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스턴트 지식, 인스턴트 교육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3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스턴트 지식, 인스턴트 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4-03-07 14:49 조회424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스턴트 지식, 인스턴트 교육

   

◆ 지식의 정확도를 묻는 시험이 사회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는 것이 조금은 새로운 관점인 것 같아요. 사회의 발전도 지식이라는 초석이 있어서 가능한 것 같은데, 그렇다면 지식도 사고력의 바탕이 될 수 있는 것 아닌가요? 

   

- 지식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따라 달라져요. 

   

◆ 무슨 뜻이죠?

   

- 시험을 치르듯 지식을 확인하면서 내가 알고 있다는 것에만 치중하면 사고력을 발휘할 수 없어요. 

   

◆ 그러면 지식이 사고력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는 뜻이군요? 

   

- 물론이죠. 

   

◆ 어떤 경우에 그런가요? 

   

- 복어를 가지고 생각해볼게요. 복어에 대해 잘 알려진 지식이 뭘까요? 

   

◆ 그야 복어는 독이 있고 위험에 처하면 배를 부풀려 방어를 한다는 거요.

   

- 복어의 독이 어떤 독인지 알고 있나요? 

   

◆ 이름은 잘 기억이 나지 않아요. 

   

- 저도 독의 이름은 몰라요. 그러면 이제 알고 있는 지식과 모르는 지식으로 나눠졌죠? 

   

◆ 예. 그러네요. 이 내용으로 시험을 봤다면 66.66 점 받았겠네요. 

   

- 지식의 관점에서 본다면 그렇죠. 그런데 이 지식을 가지고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 복어는 전문가가 손질한 것을 먹어야 한다는 것 정도 아닐까요? 

   

- 전문가는 독을 어떻게 제거할 수 있다고 하나요? 

   

◆ 독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위가 있는데, 독이 없는 부분만 요리하면 먹을 수 있다고 들었고요. 

   

- 그러면 전문가는 어떻게 독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을 구분할 수 있을까요? 

   

◆ 그야 배웠기 때문 아닐까요? 

   

- 누구에게 배웠을까요? 

   

◆ 요리학원에서 가르쳐주는 사람으로부터 배웠겠죠. 

   

- 가르쳐주는 사람은 어떻게 복어를 손질하는 방법을 찾았을까요? 

   

◆ 그 위의 스승에게 배워서 아닐까요? 

   

- 그러면 그 위의 스승은 어떻게 알았을까요? 

   

◆ 누군가 처음 독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을 찾은 사람이 있었겠죠. 

   

- 자, 이제 하나씩 살펴볼까요? 

   

◆ 뭐를요? 

   

- 지식이 있으면 그 지식을 사용해서 사회의 한 일원으로 살아갈 수 있겠죠? 복어 요리 전문 요식업을 개업하는 것처럼요. 

   

◆ 그렇죠. 아니면 복어 요리 전문집에 요리사로 취업을 해도 되고요.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살아가지 않나요? 반도체 지식이 있으면 반도체 회사에 취업해서 살아가고, 의학 관련 지식을 배우고 익혔으면 의사로서 사람의 병을 치료하고요. 

   

- 이렇게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일을 하는 사람이 사고력을 발휘하는 경우가 얼마나 될까요? 

   

◆ 거의 없는 건가요? 복어 손질하는 법을 배워서 사용하는 과정에 무슨 생각이 있을 필요가 없는 것 같거든요. 그래서 생각 없이 일한다는 말이 나오는 걸까요? 

   

- 대부분은 그렇게 배운 것을 사용하면서 살아가죠. 그런데 복어 요리사 중에는 복어를 손질하는 더 효율적인 방법을 생각하는 사람도 있어요. 

   

◆ 효율이 높은 손질법을 생각한 사람은 무엇인가 새로운 방법을 찾은 것이니 사고력을 발휘했다고 볼 수 있는 건가요? 

   

- 맞아요. 깊이에 상관없이 사고력을 발휘한 경우죠. 이렇게 새로운 기술을 발견했는데, 누군가 찾아와서 가르쳐달라고 하면 어떨까요? 

