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질문의 종류와 기능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질문의 종류와 기능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2-27 11:53 조회2,337회 댓글0건

본문

 

아이들 질문 가로막는 것, 창의력 방해하는 큰 장애물 될 수 있어

 

 

논리적/객관적 사고력을 키우는 열쇠로서 필자는 질문을 강조해 왔습니다. 현재 BC주의 학교교육도 학생들로부터 더 많은 질문을 유도하고 또 그 질문에 스스로 답을 찾는 방향으로 전환을 하는 과정에 있음을 BC주가 제공하는 교육 정책에 관한 자료나 웹사이트를 통해 또는 학교 선생님들과 대화로 많은 부모들은 인식하고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보통의 아이들은 어려서부터 끊임없이 질문을 합니다. ‘구름은 왜 떠있어?’, ‘저건 뭐야?’, ‘왜 저렇게 생겼어?’ 등등 가끔은 부모가 정신을 차릴 수 없을 정도로 쉬지 않고 질문을 던집니다. 이렇게 아이들에게 질문은 자연스러운 것인데 왜 학교교육은 새삼스럽게 아이들의 질문을 유도하는 교육을 이야기하는 것일까요? 시간이 흐를수록 질문이 점차 줄어드는 아이들의 모습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질문을 멈추게 하는 요인이 아이들 주변의 어른들임을 조금만 관찰해보아도 알 수 있습니다. 예로서 ‘비는 왜 와?’와 같이 중력의 개념, 무게의 개념, 온도에 따른 물의 특성 등 깊이 있는 내용을 알지 못하면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을 받으면 많은 경우 부모 또는 선생님은 질문을 하지 못하도록 강요하거나 주제에서 벗어난다며 대답을 회피하는 경우가 바로 아이들의 질문을 막는 요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부모나 선생님이 아이들의 질문을 통해 모르는 것도 함께 찾아가려 하기 보다는 자신들의 지식 밖의 내용에 대해 질문하는 아이들을 막다보니 교육은 부모/선생님들이 이미 배워서 알고 있는 지식의 전달에 초점이 맞춰지고, 이렇게 지식의 전달에 치중하다보니 아이들이 미지의 세계를 탐구하는 방법을 익히기 보다는 주어지는 지식을 소화하는 형태의 공부를 하도록 훈련이 되고 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미처 생각하지도 못했던 미지의 세계를 탐구하는 힘을 기르는 것이 교육의 한 목적이라고 본다면 지식의 전달을 위주로 하는 교육으로부터 방향을 전환해야 할 필요성이 생길 수밖에 없었을 것이고 그렇기에 교육의 방향을 바꾸려 한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입니다.

 

이렇게 질문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지금, 일상에서 자녀들과 질문하는 방법을 찾아갈 수 있도록 아직까지 깊이 있게 다뤄지지 않은 질문의 종류와 기능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1. 지혜를 쌓는 도구로서의 질문 (인간만의 고유한 두뇌 발달에 초점을 둔 질문으로 개인의 판단 또는 생각이 배제된 질문): ‘바람은 왜 불지?’, ‘산은 왜 산이라고 하나?’, ‘생명이란 무엇일까?’, ‘존재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등의 질문은 판단이 배제된 상태에서 오감을 통해 들어오는 정보에 대한 호기심에서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질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질문은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 (연구)을 통해 과학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옳고 그름, 맞고 틀림 등에 기초를 둔 것이 아니기에 질문 중에서도 가장 익히기 어려운 형태의 질문이자 답을 찾기에도 가장 어려운 질문입니다. 하지만 답을 찾는 방법을 익히는 순간 인간에게 주어진 두뇌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즉, 지혜의 완성을 이룰 수 있습니다.

