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슈퍼 푸드 - '토마토'에 대한 모든 것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슈퍼 푸드 - '토마토'에 대한 모든 것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09-03 12:24 조회2,038회 댓글0건

본문

몸에 좋은 토마토, 과일이 아닌 채소가 된 사연

--------------------------------

 

이탈리아의 피자를 비롯한 유럽 전 지역의 많은 음식에서 빠지지 않고 사용되는 토마토. 2002년 타임지가 선정한 항암제급 슈퍼푸드에 선정되며 건강을 위해 꼭 챙겨 먹어야 하는 음식으로 각광받고 있는 토마토는 사실 처음 유럽에 전파되었을 때만 해도 먹으면 죽을 수 있는 맹독성 과일로 여겨졌었습니다.

 

원래 토마토는 아즈텍과 잉카 문명 등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주로 식용으로 이용되었는데, 스페인이 남미를 정복한 후 1500년대에 처음으로 유럽에 전파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 때 토마토 나무는 관상용으로 재배되었고, 식용으로 이용하지는 않았습니다. 이는 벨라도나(Bella Donna)라는 독성 식물과 그 열매가 매우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실제로 벨라도나와 토마토는 모두 가지과의 식물이고 독성이 있다는 것도 비슷합니다. 벨라도나는 열매에도 독성이 있어 먹으면 안되는 것과 달리, 토마토는 줄기와 잎에는 독성이 있어서 함부로 먹으면 안되지만 열매에는 전혀 독성이 없어서 식용으로 사용되는데 아무 문제가 없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렇게 처음 들여왔을 당시에는 먹지도 않았던 토마토가 현재는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음식이 된 가장 큰 이유 과연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토마토에 들어있는 라이코펜(lycopene)이라는 유기 화합물 때문입니다. 이는 탄소와 수소의 13개의 이중결합을 통해 이루어진 불포화 탄화수소체로 기름에 잘 녹는 지용성 화학물질이기도 하며  붉은색을 띄기 때문에 음식색소로도 자주 사용되고, 무엇보다도 비타민 E를 능가하는 우수한 항산화능력으로 유명합니다.

 

항산화 작용이란 어느 적정 농도 이상일 경우 인체의 세포구조를 손상시킴으로써 우리 몸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활성산소들과 반응하여 이들의 반응성을 떨어뜨리는 것을 말하는데, 바로 라이코펜의 이중결합구조가 매우 효과적인 항산화작용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물론 우리의 신체는 스스로 항산화작용을 하며 체내의 활성산소 농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조절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항산화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토마토와 같은 효과적인 항산화 작용을 일으키는 식품을 섭취 함으로써 적절한 항산화작용을 유지하는 것은 건강을 지키는 데 매우 중요한 항목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토마토는 요리를 해서 먹는 것이 생으로 먹는 것보다 더 몸에 좋다는 이야기, 들어보신 적 있으실 겁니다.

 

이는 요리를 해서 잘게 부수거나 데쳐서 먹게 되면 라이코펜이 몸에 더 흡수가 쉽게 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앞서 말씀드렸듯이 라이코펜은 기름에 잘 녹는 지용성 물질이기 때문에 기름을 이용해서 요리를 해서 먹으면 더 잘 흡수가 됩니다.

 

기름에 요리를 하지 않고, 샐러드와 같이 섭취할 때도, 지방이 충분한 견과류를 샐러드에 함께 넣어 먹으면 라이코펜의 흡수를 도울 수 있다고 합니다.

 

이 밖에 토마토에 얽힌 재미있는 논쟁거리 중 하나는 과연 토마토가 '과일인가 채소인가' 하는 것입니다.

 

단순한 식물학적 관점으로는 씨방이 자라 씨를 보호하기 위해 감싼 조직이 성장한 것을 과일이라고 하기 때문에, 토마토, 수박 등 씨를 품고 있는 모든 것들은 과일로 분류됩니다.

 

하지만 과일과 채소의 구분은 단지 식물학적인 부분만이 고려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토마토는 식물학적으로는 당연히 과일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채소로 분류되는 것은 미국의 관세법에 의한 분류의 영향이 크다고 합니다.

 

1800년대에는 미국 법상 수입되어 들어오는 과일은 관세를 매기지 않았지만, 채소에는 관세를 붙였다고 합니다.

