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6-12-01 11:25 조회2,090회 댓글0건

본문

아인슈타인 시신 부검했던 병리학 의사, 수술 마친 후 임의로 뇌 적출해 보관

'뇌는 쓰는 만큼 발달한다'는 평범한 진리, 다시 깨우쳐 준 아인슈타인

 

 

 

 

1955년 4월 12일 이스라엘 건국 7주년 기념 행사 연설을 준비하던 한 남자가 복부에 심한 통증을 호소하며 미국 뉴저지주의 프린스턴 병원에 입원을 했습니다. 대동맥류 파열에 의한 내출혈이 고통 원인임을 찾아낸 의료진은 급한 수술을 준비했지만, 이 남자는 “I want to go when I want it. (내가 원하는 때에 나는 이 세상을 떠나고 싶습니다.)”라는 말과 함께 수술을 거부하였고, 결국 닷새 뒤 4월  18일 새벽 1시 15분에 세상을 떠나고 맙니다. 약 7시간 뒤 이 사람의 시신은 가족과 본인이 원한 화장을 하기 전 사인규명을 위한 통상적인 부검을 위해 부검실 중앙 차가운 철제 테이블 위에 놓이게 되고, 부검은 당시 당직중이던 병리학 의사 토마스 하비(Thomas Harvey)에 의해 진행되었습니다. 복부를 개복하여 대동맥류 파열이 사인이라는 것을 확인한 후 하비는 부검을 멈추지 않고 전기톱과 도구들을 이용해서 두개골을 절개한 후 조심스럽게 사망자의 뇌를 적출해 냈습니다. 하비는 사망자나 그의 가족들에게조차 동의를 구하지 않고 엄청난 일을 저지른 것인데, 그것은 바로 그 사망자가 20세기의 최고의 천재라고 불리는 알버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이었기 때문입니다.

 

이 사건에 대한 언론의 기사에 따르면, 사실 하비는 아인슈타인의 뇌의 무게만을 재보고 다시 원래 자리에 되돌려 놓으려고 했었다고 합니다. 1800년대에 활동했던 뇌과학자 사무엘 조지 모턴(Samuel George Morton)은 자신이 수집한 1천 여개가 넘는 두개골을 연구한 결과 사람의 지능은 뇌의 크기과 비례한다고 확신했습니다. 아인슈타인이 사망하던 시대에도 많은 과학자들은 그의 이론을 믿고 있었기에, 하비는 최고의 천재로 칭송받던 아인슈타인의 뇌가 정말 일반인들에 비해 얼마나 큰지를 알고 싶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하비가 아인슈타인의 뇌를 적출하여 재어본 결과 그의 뇌는 약 1,260 그램 정도로 일반인들의 뇌보다 오히려 조금 더 작은 정도였습니다. 자신의 예상과 달리 아인슈타인의 뇌가 그리 크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 하비는 언젠가 다른 진짜 이유를 찾아내겠다는 생각으로 뇌를 빼돌렸고, 아인슈타인의 가족들은 뇌가 없는 시신만을 돌려받아 화장을 치르게 됩니다.

 

하지만, 하비가 아인슈타인의 뇌를 빼돌렸다는 이야기는 금새 세상에 퍼져나가게 되었습니다. 하비 자신이 뇌과학자가 아니다보니 스스로 연구를 진행할 수 없어 몇몇의 뇌과학자들에게 접촉을 시도하기도 했고, 또 그의 아들이 학교에 가서 자신의 아빠가 아인슈타인의 뇌를 갖고 있다고 자랑을 해서 그랬다는 설도 있습니다. 이유가 어찌되었건 얼마 지나지 않아 아인슈타인의 아들 한스 알버트 역시 이 사실을 알게 되어 엄청나게 분노했는데, 하비가 과학적인 목적으로만 사용하겠다며 설득하여 결국 공식적으로 아인슈타인의 뇌를 소유하고 연구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런 우여곡절 끝에 아인슈타인의 사후에도 세상에 남겨지게 된 그의 뇌는 그 후 약 20 여년 동안 세간에 잊혀져 있다가 1985년 UC 버클리의 뇌과학자 마리안 다이아몬드(Marian Diamond,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논문에 의해 다시 주목을 받게 됩니다. 다이아몬드 교수는 쥐의 뇌를 이용해서 뇌의 전전두피질(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과 각회(augular gyrus) 부분의 아교세포(glial cell)의 수가 지적자극을 얼마나 많이 받는가와 비례한다는 것을 알아냈는데, 아인슈타인의 뇌에서도 동일한 부분의 아교세포의 수가 일반인들에 비해 매우 많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찾아냈습니다. 즉, 뇌에서 다양한 정보를 연결시켜 고등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알려진 부분이 일반인들에 비해 월등히 발달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입니다.

