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11-26 12:49 조회2,098회 댓글0건

본문

세상을 바꾼 과학자 되기 위해선 창의적이고 파격적인 사고방식 필요

---------------------------

 

지금으로부터 정확히 100년 전, 1915년 11월 25일,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Preuss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에 개재된  네편의 시리즈형식의 짧은 논문들이 1차 세계대전의 혼동속에서도 전 세계의 과학자들의 주목을 받습니다. 이 논문들이 바로 36세의 젊은 과학자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1879-1955)의 일반 상대성이론(General Theory of Relativity)에 관한 발표였습니다.

 

일상 생활에서는 ‘일반’적이라는 것은  ‘특수’, ‘특별’하다는 것보다는 조금은 못한 것을 의미하지만, 과학적 표현에서는 많은 경우 이와는 상반된 의미를 갖습니다. ‘특수’, ‘특별’하다는 것은 특별히 정해진 조건하에서만 적용되는 원리인 반면, ‘일반’적인 원리라는 것은 모든 상황에서 예외없이 적용이 되는 궁극적인 원리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아인슈타인이 처음 상대성 이론이라는 것을 발표한 것은 1905년입니다. 일반 상대성이론보다 약 10년 앞서 발표된 이 이론이 ‘특수’ 상대성이론(Special Theory of Relativity)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 배우는 상대성이론이 이 특수 상대성이론에 해당합니다.

 

특수상대성이론에 의하면, 관성계(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는 계)내에서는 진공상태에서의 빛의 속도 300,000,000 m/s라는 값만이 절대 불변의 값이며,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간, 공간 등을 포함한 모든 물리량이 변화가능한 값이 됩니다.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이론을 발표하기 전까지는, 그리고 사실 현재의 많은 사람들도, 시간과 공간이 변화한다는 것을 이해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이 이론은 발표 당시 쉽게 받아들여지지 못했습니다.

 

또한 등속도 운동을 하는 경우에만 설명이 가능한 ‘특수’한 이론이었기 때문에 자체적으로도 설명이 불가능한 문제점들을 갖고 있기도 했습니다. 그 중 가장 큰 문제점은 바로 질량이 절대적으로 변화하지 않는다는 원리를 바탕으로 중력을 설명하고 있는 뉴튼의 중력법칙과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아인슈타인은 중력에 관한 이론을 새롭게 정립시킬 필요가 있었고, 그에 대한 결실이 바로 ‘일반’ 상대성이론이었던 것입니다.

 

즉, 일반 상대성이론이란 뉴튼의 중력법칙을 뛰어넘는 새로운 중력에 관한 이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당시 절대적이었던 뉴튼의 중력 법칙을 뛰어 넘은 일반 상대성이론이란 도대체 무엇을 설명한 이론인 것일까요? 간단한 예를 들어 일반 상대성이론의 의미를 설명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창문이 없는 엘리베이터 안에 있다고 상상해 보겠습니다. 몇 층에 있는지, 위로 올라가는 중인지, 아래로 내려가는 중인지를 전혀 알 수 없는 그런 엘리베이터 안에 혼자 서있는데, 갑자기 우리 몸이 엘리베이터 바닥으로 당겨지는 느낌을 받는다면 어떤 일이 일어난다고 생각할 수 있을까요? 아마도 갑자기 엘리베이터가 위로 가속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것이 우리의 경험을 바탕으로한 상식적인 결론일 것입니다. 자, 이 생각을 잠시 뒤로 하고, 중력이라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중력은 질량이 있는 물체들이 서로 잡아당기는 힘을 말합니다.

 

우리가 지구에 이끌려 지구에 붙어있고,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고 있는 것이 중력때문이지요. 지구에서는 땅에 쉽게 붙어있을 수 있는데, 달에서는 그렇게 붙어있지 못하는 것이 달의 중력이 약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중력이 크면 클수록 잡아당기는 힘이 커서 더 세게 서로에게 끌려간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제, 생떽쥐페리의 소설에 나오는 어린왕자가 소행성 B-612에 서 있는 모습을 상상해 보겠습니다. 만약 무슨 이유에서건 간에, 어린왕자의 소행성 B-612의 중력이 자꾸만 커져간다면 어린 왕자는 소행성에 몸이 더 강하게 당겨지는 것을 느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소행성의 중력증가에 의해 바닥에 당겨지는 경험은 해보았지만, 엘리베이터라는 것을 타 본 적이 없는 어린 왕자가 만약 앞서 우리가 갇혔던 엘리베이터에 갇혀서 바닥으로 당겨지는 경험을 한다면 어린 왕자는 어떤 생각을 하게 될까요? 어린 왕자는 당연히 소행성의 중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엘리베이터가 위로 올라간다는 것은 느껴본 적이 없으니까 말입니다.

 

이 대목에서 아인슈타인은 “이 두가지를 구별할 수 없다면, 원래부터 이 두가지는 다른 것이 아니라 동일한 것이 아닐까?”라는 파격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즉, 물체가 한방향으로 가속된다는 것과 질량이 커다란 물체에 의해 당겨지는 현상 자체가 원래부터 동일한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하게 된 것이고, 이를 상대성이론에 적용하여, 가속운동을 하는 시공간과 중력의 영향을 받는 시공간은 동일한 원리로 휘어질 수 밖에 없다는 결론을 얻게된 것입니다.

