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실수는 발명의 어머니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실수는 발명의 어머니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4-11-07 20:22 조회2,121회 댓글0건

본문

sjy.gif  석준영 비센학원장

수많은 오류와 실험 거친 발명, 때론 엉뚱한 곳에서 큰 성과 거두기도 해

새로운 무엇인가를 개발 또는 발명하기 위한 과학적 실험들은 사실 티비 프로그램이나 영화에서 보이는 것처럼 멋있어 보이는 과정이라기 보다는 훨씬 더 고되고, 오랜 시간 실패와 좌절을 거듭하는 기나긴 인고의 시간들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엄청난 고민들을 통해 정립된 이론을 바탕으로 실험을 디자인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많은 경우 우연한 실수가 위대한 발견들을 이끌어 내기도 합니다.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발견으로 손꼽히기도 하는 최초의 항생제 페니실린도 이러한 실수로 발견된겄으로 유명합니다. 

영국의 과학자인 알렉산더 플레밍 경(Sir Alexander Fleming, 1881-1955)는 당시 아이들에게 유행하던 피부의 부스럼 원인인 포도상구균을 배양하는 실험을 진행중이었습니다. 

실험실에서 균을 배양할 때에는 다른 이물질이나 세균들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배양기를 밀폐하는 것이 중요한데, 실수로 하나의 배양기의 뚜껑이 잘 닫히지 않아 푸른 곰팡이가 배양기 내부에 생겨 못쓰게 되어버린 배양기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푸른 곰팡이가 자란 배양기 내부에서 배양중이던 포도상구균이 전부 죽어있는 것을 발견하고서 플레밍은 푸른 곰팡이의 어떤 성분이 균을 죽이게 된 것인지 궁금해했고, 이로부터 ‘페니실륨 노타튬(Penicillium notatum)’이라는 종류의 푸른 곰팡이가 세균을 죽인다는 것을 알아냈고, 그 성분을 추출하여 페니실린이라고 이름을 붙이게 된 것이, 인류 최초의 항생제를 만들 수 있게 된 것이었습니다. 이런 실험과정의 실수로 발견된 것으로 유명한 다른 사례는 바로 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 즉 전도성 플라스틱을 개발한 일본의 히데키 사라카와 박사의 이야기입니다. 

사라카와 박사는 도쿄공업대학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한 후 이케다 연구소에 재직하며 폴레아세틸렌이라는 고분자 물질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었는데, 이때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연구원 신분으로 파견나와있던 한 연구원이 폴리아세틸렌 중합과정을 직접해보고 싶다고 하여 연구방법을 전해주었는데, 반응 촉매제의 단위를 잘못 읽고서 기준치의 1000배에 해당하는 촉매제를 이용하는 바람에 전혀 예상치 못한 결과물을 얻게 되었는데, 반응용액의 표면부에 밝인 빛을 반사시키는 얇은 박막이 만들어졌던 것입니다. 

밝은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는 것은 그 내부에 일정한 연결구조를 갖는 구조가 만들어졌다는 것인데, 이러한 구조는 전자가 움직여 다닐 수있는 통로가 되어 전기가 흐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후 사라카와박사는 미국의 맥더미드, 앨런 히거 교수와 함께 연구를 계속하여 안정적으로 전기를 흐르게 할 수 있는 전도성 고분자 물질을 개발하였고 그 공로를 인정받아 2000년에 노벨화학상을 수상하게도 했습니다. 

이들이 발견한 전도성 고분자물질 덕분에 우리는 당시 많은 촉매제를 넣은 한국인 연구원은 당시를 회상하면서 그것은 실수가 아니라, 본인이 의도적으로 여러가지 양의 촉매제를 넣었을 때의 다른 점들을 보고 싶어 그렇게 한 것이라고 인터뷰를 하기도 했는데, 진실이 무엇이던 간에 충분한 이론적 바탕에 의한 실험이 아닌 실수 또는 호기심에 의한 위대한 발견이라고 말 할  수 있을 듯 합니다.


또 다른 이야기는 자동차 유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안전유리(Safety glass)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안전유리를 발명한 사람은 프랑스의 과학자 에두아르 베네딕투스(Edouard Benedictus, 1878-1930)인데, 자신이 기르던 고양이가 실험실을 돌아다니다가 탁자위에 놓아둔 플라스크병들을 건들이는 바람에 여러개의 플라스크병들이 다 깨져버렸는데, 그중에 한 플라스크는 산산조작이 났지만, 풀로 조각들을 붙여놓은 것처럼 원형을 그대로 갖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서 그 안에 담겨 있던 셀룰로이드용액이 유리조각들이 산산이 부서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얻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로부터 유리표면에 셀룰로이드막을 붙여서 조각이 나도 위험하지 않은 안전유리가 개발된 것입니다. 비록 실수는 아니지만, 전혀 의도하지 않은 곳에서 새로운 것들이 개발되기도 하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비아그라라는 약이 개발된 뒷 이야기라 할 수 있습니다. 