 

이후에도 캐나다의 샌드라 위틀슨(Sandra Witelson) 교수, 미국의 알버트 갈라버다(Albert Galaburda) 교수 등에 의해 아인슈타인의 뇌는 끊임없이 연구되었습니다. 각각의 연구들에서 모두 아인슈타인의 뇌가 처음 하비가 부검실에서 발견했듯이 일반인들의 뇌보다 큰 것은 아니지만, 많은 부분에 일반인들보다 훨씬 많은 주름을 갖고 있으며, 이것이 아인슈타인의 뇌가 많이 발달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들이라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처음에 뇌과학자들은 아인슈타인이 이렇게 중요한 부분들에 남들보다 더 많은 주름을 갖고 있기 때문에, 수학이나 기하학적인 부분에 있어서 탁월한 천재성을 갖을 수 있다고 이해했지만, 최근에는 아인슈타인이 고급 이론들을 고민하며 두뇌의 그 해당부분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사용해서 그렇게 주름이 ‘후천적’으로 생겨난 것이라고 생각하는 뇌과학자들이 더 많습니다.

 

실제로 인체의 대부분 세포들은 세포분열을 통해서 몇 주에서 몇 달 정도의 주기로 오래된 세포는 죽고, 새로운 세포가 재생되는 순환을 반복하고 있는 반면, 신경세포인 뉴런(neuron)은 대부분의 경우 사람이 태어날 때 갖고 있던 것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모든 사람들의 뇌 속의 대부분의 뉴런들은 정확히 그들의 나이만큼 동일하게 오래된 세포들이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지속되는 세포들에 의해 우리는 뇌 속에 오랜 기억들을 저장할 수 있고, 또 세포들의 활동성에 따라 뇌의 주름의 양이 많아지고, 그 형태가 더 복잡해 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사실과 아인슈타인의 뇌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접목시켜보면, 아인슈타인은 많은 생각들을 통해서 그러한 발달된 뇌를 갖게 된 것이다, 즉 '뇌는 쓰는 만큼 발달하게 된다'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아인슈타인의 천부적인 뇌가 그를 천재로 만든 것이 아니라, 그의 부단한 사고와 노력이 그의 뇌를 천재의 뇌로 만들어냈다는 것이 더 옳은 표현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현재 아인슈타인 뇌의 일부인 46개의 작은 조각들은 북미의 가장 오래된 의과 대학으로 꼽히는 필라델피아 의과대학 내의 무터박물관(Mütter Museum)에 다른 인체관련 전시물들과 함께 소장되어 있다고 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57건 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33
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외핵의 흐름과 지구 자기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614
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밤 하늘은 왜 어두울까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0 2584
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노벨상의 이모저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82
9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쌍둥이 패러독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2579
9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생리의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570
9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이트데이 아니 파이데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570
9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옥시데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2568
8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47
8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컴퓨터 과학의 아버지 앨런 튜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543
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시간이란 무엇인가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2525
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티븐 호킹, 블랙홀 수수께끼의 잠금쇠를 열고 그 안에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518
8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엘니뇨와 BC주 가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3 2508
8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7년도 과학계 10대 이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499
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국제 단위계의 재정의 Huge change, but no chang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493
8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성자 별의 충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2452
8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살인 한파를 몰고 온 '폭탄 사이클론' 그레이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442
8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드레스 색깔의 차이(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2430
7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짜가 아닌 가짜뉴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416
7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탄소연대 측정(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2402
7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기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399
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로운 거미줄의 세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2392
7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럭체인과 비트코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382
7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발견에 공헌한 3인에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368
7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구조 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355
7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볼라 바이러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345
7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초끈 이론(Superstring theory)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339
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여행시대를 향한 진일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306
6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달의 뒷면에 착륙한 인류 최초의 탐사선 ‘창어4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2305
6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숨겨진 세기의 발명가 – 테슬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2300
6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99년만에 찾아온 토탈 이클립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295
6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측정의 기준-단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294
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자연과학과 철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2291
6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보 교환 수단의 미래- 양자 통신이란 무엇인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288
6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목성 탐사위성 주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259
6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양자 컴퓨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2244
6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뉴튼과 사과나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37
6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천체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231
5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크리스마스에 잠든 여성 천문학 거장 베라 루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228
5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오퍼튜너티 - 긴 탐사여정을 마치고 영원히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25
5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성 내부의 숨은 비밀을 밝혀줄 탐사선, 인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206
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 발명품 25가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174
5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2168
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핵융합 발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2140
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세상을 두려워 해야 하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136
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Atomic Spectru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136
5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파리기후협정이 뭐길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133
5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실수는 발명의 어머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2121
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2113
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102
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102
4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2097
열람중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091
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 노벨 물리학상과 중성미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090
4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앨런 머스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078
4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년에 주목할 과학 이슈 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073
4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트레스로 인한 어지럼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069
4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슈퍼 푸드 - '토마토'에 대한 모든 것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2063
3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037
3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 역사상 가장 뛰어난 항해자(voyager)는 누구일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019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