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엘니뇨와 BC주 가뭄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엘니뇨와 BC주 가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07-23 12:05 조회2,481회 댓글0건

본문

일상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날씨 생태계, 점점 예측 어려워져

--------------------------

 

밴쿠버를 포함한 캐나다 서부 지역이 지독한 가뭄으로 인한 물부족으로 시달리고, 매일같이 발생되는 산불로 큰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피부가 타는 듯한 고온으로 낮에는 햇볕에 서 있기가 힘들 정도입니다. 잔디에 물 주는 것이 금지됨은 물론 또 세차 마저 자제할 것을 권고할 정도로 가뭄이 심각한 상황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상 고온현상은 6년만에 다시 찾아온 엘니뇨(El Niño) 현상의 부작용 중에 하나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엘니뇨(El Niño)란 5 ~ 6년 주기로 찾아오는 적도 부근 태평양지역에서 생기는 특이한 기후현상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적도보다 조금 남쪽에 위치한 남미의 페루와 호주 사이의 태평양지역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크리스마스 전후로 자주 생겨난다고 해서 ‘아기 예수’라는 의미의 스페인어 엘니뇨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 

 

원래 이 지역은 남동풍이 적도 방향으로 강하게 부는 바람이 부는 지역으로 이 강풍을 예전에는 오랜 세월 뱃사람들이나 무역상들이 이 이 바람에 많이 의존했다고 하여 무역풍(trade wind)이라고 합니다.

 

이 바람의 영향으로 따뜻한 수온을 갖는 표층부의 바닷물이 호주쪽으로 이동을 하게 되기 때문에 페루 서해안 근처에는 서쪽으로 이동한 물의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해 심해에서 차가운 물이 올라오게 됩니다.

 

원래 물은 수온이 낮을 수록 산소 함유량이 높은 성질을 갖기 때문에, 차가운 물이 위로 올라옴으로써 페루 서해안 근처에 물고기들이 살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져 거대한 어장을 형성하게 됩니다.

 

또한 호주쪽으로 밀려간 따뜻한 물과 무역풍은 호주 근처에서 도달하여 거대한 구름을 형성하게 되고, 이로부터 많은 양의 비가 호주 동부와 뉴질랜드 지역에 내리게 되는 것이 일반적인 적도부근 태평양의 기후형성의 원인입니다.

 

그러나 엘니뇨가 시작되면, 여러가지 복합적 이유에 의해서 무역풍이 급격히 약화되고, 이로 인해서 남미 서해안지역의 따뜻한 물이 호주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됩니다.

 

상부의 물이 이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심해의 차가운 물이 위쪽으로 올라오지 못하게 되며, 그 결과 태평양 동부지역의 수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현상을 초래하게 됩니다.

 

이렇게 엘니뇨가 시작되면 태평양 지역의 수온이 평균보다 약 섭씨 0.5도 이상 상승된 상태로 5 ~ 6개월 이상 지속되고, 그 결과 여러가지 생태계의 이상현상 및 이상 기후현상을 유발시키게 됩니다.

 

0.5도정도의 온도차이가 별거 아닌 것으로 느껴지실 수도 있지만, 실제 빙하기의 평균 온도가 현재의 평균 온도와 비교해서 약 6 ~7도 정도의 차이밖에 나지 않는다는 것을 생각하시면 0.5도 정도의 온도차이도 매우 심각한 온도변화임을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밴쿠버 지역이 요즘과 같이 덥고 건조한 이유는 이러한 엘니뇨 현상과 함께 거대한 고기압 기단이 자리잡고 움직이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원래 엘니뇨만 일어난다면, 태평양쪽에서 불어오는 수분을 많이 머금은 구름이 밴쿠버 해안을 올라오면서 비를 내리기 때문에, 평소보다 더 많은 비가 내려야 하는 것인데, BC주 지역에 멈춰있는 거대한 고기압 기단이 이를 방해하고 있기 때문에, 온도는 상승하지만 비마저 오지 않는 최악의 가뭄 시나리오를 겪고 있는 것입니다.

 

올해 엘니뇨가 시작된다는 것은 이미 수개월전부터 전세계의 기상 연구소들에 의해 예측되었으며, 현재 태평양의 수온 상승 정도를 보았을 때, 1997-1998년에 발생하여 전 세계에 엄청난 자연재해를 유발하였던 ‘수퍼 엘니뇨’에 버금가는 위력의 엘니뇨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는 걱정스러운 예측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이 엘니뇨 현상에 의해 남부 태평양뿐만 아니라 중북부 지역, 그리고 밴쿠버의 앞 바다까지 그 수온이 급격히 상승된 상황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물은 고온일수록 산소 함유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바다의 수온이 올라간다는 것은 수중 생태계에 직접적인 위협요소가 되는 것으로, 많은 수중 생물이 폐사되기도 합니다.

