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명대사(유정)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명대사(유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1-04-21 08:03 조회1,568회 댓글0건

본문



 

758783364_FbcislrJ_c0ca3a98d6b0c815c2f4fd76cc24c85889a67de4.jpg사명대사 유정의 초상화, 조선(19세기), 비단에 채색, 승병장으로서의 기풍을 느낄 수 있다. l 동국대학교박물관


 


사명대사(유정)의 본관은 ‘풍천’이고, 호는 사명당, 송운, 종봉 등이며, 자는 이환, 시호는 자통홍제존자로 불렸던 사명대사는 경남 밀양에서 출생하였다. 유정은 법명으로 어려서 조부 밑에서 공부를 했다. 그의 나이 13세(1556년: 명종 11) 때 황여헌(黃汝獻)에게 《맹자(孟子)》를 배우다가 부모를 모두 잃게 되자 죽음의 이치를 알고자 황악산(黃岳山) 직지사(直指寺)의 신묵(信默)을 찾아가 승려가 되었다. 그는 1561년에 승과(僧科)에 장원급제하고, 1575년(선조 8)에는 봉은사(奉恩寺)의 주지로 초빙되었으나 사양하고 묘향산에 들어가 휴정(休靜:西山大師)의 법을 이어받았다. 금강산 등 명산을 찾아다니며 도를 닦다가, 상동암(上東菴)에서 소나기를 맞고 떨어지는 낙화를 보고는 무상을 느껴 문도(門徒)들을 해산하고, 홀로 참선에 들어갔다.


1578년경에는 율곡 이이에게 국난을 예고하고 10만 양병설을 역설하기도 했다. 1589년(선조 22)에는 정여립(鄭汝立)의 역모사건에 관련된 혐의로 투옥되었으나 무죄 석방되고,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승병을 모집, 휴정(서산대사)의 휘하로 들어갔다. 서산대사가 노쇠하여 물러나자 전 승군을 통솔하고 체찰사 유성룡 및 명장과 합세하여 평양을 탈환하고 권율과 영남에 내려가 왜군을 섬멸하는 등 혁혁한 전공을 세워 당상에 오르게 된다. 1594년(선조 27) 명나라 총병(摠兵) 유정(劉綎)과 의논, 울산에서 왜장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진중을 3차례에 걸쳐 만나 대의명분과 사리를 밝혀 강화 조약을 유보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명나라 장수 마귀(麻貴)와 함께 울산(蔚山)의 도산(島山)과 순천(順天) 예교(曳橋)에서 전공을 세우고 1602년 중추부동지사(中樞府同知使)가 되었다. 1604년 국왕의 친서를 휴대하고, 일본에 건너가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를 만나 강화를 맺고 조선인 포로 3,500명을 인솔하여 귀국했다. 돌아와 영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스승인 서산대사가 입적하자 3일 만에 관직을 되돌리고 묘향산으로 들어간다.

 


“선조가 죽은 뒤 가야산 해인사(海印寺)에 머물다가 1610년에 입적하여 국장으로 장례가 치러졌다. 초서를 잘 썼으며 밀양의 표충사(表忠祠), 묘향산의 수충사(酬忠祠)에 배향 되었다. 저서에 《사명당대사집》, 《분충서난록》등이 전해진다. “산인(山人) 유정(惟政)은 선왕의 조정에서 자신의 몸을 돌보지 않고 나라를 구하러 나갔으니, 참으로 의승(義僧)이라고 할 만 하다.”


『광해군일기』


 


사명대사는 임진왜란의 전후 처리와 외교 교섭을 위해 1604년 일본으로 건너 가, 그해 12월부터 1605년 3월까지 교토에 머물렀다. 엔니는 교토 출신의 승려로, 1603년 교토에 고쇼지를 창건하고 초대 주지가 되었다. 엔니는 선종의 가르침에 대한 10개의 질문과 답변을 정리한 『자순불법록』을 교토 혼포지(本法寺)에 머물고 있던 사명대사에게 보여주고 자신의 이해가 맞는지 의견을 물었다. 사명대사는 이 글을 보고 엔니를 인정하여 무염(無染)이라는 호와 허응(虛應)이라는 자를 지어 주었고, 침필 편지와 시(詩)도 남겼다. 엔니는 사명대사와의 인연으로 일본 불교계에서 명성이 더욱 높아졌다.

