거나 산란시키며 에너지를 받은 먼지, 가스층이 스스로 빛을 발광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빛을 발산하는 가스층이 발견되어야만 하는데, 아직까지 이러한 가스층은 발견된 적이 없습니다.

 

매우 흥미롭게도 이 문제를 가장 과학적으로 설명한 사람은 전문 과학자가 아니라, 추리 소설 작가로도 유명한 아마추어 천문학자 애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 1809-1849)였습니다. 그는 자신의 유레카(Eureka) 라는 산문시집에 다음과 같이 서술했습니다.

 

“We could comprehend the voids which our telescopes find in innumerable directions, would be by supposing the distance of the invisible background so immense that no ray from it has yet been able to reach us at all.”

 

우주는 무한하고, 그 안에 별들도 무한한 것이 맞지만, 그들로 부터 지구까지의 거리가 너무나도 멀어서 아직 그 별로부터 출발한 빛이 지구에 도달하지 못했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는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빛의 속도가 유한함을 이용해서 무한한 빛의 출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빛을 보지 못하는 이유를 설명한 매우 획기적인 발상입니다.

 

하지만, 이 설명도 문제점이 있는데, 그럼 충분한 시간이 지나고 나서, 모든 빛이 도착할 수 있다면, 언젠가 하늘은 밝아질 것인가라는 질문입니다.

 

이는 우주 팽창설을 이용해서 보충 설명이 가능해집니다. 빅뱅 이론에 관한 칼럼에서 설명드렸듯이 우주는 팽창하고 있으며, 우주의 가장자리로 갈 수록 그 팽창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습니다.

 

이런 공간 자체의 팽창으로 인해 빛은 지구로 다가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멀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오랜 시간이 지난다고 해도 그 빛이 지구에 도착할 수 없게 됩니다. 

 

요약하자면, 우주는 무한하고, 그 안에 무한한 별들이 빛을 내고 있는 것은 맞지만, 그 무한한 우주공간이 팽창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별에서 방출된 빛이 지구에 도달할 수 없습니다.

 

그 결과 우리는 빛이 없는 어두운 하늘을 갖게 된 것입니다. 우리는 햇님이 하루 일과를 마치고 들어가면 당연히 어두워 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밤 하늘이 어두운 이유에는 이와같이 우주에 관한 집약적인 과학적 고찰이 함께 연관되어 있습니다. 

 

석준영.gif

석준영 (비센학원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57건 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44
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외핵의 흐름과 지구 자기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625
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쌍둥이 패러독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2600
열람중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밤 하늘은 왜 어두울까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0 2597
9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옥시데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2594
9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생리의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588
9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노벨상의 이모저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88
9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이트데이 아니 파이데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583
8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58
8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컴퓨터 과학의 아버지 앨런 튜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557
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티븐 호킹, 블랙홀 수수께끼의 잠금쇠를 열고 그 안에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536
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시간이란 무엇인가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2533
8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7년도 과학계 10대 이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521
8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엘니뇨와 BC주 가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3 2520
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국제 단위계의 재정의 Huge change, but no chang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500
8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성자 별의 충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2462
8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살인 한파를 몰고 온 '폭탄 사이클론' 그레이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460
8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드레스 색깔의 차이(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2444
7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짜가 아닌 가짜뉴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426
7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탄소연대 측정(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2424
7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기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412
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로운 거미줄의 세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2404
7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발견에 공헌한 3인에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392
7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럭체인과 비트코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392
7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구조 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369
7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볼라 바이러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358
7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초끈 이론(Superstring theory)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351
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달의 뒷면에 착륙한 인류 최초의 탐사선 ‘창어4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2330
6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여행시대를 향한 진일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324
6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숨겨진 세기의 발명가 – 테슬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2317
6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보 교환 수단의 미래- 양자 통신이란 무엇인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314
6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측정의 기준-단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08
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자연과학과 철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2306
6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99년만에 찾아온 토탈 이클립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304
6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목성 탐사위성 주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279
6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양자 컴퓨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2262
6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크리스마스에 잠든 여성 천문학 거장 베라 루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251
6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뉴튼과 사과나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51
5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천체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244
5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오퍼튜너티 - 긴 탐사여정을 마치고 영원히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36
5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성 내부의 숨은 비밀을 밝혀줄 탐사선, 인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217
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 발명품 25가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199
5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2190
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Atomic Spectru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157
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핵융합 발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2149
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세상을 두려워 해야 하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148
5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파리기후협정이 뭐길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145
5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실수는 발명의 어머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2135
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2123
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118
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117
4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2106
4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106
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 노벨 물리학상과 중성미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103
4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년에 주목할 과학 이슈 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094
4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슈퍼 푸드 - '토마토'에 대한 모든 것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2089
4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앨런 머스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087
4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트레스로 인한 어지럼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081
3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053
3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화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2037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