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오퍼튜너티 - 긴 탐사여정을 마치고 영원히 잠들다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오퍼튜너티 - 긴 탐사여정을 마치고 영원히 잠들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9-03-21 09:52 조회2,203회 댓글0건

본문

 

지난 2월 12일 미국 항공우주국 제트추진 연구소(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상황실에 모인 연구진들은 마지막으로 ‘오피(Oppy)’로부터 부활의 신호가 돌아오기를 기다렸지만, 끝내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천번이 넘는 시도에도 끝내 우리의 영웅 ‘오피’를 재가동시키는 데에는 실패했지만 상황실에 모인 누구도 실망하지는 않았습니다. 지난 15년간 예상을 뒤엎고 기대 이상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모자랄 만큼 엄청난 성과를 이루어 준 ‘오피’의 마지막을 함께 함에 모두가 가슴 벅차했습니다. ‘오피’는 지난 2003년 발사되어 신호가 끊어진 작년 6월까지 믿을 수 없을 만큼의 성과를 이루어 낸 화성 탐사 로버(rover) 오퍼튜너티(Opportunity)의 애칭입니다. 

 

 

공식 명칭 MER-B(Mars Exploration Rover - B)의 오퍼튜너티는 스피릿(Spirit, Mars Exploration Rover - A)과 함께 쌍둥이 화성탐사로버입니다. 두대의 쌍둥이 탐사선은 2003년 6월 발사되어 2004년 1월 화성의 반대편에 각각 착륙하여 화상탐사를 시작했습니다. 화성은 대부분 황량한 사막과 같은 지형을 이루고 있고, 강한 모래폭풍이 자주 불기 때문에 처음에는 연구진들도 탐사선이 오래 견디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유효 탐사기간을 약 90솔(sol)로 예상했습니다. 화성은 지구보다 태양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공전, 자전 속도가 지구의 그것과 다릅니다. 때문에 지구에서의 1일은 화성의 하루와 다릅니다. 화성의 하루는 지구시간으로는 약 24시간 39분 35초 정도에 해당하고 이를 1솔(sol)이라고 말합니다. 또한 공전주기가 686.98일이기 때문에 1년이 이에 해당합니다. 탐사선은 날개처럼 생긴 태양전지판을 이용해 전력을 얻어야 하는데, 모래폭풍에 의해 많은 양의 모래가 태양전지판 위에 쌓이게 되면 태양에너지를 모을 수 없어 자연스럽게 탐사선이 작동을 멈출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래서, 연구진은 엄청난 예산을 들인 연구치곤 그리 길지 않은 90솔을 예상 탐사기간으로 잡았던 것입니다. 하지만, 모래폭풍은 날개 위에 모래를 쌓기도 하지만, 강한 바람으로 이미 쌓여있는 모래를 치워 주기도 하였고, 덕분에 탐사선은 기대 이상의 탐사활동을 계속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덕분에 스피릿 로버는 2010년까지 탐사활동을 계속하였고, 오퍼튜너티는 작년 2018년까지 무려 15년간이나 탐사를 계속해 왔습니다. 

 

 

예상 밖의 긴 기간동안 탐사를 계속한 만큼 오퍼튜너티는 엄청난 양의 화성에 대한 정보들을 지구로 보내왔습니다. 오퍼튜너티의 첫번째 업적은 화성표면에서 적철석(Hermatite)를 발견한 것입니다. 적철석은 산화철을 함유하고 있는 광물인데, 적철석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물이 꼭 있어야 하기 때문에, 화성 표면에 적철석이 있다는 것은 오래 전 화성에 물이 있었다는 증거가 됩니다. 이후에도 오퍼튜너티는 많은 양의 암석 분석결과를 지구로 보내왔고, 이들은 모두 화성에 다량의 물이 존재했었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중대한 증거들이 되었습니다. 2004년 10월 오퍼튜너티가 지구에 보내온 사진에서 연구진은 오퍼튜너티의 카메라에 서리가 낀 모습을 확인했습니다. 지구에서야 별거 아닌 서리현상이지만, 화성에서 서리가 낀다는 것은 대기에 수분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 또한 오퍼튜너티의 엄청난 발견 중에 하나가 되었습니다. 같은 해 11월에 보내준 화성의 하늘 사진에는 솜사탕처럼 끼어있는 구름이 찍혀 있었고, 이후 며칠간 구름의 형태가 변화하는 것을 보여줬습니다. 이는 화성에도 지구와 같이 대기현상이 있으며, 계절변화, 기후변화 등이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2005년 1월에는 오퍼튜너티가 화성의 표면에서 운석을 발견했는데, 착륙선이 사용했던 열 차폐막 근처에서 발견되었다고 해서 이 운석의 이름을 열차폐막운석(heat shield rock)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지구 밖에서 인간이 발견한 최초의 운석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오퍼튜너티의 탐사활동이 항상 순조로왔던 것은 아닙니다. 2005년에 오퍼튜너티는 바퀴의 일부분이 모래 언덕에 파묻히는 사고를 당합니다. 실제 오퍼튜너티의 쌍둥이 로버인 스피릿은 모래언덕에 바퀴가 빠진 뒤 더이상 움직일 수 없어 정지 탐사선으로 전환되었고, 얼마 안가서 수명을 다했습니다. 이처럼 모래언덕에 탐사로버의 바퀴가 빠지는 일은 탐사선에게는 절대절명의 위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벗어나기 위해 지구의 연구진은 동일한 상황을 만들어 놓고 빠져나오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두달 가까이 시행하여 해답을 찾아냈고, 이를 전송하여 오퍼튜너티를 구출해 내었습니다. 탐사중 로봇팔이 고장나기도 하고, 태양 전지판에 낀 먼지로 인해 발전량이 반이하로 감소하여 문제가 되기도 하였지만, 그때마다 상황실의 연구진들은 해결책을 모색하여 오퍼튜너티로 전송하였고, 우리의 탐사 영웅 ‘오피’는 이들을 잘 해결하여 오랜 탐사여정을 함께 해왔습니다. 화성과 지구는 신호를 주고 받는데만 약 10여분의 시간이 걸립니다. 이렇게 먼 거리에 있는 로봇을 지구의 상황실에 앉아있는 과학자들이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인간의 과학기술이라는 것이 참으로 엄청나다는 생각을 합니다. 2014년에는 주기억장치가 고장을 일으켜 잠시 ‘기억상실증’에 걸리기도 했고, 2015년 3월에는 총 이동거리 49.195킬로미터를 기록하여 마라톤 완주에 해당하는 거리를 이동한 기념으로 전세계 과학자들에게 축하메세지를 받기도 했습니다. 마라톤 선수에게는 2시간 남짓한 시간에 달릴 수 있는 거리이지만 화성의 척박한 땅에서의 오퍼튜너티에게는 무려 11년 2개월이 걸린 엄청난 기록이었습니다. 