 

또한 엘니뇨 현상에 의해 이상고온, 그리고 이상 강우량은 미 중부의 곡물, 남미 지방의 커피 생산량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옥수수 등의 곡물 및 커피의 가격이 상승하는 경제적 문제점을 야기시키기도 합니다. 

 

물론 엘니뇨현상이 무조건 나쁜 영향만을 가져오는 것은 아닙니다. 고온현상으로 인해 겨울이 조금 더 포근한 날씨를 갖을 수도 있고, 또 강한 무역풍으로 인해 형성되는 허리케인이 평소보다는 적게, 그리고 약하게 형성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올해 미 남부 허리케인 다발 지역에 엘니뇨의 영향으로 허리케인이 예년보다 그 수나 강도가 적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엘니뇨는 이렇게 남미지역에서 발생된는 기후현상이지만, 그 영향은 거의 전 세계에 미치고 있습니다.

 

밴쿠버 지역이 가뭄에 시달리는 것 뿐만 아니라, 현재 한국 지역을 강타하고 있는 거대한 태풍들 역시 엘니뇨 현상에 의해 고온을 유지한 적도지역의 태평양에서 만들어진 저기압기단의 영향에 의한 것입니다.

 

또 호주, 뉴질랜드 지역은 가뭄을 경험하게 되기도 하며, 겨울이 되면 전체적인 고온현상때문에 평소에 눈이 내리던 지역에 눈 대신 비가 내려 겨울스포츠를 즐기기 힘들어질 수도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이러한 엘니뇨현상은 앞으로도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석준영.gif

석준영 (비센학원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57건 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04
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외핵의 흐름과 지구 자기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578
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쌍둥이 패러독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2560
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생리의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556
9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밤 하늘은 왜 어두울까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0 2552
9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이트데이 아니 파이데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546
9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옥시데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2539
9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노벨상의 이모저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32
8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26
8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컴퓨터 과학의 아버지 앨런 튜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522
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시간이란 무엇인가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2487
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티븐 호킹, 블랙홀 수수께끼의 잠금쇠를 열고 그 안에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484
열람중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엘니뇨와 BC주 가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3 2482
8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국제 단위계의 재정의 Huge change, but no chang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477
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7년도 과학계 10대 이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441
8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성자 별의 충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2417
8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드레스 색깔의 차이(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2410
8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짜가 아닌 가짜뉴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396
7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살인 한파를 몰고 온 '폭탄 사이클론' 그레이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393
7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탄소연대 측정(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2382
7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기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368
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로운 거미줄의 세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2361
7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발견에 공헌한 3인에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346
7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럭체인과 비트코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338
7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볼라 바이러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329
7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구조 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326
7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초끈 이론(Superstring theory)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319
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달의 뒷면에 착륙한 인류 최초의 탐사선 ‘창어4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2285
6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숨겨진 세기의 발명가 – 테슬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2281
6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측정의 기준-단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271
6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자연과학과 철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2269
6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99년만에 찾아온 토탈 이클립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266
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여행시대를 향한 진일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264
6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보 교환 수단의 미래- 양자 통신이란 무엇인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261
6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목성 탐사위성 주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241
6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양자 컴퓨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2219
6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뉴튼과 사과나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16
6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천체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209
5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오퍼튜너티 - 긴 탐사여정을 마치고 영원히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03
5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크리스마스에 잠든 여성 천문학 거장 베라 루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195
5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성 내부의 숨은 비밀을 밝혀줄 탐사선, 인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190
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 발명품 25가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151
5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2141
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핵융합 발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2118
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세상을 두려워 해야 하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115
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Atomic Spectru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111
5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실수는 발명의 어머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2100
5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파리기후협정이 뭐길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096
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2089
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082
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2077
4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077
4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062
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 노벨 물리학상과 중성미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056
4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앨런 머스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050
4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트레스로 인한 어지럼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047
4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년에 주목할 과학 이슈 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040
4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슈퍼 푸드 - '토마토'에 대한 모든 것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2037
3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012
3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두뇌 구조와 기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990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