 


“다행히 만 리 길을 가지 않고서도 이곳에 앉아서


경산(經山, 대혜선사)의 후손인 대사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게 되었습니다.


전생의 인연이 아니라면 어찌 이런 일을 기약할 수 있었겠습니까.


큰 자비를 내려서 지금 법을 전수해주신다면 그 덕이 얼마나 그지없겠습니까.“


『자순불법록』


 


『자순불법록(諮詢佛法錄)』은 고쇼지를 창건한 엔니 료젠(円耳了然, 1559~1619)이 선종(禪宗)의 기본 개념과 임제종의 가르침에 대한 이해를 10개의 질문과 답변으로 정리한 글이다. 엔니는 자신이 이해한 내용이 맞는지 사명대사에게 이글을 보이고 가르침을 받고자 했다. 그는 다행히 만 리 길을 가지 않고서도 이곳에 앉아서 자신이 속한 임제종의 법맥을 이은 사명대사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게 되었다며 기쁨과 존경의 마음을 표현했다.


 

758783364_wabk3dcz_54da310843870a49a724a80fc770abe9969d0ebf.jpg

승려 엔니가 부처의 가르침에 대해 사명대사의 의견을 묻는 글


 


758783364_I2uKjT6P_49a1fade93aa84c5e392c92a984b2ecbb8fa0b50.jpg

사명대사가 친필로 쓴 시구(詩句), 일본(1605), 종이에 먹, 교토 고쇼지 


신라 말 문장가로 이름난 최치원(崔致遠, 857~?)이 지은 시 「윤주<潤州>(지금의 중국 장쑤성<江蘇省>) 자화사 상방에 올라<登潤州慈和寺上房>」 중 두 구절이다. 시 속의 자화상처럼 고쇼지가 탈속적이라는 뜻을 담아 이 시구를 남긴 듯하다.


 


畵角聲中朝暮浪 나팔 소리 들리고 아침저녁으로 물결 일렁이는데,


靑山影衰古今人 청산이 그림자 속을 지나간 이 예나 지금 몇이나 될까.


 


임진왜란부터 10여 년 간을 돌아본 사명대사의 감회를 표현한 시이다. 일본에서의 임무만 잘 마무리한 뒤에 속세의 일을 정리하고 선승(禪僧)의 본분으로 돌아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고려 말 문신 유숙(柳淑, 1324~1368)의 시 「벽란도(碧瀾渡)」를 치운하여 지은 시이다.


有約江湖晩 강호에서 만나기로 약속한 지 오래되지만


紅塵己十年 어지러운 세상에서 지낸 것이 벌써 10년이네


白鷗如有意 갈매기는 그 뜻을 잊지 않은 듯


故故近樓前 기웃기웃 누각 앞으로 다가오는 구나.


 


758783364_Vhu2jzN1_6113022937c65b939dc0c588203c3c07c0e6307e.jpg


사명대사가 대혜선사의 글씨를 보고 쓴 글, 일본(1605), 종이에 먹, 교토 고쇼지


 


사명대사가 교토 고쇼지에 소장된 중국 남송의 선종 승려 대혜 종고(大慧宗杲, 1089~1163)의 전서(篆書) 글씨를 보고 감상을 적은 글이다. 사명대사는 이 글에서 중생을 구제하라는 스승 서산대사가 남긴 뜻에 따라 일본에 왔음을 강조하여, 사행(使行)의 목적이 포로 송환에 있음을 분명히 밝히고 사행을 떠나기 전 입적(入寂)한 스승(서산대사)에 대한 절절한 추도의 마음을 드러냈다. 임제종의 법맥이 중국 선종의 제6조(祖)인 혜능으로부터 대혜를 거쳐 사명대사로 이어진다는 조선 불교계의 법통 인식을 보여준다.