   

◆ 상황에 따라 다를 것 같아요. 그 기술이 정말 획기적인 것이라면 가르쳐주지 않을 것 같아요. 비법이니까요. 반도체 기술같이 더 고급 기술이면 더하겠죠. 

   

- 그렇겠죠. 자, 여기까지가 배우고 익힌 지식으로 먹고 살아가는 사람과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살아가는 삶의 차이에요. 그런데 새로운 기술을 찾은 사람은 왜 가르쳐 주지 않으려 할까요?

   

◆ 가르쳐주면 금방 따라할 수 있고 그렇게 되면 경쟁자가 늘어나기 때문 아닐까요? 

   

- 왜 금방 따라할 수 있을까요? 

   

◆ 방법을 알았으니까요. 

   

- 지식을 배워서 익혔다는 뜻이죠?

   

◆ 그러네요. 

   

- 이렇게 지식은 상대적으로 배우기가 쉬워요. 물론 지식에 따라 난이도가 다르기는 하지만요. 어떤 경우든 지식으로 남겨진 것은 배워 익히기 쉬워요. 그러니까 서로 감추려고 하죠. 그래서 지식을 가르치고 배우는 현재의 교육을 저는 인스턴트 교육이라고 불러요. 지식도 인스턴트 지식이고요.

   

◆ 인스턴트 지식과 인스턴트 교육이라, 새로운 단어의 조합이네요. 

   

- 자, 이제 다시 돌아가서, 새로운 방법을 찾은 사람이 가르쳐 주지 않으려는 이유에는 한 가지가 더 있는데, 이야기 해 볼까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5건 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05 9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형태의 천재적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579
90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588
90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598
90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6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600
901 7월 2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와 계획을 세우는 사고력은 가장 기본적인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601
900 9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접하는 도박의 맛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6 603
89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7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1 605
89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608
89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4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612
896 8월 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새로운 아이디어로 창의적 목표를 세우기 어려운 이유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9 632
895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3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642
89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상상의 세계가 주는 즐거움은 또 다른 고통의 씨앗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647
893 8월 1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의적 사고력을 막는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647
892 7월 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에 집착하는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654
89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감대는 권력자나 지식인들에 의해 통제되고 만들어 질 수 있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665
89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은 하나가 아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672
88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려움과 공포는 실체를 모를 때 생기는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679
888 6월 2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685
88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부정적 감정으로 인한 감정의 소모는 삶을 지치게 하며 논리적인 사고 또한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686
886 6월 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는 것과 공부는 완전히 다른 개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686
885 6월 30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을 통한 기억력 vs. 방법을 포함한 기억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2 687
88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693
88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696
88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치매는 과거가 아닌 현재의 두뇌사용방법에 따라 결정되는 질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 700
881 7월 2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701
88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703
87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석가모니의 깨달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705
87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고난과 고통의 삶을 벗어나 스스로 만들고 이루어가는 성취감과 행복이 있는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708
87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의 두 종류 (비판적 사고 vs. 창조적 사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715
87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독의 원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 715
87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으로 가르치는 교육은 원시적인 교육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720
87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721
87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3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724
872 7월 1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욕망의 종류에 따른 기억력과 공부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724
87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4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725
87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종속된 삶은 동물적 생존본능에 바탕을 둔 욕심에서 시작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727
86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눈을 통해 보는 방법 외의 볼 수 있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727
86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4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728
86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728
86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유토피아는 존재할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729
86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풀리지 않았던 문제가 해결될 때의 통쾌함, 어디서 올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732
86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를 이루고자 생각하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4 733
86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734
86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4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734
86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735
86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단 감정에 빠지는 것은 동물로서의 인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735
85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진주를 연결해 목걸이를 만들 듯 개념들을 연결하면 오래 기억할 수 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735
85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를 세우는 방법이 사고력을 결정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738
85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741
85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하는 것의 두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741
855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39 헤럴드코퀴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744
85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3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751
85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751
85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755
85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757
850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757
849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760
84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2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761
84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762
84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종속되어가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763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