 

현재는 많은 실험결과를 통해 일반 상대성이론이 위대한 업적이며 중력에 관한 올바른 이론임이 입증되어있지만, 시공간이 절대불변이라는 확고한 믿음을 깨지 못한 100년전 과학자들에게는 받아들이기 힘든 너무나도 혁신적인 이론이었습니다.

 

일반상대성으로 특수상대성이론의 문제점을 보완하였지만, 아직도 실험적으로 확실히 증명되지 않은 이론이라며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보수적인 학자들도 다수 있었습니다.

 

특히 실험적 증명을 중요시 생각하던 당시의 스웨덴 학계의 학풍의 영향으로 사실 아인슈타인은 상대성이론으로 노벨상을 받지 못했습니다. 너무나도 유명한 물리학자이고, 상대성이론으로 잘 알려졌기에 많은 사람들이 의심없이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이론의 업적으로 노벨상을 받았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아인슈타인은 특수 상대성이론으로도, 일반 상대성 이론으로도 받지 못하다가 1921년, 그의 또 다른 이론인 광전효과(photoelectric effect)에 대한 업적으로 노벨상을 받았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아인슈타인은 당시의 물리학자들에 의해 1910년부터 1921년 사이에 1911, 1915년 두번을 제외하고는 지속적으로 노벨상 후보로 추천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스웨덴 물리학계는 상대성이론으로 노벨상을 주는 것을 끝까지 거부하였고, 1921년 수십명의 추천을 받은 아인슈타인을 무시할 수 없었던 스웨덴 노벨상 심사위원회는 끝내 상대성이론이 아닌 광전효과를 이용해서 노벨상을 수여했습니다.

 

모두가 다 ‘상식적’이라고 생각하는 것까지도 의심하고 재해석할 수 있었던 뛰어난 통찰력이 위대한 아인슈타인을 만든 것이었고, 또한 그 통찰력은 하루 아침에 생겨난 천재만의 재능이 아니라 그의 평생을 희생한 치열한 노력으로 얻어낸 것이었습니다.

 

현재 우리가 편하게 사용하고 있는 수많은 테크놀로지의 기본원리가 바로 100년이 지난 지금도 쉽게 받아들이기 힘들 정도로 파격적인 생각을 과감히 할 수 있었던 그의 통찰력 덕분이었으며, 만약 중력파 검출에 성공하게 된다면, 일반상대성이론은 미래에도 과학자들이 자연을 이해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원리로 자리를 굳건히 할 것입니다.

 

석준영.gif

석준영 (비센 학원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57건 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꿈의 소재 그래핀이 열어가는 무한한 가능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4997
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활성기체 화학반응을 성공시킨 UBC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4086
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플라스틱 코드(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722
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이트데이 아니 파이데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574
9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42억 8000만년 된 미생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05
9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빈디시 연구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1864
9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Atomic Spectru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139
9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104
8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 역사상 가장 뛰어난 항해자(voyager)는 누구일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021
8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2115
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시간이란 무엇인가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2526
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추워도 너무 추운 밴쿠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913
8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크리스마스에 잠든 여성 천문학 거장 베라 루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231
8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올해 최고의 과학 업적들, 무엇이 있을까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1912
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외핵의 흐름과 지구 자기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615
8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자연과학과 철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2294
8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설제에 숨어 있는 과학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3826
8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093
7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물수제비 (stone skipping)’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6025
7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베누' 소행성에 대한 연구를 위한 탐사선 발사 계획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 1935
7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목성 탐사위성 주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261
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핵융합 발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2142
7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어떻게 하면 수학, 과학을 잘 할 수 있을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1882
7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세계의 바둑 대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3 1962
7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상 현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5 1873
7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1678
7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양자 컴퓨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2246
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새 원자의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4 2007
6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더 이상 남의 일 아닌 지진(Earthquak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7 1300
6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앨런 머스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080
67 [비센의 과학 이야기] 전자렌지 귀신이 와이파이 전파를 잡아 먹어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3 2708
열람중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2099
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너지 질량 등가 원리(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9 3198
6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눈의 흡음 효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 4129
6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빠, 자동차 바퀴는 왜 전부 까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9 1842
6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두뇌 구조와 기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2019
6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로운 거미줄의 세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2394
6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 노벨 물리학상과 중성미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091
5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4 1821
5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세계 오존층 보호의 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7 1771
5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어 백(Air Bag)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3394
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슈퍼 푸드 - '토마토'에 대한 모든 것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2063
5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유방암 진단을 위한 맘모그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1837
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탄소연대 측정(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2405
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코딩 교육(Coding Education)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3 1940
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루 문(Blue Moon)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 1949
5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밤 하늘은 왜 어두울까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0 2587
5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엘니뇨와 BC주 가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3 2508
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뉴호라이즌이 보내온 반가운 소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761
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게으름의 본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 2736
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물의 기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 1660
4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옥시데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2569
4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8 4257
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레이저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5584
4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메르스 증후군(MERS), 제대로 알아보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4 1835
4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Deep Impact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1895
4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관절 꺽기' 연구를 왜 할까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1 1859
4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해저 광 케이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4 1889
3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네팔 대지진(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7 1504
3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Smoke Detector (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4 4150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