 

 

처음 예상되었던 90솔간의 탐사기간을 훌쩍 뛰어 넘어 무려 5000솔 가까이 탐사를 해온 오퍼튜너티는 2018년 6월 그동안 경험하지 못한 강력한 모래폭풍을 만나 모든 탐사를 중단하고 동면상태에 들어갔습니다. 모래 폭풍이 지나간 후 연구팀은 오퍼튜너티와의 통신을 재개하기 위해 이 후 약 천회에 달하는 접속 시도를 했지만, 지난 2월 12일까지 통신을 재개하지 못했고 연구진은 13일 오퍼튜너티 탐사의 종료를 선언했습니다. 아마도 거대한 모래폭풍으로 태양전지판이 완전히 덮여버려 오퍼튜너티가 다시 전력을 얻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연구진은 생각하고 있습니다. 15년동안 100여개의 크고 작은 분화구를 조사하고, 물의 존재, 대기 활동 등의 엄청난 탐사 성과를 거둔 오퍼튜너티는 이렇게 그의 마지막 탐사지인 인내의 계곡(Perseverance Valley)에 잠들었습니다. 일초에 5센티미터를 움직일 수 있는 느린 속도이지만, 멈추지 않고 끊임없이 탐사를 이어온 오퍼튜너티가 마지막에 잠든 위치가 ‘인내’의 계곡이라니, 정말 멋진 위치를 찾아가 잠들지 않았나 생각해 보며, 이는 또한 그 모든 탐사결과들이 긴시간 고통스러운 연구를 지속해 온 연구진의 보이지 않는 ‘인내’의 결과물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57건 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04
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외핵의 흐름과 지구 자기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578
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쌍둥이 패러독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2560
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생리의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556
9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밤 하늘은 왜 어두울까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0 2552
9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이트데이 아니 파이데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546
9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옥시데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2539
9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노벨상의 이모저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32
8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26
8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컴퓨터 과학의 아버지 앨런 튜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522
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시간이란 무엇인가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2487
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티븐 호킹, 블랙홀 수수께끼의 잠금쇠를 열고 그 안에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484
8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엘니뇨와 BC주 가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3 2482
8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국제 단위계의 재정의 Huge change, but no chang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477
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7년도 과학계 10대 이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441
8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성자 별의 충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2417
8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드레스 색깔의 차이(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2410
8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짜가 아닌 가짜뉴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396
7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살인 한파를 몰고 온 '폭탄 사이클론' 그레이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393
7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탄소연대 측정(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2382
7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기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368
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로운 거미줄의 세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2361
7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발견에 공헌한 3인에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346
7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럭체인과 비트코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338
7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볼라 바이러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329
7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구조 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326
7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초끈 이론(Superstring theory)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319
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달의 뒷면에 착륙한 인류 최초의 탐사선 ‘창어4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2285
6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숨겨진 세기의 발명가 – 테슬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2281
6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측정의 기준-단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271
6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자연과학과 철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2269
6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99년만에 찾아온 토탈 이클립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266
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여행시대를 향한 진일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264
6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보 교환 수단의 미래- 양자 통신이란 무엇인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261
6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목성 탐사위성 주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241
6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양자 컴퓨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2219
6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뉴튼과 사과나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16
6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천체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209
열람중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오퍼튜너티 - 긴 탐사여정을 마치고 영원히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04
5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크리스마스에 잠든 여성 천문학 거장 베라 루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195
5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성 내부의 숨은 비밀을 밝혀줄 탐사선, 인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190
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 발명품 25가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152
5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2141
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핵융합 발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2118
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세상을 두려워 해야 하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115
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Atomic Spectru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111
5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실수는 발명의 어머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2100
5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파리기후협정이 뭐길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096
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2090
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083
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077
4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2077
4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062
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 노벨 물리학상과 중성미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056
4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앨런 머스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050
4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트레스로 인한 어지럼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047
4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년에 주목할 과학 이슈 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040
4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슈퍼 푸드 - '토마토'에 대한 모든 것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2037
3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012
3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두뇌 구조와 기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990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