 

당시 유럽에서 수입되는 많은 양의 토마토 때문에 자국 내의 토마토 농가에 큰 타격이 감에도 불구하고 관세마저 매길 수 없게 되자, 미국 정부는 토마토를 채소로 분류하여 관세를 매김으로써 토마토 수입량을 조절했던 것입니다.

 

이에 1800년대말 한 토마토 수입원이 토마토는 채소가 아니라 과일이라며 그동안 낸 관세를 돌려달라고 소송을 했습니다.

 

당시 대법원은 '토마토는 후식으로 먹는 것이 아니라 식사로 먹는 요리 재료이기 때문에 과일이 아니라 채소로 분류되는 것이 맞다'며 정부의 손을 들어준 이후 토마토는 채소로 분류되었다고 합니다.

 

토마토 뿐만 아니라 가지, 오이, 호박, 수박, 딸기 등을 포함한 많은 식물들이 아직도 여러가지 관점에서 채소와 과일의 분류에 여러가지 주장이 오가고 있으며, 이에 과일과 채소를 합쳐서 과채류라고 통합해서 분류하자는 움직임이 있기도 합니다. 

 

‘의사는 빨간 토마토를 무서워 한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빨간 토마토에는 많은 영양분이 들어있는 건강식품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잘 익은 토마토를 많이 먹으면 사람들이 통 아프지를 않아서 병원이 돈을 벌지 못할 수도 있다는 우스갯 소리입니다.

 

비록 우스갯 소리이긴 하지만, 그 만큼 토마토가 건강에 좋은 음식이라는 것을 강조하는 이야기일 것입니다.

 

과일이건 채소건 우리 몸에 매우 좋은 건강 식품인 것은 틀림없는 토마토. 오늘 저녁 토마토가 들어간 맛있는 음식을 드셔보는 건 어떨까요?

 

석준영.gif

석준영 (비센학원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57건 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07
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외핵의 흐름과 지구 자기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580
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쌍둥이 패러독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2560
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생리의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556
9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밤 하늘은 왜 어두울까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0 2553
9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이트데이 아니 파이데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546
9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옥시데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2541
9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노벨상의 이모저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36
8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26
8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컴퓨터 과학의 아버지 앨런 튜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524
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시간이란 무엇인가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2489
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티븐 호킹, 블랙홀 수수께끼의 잠금쇠를 열고 그 안에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487
8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엘니뇨와 BC주 가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3 2483
8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국제 단위계의 재정의 Huge change, but no chang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477
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7년도 과학계 10대 이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444
8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성자 별의 충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2420
8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드레스 색깔의 차이(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2411
8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짜가 아닌 가짜뉴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396
7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살인 한파를 몰고 온 '폭탄 사이클론' 그레이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395
7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탄소연대 측정(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2383
7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기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369
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로운 거미줄의 세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2362
7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발견에 공헌한 3인에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348
7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럭체인과 비트코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340
7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볼라 바이러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329
7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구조 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326
7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초끈 이론(Superstring theory)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321
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달의 뒷면에 착륙한 인류 최초의 탐사선 ‘창어4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2286
6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숨겨진 세기의 발명가 – 테슬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2282
6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측정의 기준-단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271
6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자연과학과 철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2270
6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99년만에 찾아온 토탈 이클립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268
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여행시대를 향한 진일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267
6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보 교환 수단의 미래- 양자 통신이란 무엇인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262
6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목성 탐사위성 주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243
6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양자 컴퓨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2220
6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뉴튼과 사과나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18
6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천체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209
5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오퍼튜너티 - 긴 탐사여정을 마치고 영원히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04
5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크리스마스에 잠든 여성 천문학 거장 베라 루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196
5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성 내부의 숨은 비밀을 밝혀줄 탐사선, 인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190
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 발명품 25가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153
5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2142
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핵융합 발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2118
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세상을 두려워 해야 하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116
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Atomic Spectru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113
5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실수는 발명의 어머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2101
5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파리기후협정이 뭐길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097
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2090
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084
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2078
4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077
4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066
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 노벨 물리학상과 중성미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058
4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앨런 머스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051
4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트레스로 인한 어지럼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048
4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년에 주목할 과학 이슈 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041
열람중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슈퍼 푸드 - '토마토'에 대한 모든 것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2039
3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013
3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두뇌 구조와 기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990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