비아그라라는 약은 처음에는 심장병인 협심증 치료제로 개발된 약이었습니다. 협심증이란 심장의 근육인 심근에 산소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져 통증을 느끼는 질병인데, 이 관상동맥을 확장하게 만들어 통증을 해소하기 위한 치료를 위해 개발되었던 약입니다. 그런데, 약이 개발되어 임상실험을 하던 중에 실험대상 환자들의 음경동맥이 확장되어 발기가 지속되는 부작용을 발견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이 때 참가했던 실험 지원자들이 남은 시약을 돌려주지 않으려고 하는 웃지 못할 해프닝까지 일어났었다고 하고, 끝내 이약은 협심증환자가 아닌 우연히 발견된 부작용을 주목적으로 하는 약품으로 개발되었던 것입니다.


꼭 과학적인 발견이 아니더라도 실수나 우연한 사건에 의해서 개발된 것들은 그것들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우리가 모르고 있을 뿐 일상생활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즐겨 먹는 음식중에 하나인 쫄면은 인천의 한 냉면 제조공장의 직원의 실수로 탄생한 음식입니다. 1970년대 초 냉면을 만들던 광신제면이라는 회사에서 직원이 국수가 나오는 사출구멍의 크기를 잘못 맞추는 바람에 굵게 만들어진 면을 버리기엔 아까워서 근처의 분식집에 줬더니 그곳에서 비빔국수 비슷하게 고추장에 버무려 팔았는데, 이게 인기를 끌면서 새로운 음식으로 탄생된 것이 바로 쫄면이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실수나 우연한 시도로부터 얻어진 위대한 발견에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말씀드렸습니다. 하지만, 사실 세상의 모든 발견들은 어떤 행태로던 실수로부터 출발된 것이라 이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실수와 실패를 경험하지 않은 성공과 발견은 있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에디슨이 전구를 개발할 때까지 천번이 넘는 실패를 거듭했다고 합니다. 이때 그의 조수가 에디슨에게 왜 포기하지 않는지를 물었더니 에디슨은 ‘나는 실패한 적이 없다. 다만, 전구가 켜지지 않는 이유를 천여가지 발견했을 뿐이다’라고 대답했다고 합니다. 

위대한 과학자가 되고 싶으신가요? 아니면 인생에 있어서 성공을 하고 싶으신가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실패했음에 좌절하지 않고, 왜 실패했는가, 이번 실패는 그 나름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찾아내고자 노력한다면 그 역시 실패가 아니라 성공으로 다가가기 위한 과정의 작은 일부분일 것입니다.  

문제는 실패와 실수를 함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실패와 실수로부터 아무것도 얻지 못하거나, 그 자체를 실패와 실수로 인지하지 못하는 것에 있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위에 말씀드린 많은 사례들에서도 각각의 실수들을 그저 단순한 실수로 치부하여 더 이상 고민하거나 생각하지 않았다면 그에 따른 발견들은 없었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정확히 표현하자면 실수자체로부터 얻어진 발견이 아니라, 실수에 대한 신중한 고찰이 발견과 발명들을 이끌어 낸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석준영 비센학원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57건 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33
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외핵의 흐름과 지구 자기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615
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밤 하늘은 왜 어두울까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0 2585
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노벨상의 이모저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82
9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쌍둥이 패러독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2579
9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생리의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572
9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이트데이 아니 파이데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571
9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옥시데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2568
8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47
8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컴퓨터 과학의 아버지 앨런 튜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543
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시간이란 무엇인가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2526
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티븐 호킹, 블랙홀 수수께끼의 잠금쇠를 열고 그 안에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518
8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엘니뇨와 BC주 가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3 2508
8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7년도 과학계 10대 이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500
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국제 단위계의 재정의 Huge change, but no chang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494
8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성자 별의 충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2454
8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살인 한파를 몰고 온 '폭탄 사이클론' 그레이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442
8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드레스 색깔의 차이(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2431
7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짜가 아닌 가짜뉴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416
7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탄소연대 측정(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2404
7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기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399
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로운 거미줄의 세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2392
7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럭체인과 비트코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382
7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발견에 공헌한 3인에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369
7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구조 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355
7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볼라 바이러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345
7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초끈 이론(Superstring theory)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339
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여행시대를 향한 진일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306
6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달의 뒷면에 착륙한 인류 최초의 탐사선 ‘창어4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2306
6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숨겨진 세기의 발명가 – 테슬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2300
6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99년만에 찾아온 토탈 이클립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296
6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측정의 기준-단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294
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자연과학과 철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2291
6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보 교환 수단의 미래- 양자 통신이란 무엇인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289
6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목성 탐사위성 주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259
6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양자 컴퓨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2244
6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뉴튼과 사과나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37
6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천체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232
5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크리스마스에 잠든 여성 천문학 거장 베라 루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230
5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오퍼튜너티 - 긴 탐사여정을 마치고 영원히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25
5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성 내부의 숨은 비밀을 밝혀줄 탐사선, 인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207
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 발명품 25가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174
5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2169
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핵융합 발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2140
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Atomic Spectru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139
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세상을 두려워 해야 하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136
5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파리기후협정이 뭐길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133
열람중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실수는 발명의 어머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2122
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2113
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103
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102
4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2097
4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091
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 노벨 물리학상과 중성미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090
4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앨런 머스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078
4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년에 주목할 과학 이슈 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073
4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트레스로 인한 어지럼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069
4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슈퍼 푸드 - '토마토'에 대한 모든 것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2063
3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038
3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 역사상 가장 뛰어난 항해자(voyager)는 누구일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019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