 


   


758783364_EQcO14uz_62a2023b426dd3d51a7379655e6c769da12cba4c.jpg사명대사가 승려 엔니에게 지어 준 도호, 일본(1605), 종이에 먹, 교토 고쇼지


 


사명대사는 고쇼지를 창건한 승려 엔니 료젠(円耳了然, 1559~1619)에게 ‘허응(虛應)’이라는 도호(道號)를 지어주고 두 글자를 크게 써 주었다. 엔니를 사명대사에게 소개한 난젠지(南禪寺) 장로 센소 겐소(仙巢玄蘇, 1537~1611)는 조선과 일본의 외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쓰시마번(對馬藩)의 외교승이기도 했다. 엔니와 겐소는 같은 임제종 승려였기 때문에 엔니는 겐소의 소개로 자연스럽게 사명대사와 교류할 수 있었다.


 


758783364_23OSgIjd_26fe711ec09690fb647639e6c83b189d8d1689f1.jpg사명대사가 승려 엔니에게 준 글과 시, 일본(1605), 종이에 먹, 교토 고쇼지


 


사명대사가 고쇼지를 창건한 승려 엔니 료젠(円耳了然, 1559~1619)에게 도호(道號)를 지어 주며 함께 보낸 글이다. 사명대사는 엔니의 자(字)를 허응(虛應), 호(號)를 무염(無染)으로 짓고, 이는 관세음보살이 두루 중생의 소리를 듣고 살핀다는 뜻을 담은 것이므로 잘 새겨서 마음에 간직하라고 하였다. 또, 계속 불법에 정진하면서 중생 구제에도 힘쓸 것을 강조하는 시를 함께 적어 주었다. 수행 전진과 어지러운 세상에서 중생을 구제하는 속세의 임무가 모두 중요하다는 사명대사의 뜻이 담겨 있다.


 


言前活路莫遲留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활로에서 머뭇거려서는 안 되네


直道行行到始休 곧바로 길을 가고 가다보면 비로소 그칠 곳에 이르리라.


鑑物冲虛無所住 만물을 비추어 보면 텅 비어서 머물 곳이 없고


回機寂照有攸由 기틀을 되돌려 고요히 살피면 나아갈 곳이 없네.


頂門具眼如天主 정수리에 눈을 갖추니 천주(天主, 대자재천<大自在天>)와 같고


肘後懸符似國候 팔에 부절(符節)을 매달았으니 제후와 비슷하네.


度世濟生遊幻海 세상을 건지고 중생을 구제하려 속세에 노닐면서


駕船無底任波頭 바닥없는 배를 타고 파도 위에 몸을 맡기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3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6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2204
16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6 · 25 전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214
16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보살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216
16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유명 기업보다 내가 필요한 회사 찾아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233
16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9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2 2237
16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238
15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240
15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4 2241
15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여진 정벌과 9성 개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2243
15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2250
15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배론 성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262
1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99년만에 찾아온 토탈 이클립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266
1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달의 뒷면에 착륙한 인류 최초의 탐사선 ‘창어4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2283
15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2 (두뇌의 작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292
151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우선순위만 잘 알아도 합격합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03
150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면접편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 2313
14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13
148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2319
147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1. 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2322
14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 2338
14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발견에 공헌한 3인에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346
14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보살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347
14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중근의 동양 평화론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2355
142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 중급단계 주제를 다루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2361
14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기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368
14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2373
13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374
138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기초과정의 공부 방법을 응용하여 사고가 갇힌 상태를 스스로 확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2382
13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짜가 아닌 가짜뉴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396
136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이력서 심사 30초면 결판…첫눈에 들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400
13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의 토지 제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 2402
13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바꾼 질문에 부합하는 서술을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412
13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울진 봉평비, 영일 냉수리비, 포항 중성리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2413
13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7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416
13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장승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420
13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서술을 종합하여 나만의 정의를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422
12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430
12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2 2443
127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를 다루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2445
12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446
12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2456
124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입사 1차 관문 통과, 이력서가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471
12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나만의 정의를 바탕으로 주제를 확장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2473
1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주 감은사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476
12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국제 단위계의 재정의 Huge change, but no chang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477
12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484
11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로왕비 허황옥은 인도에서 왔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2487
11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489
117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의 공부 방법 종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1 2492
1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종이 땡땡땡, 서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497
115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용 서명 전에 연봉·복리 조건 협상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497
11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2499
11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선택 그리고 정의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01
1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용의 꿈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2502
111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교육컨설팅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504
11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25
10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글쓰기 방법 - Rephrase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28
10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539
10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몽유도원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40
10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54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