2. 지혜와 지식의 경계선에 있는 질문 (질문을 하는 사람에 따라 개인의 판단이 가미된 것과 배제된 것이 결정되는 형태의 질문): ‘대기 오염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은?’, ‘인구 증가와 사회문제의 연관성은?’ 등과 같은 질문은 질문을 하는 사람이 이미 판단을 내리고 질문을 하였는지/아닌지의 여부에 따라 두 갈래로 나누어지는 질문입니다. 질문을 한 사람이 자신의 판단을 내리지 않고 원인과 결과에만 중점을 두어 답을 찾는다면 위에서 이야기한 지혜의 질문과 같이 미지의 세계를 탐구하는 질문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득/실, 맞다/틀리다 등 (예, 인구 증가는 문제다)과 같은 판단을 내리고 사고를 해 나간다면 지식을 쌓는 질문에서 멈추게 되는 양면성을 지닌 질문들입니다. 이러한 형태의 질문들은 학교교육을 예로 들자면 석사/박사 과정과 같이 연구를 하는 사람들이 주로 던지는 질문입니다.

3. 지식을 쌓는데 중점을 둔 질문(지식을 늘리고자 하는 질문으로 동물적 생존 본능에 충실한 질문의 형태): ‘일제 강점기가 뭐야?’, ‘미적분은 어떻게 하는 거야?’, 등과 같이 모르는 것을 배워서 알고자 하는 형태의 질문입니다. 자신이 먹을 풀/생선 등에 독성이 있고/없음 등을 구분해서 지식으로 기억해야 생존할 수 있었던 진화의 과정을 통해 생존을 위한 판단 (있다/없다, 맞다/틀리다, 옳다/그르다 등)을 내리기 위해 던지는 질문의 형태로 질문에 있어서는 가장 기초적인 것이며 지금까지 학교교육의 주된 방법으로 받아들여진 것입니다.

 

자녀들과 함께 일상에서 미지의 세계를 탐구하는 질문과 지식을 찾는 질문 중 어느 쪽의 비중이 높은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28건 3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08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사고력 키우기 (행동으로 옮기기 전에 생각하는 훈련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1931
1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1932
10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특강] 좋은 글쓰기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4 1937
105 [CELPIP의 모든 것] “평이한 ‘리스닝’, 인터뷰 아닌 반복훈련으로 준비하는 ‘스피킹'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4 1943
104 [과학 이야기] 황금 비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7 1954
103 [민 박사의 자녀교육 길라잡이] 수학 공부, '왜' 하고 '어떻게' 할까 -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1959
10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새 원자의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4 1976
1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화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1979
100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잔소리를 참는 부모 vs 잔소리를 할 필요가 없는 부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1980
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 역사상 가장 뛰어난 항해자(voyager)는 누구일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1987
9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두뇌 구조와 기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990
97 아이와 눈높이를 맞춘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1992
9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봉사활동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006
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007
94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좋은 글쓰기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2013
93 자녀를 혼내야 하는 경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2020
9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년에 주목할 과학 이슈 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035
9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슈퍼 푸드 - '토마토'에 대한 모든 것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2035
90 [CELPIP의 모든 것] “재주는 캐나다가 부리고 돈은 영국이 챙기는 현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2048
8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앨런 머스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048
8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 노벨 물리학상과 중성미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051
87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2055
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060
8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사람 (특히 자녀들)을 무시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061
8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2075
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075
8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2082
8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실수는 발명의 어머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2097
8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Atomic Spectru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109
7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핵융합 발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2117
7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2132
77 새롭게 개정된 AP Physics 시험제도, 어떻게 바뀌었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138
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 발명품 25가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148
7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교육방법과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157
7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크리스마스에 잠든 여성 천문학 거장 베라 루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192
73 불의 고리(Ring of Fir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2202
7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천체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204
7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뉴튼과 사과나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13
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양자 컴퓨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2215
69 [과학 이야기] 펜싱에 숨어 있는 신비로운 과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2216
6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목성 탐사위성 주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237
6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자연과학과 철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2265
66 자녀교육 – 답을 찾을 수 있는 질문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2266
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숨겨진 세기의 발명가 – 테슬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2278
64 [ 과학 이야기] 에펠 탑의 과학자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7 2305
6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초끈 이론(Superstring theory)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310
6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구조 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320
6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볼라 바이러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321
열람중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질문의 종류와 기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338
5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로운 거미줄의 세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2355
58 이공계열 단과대학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375
5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탄소연대 측정(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2378
56 [과학 이야기] 양성자 빔 암 치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2399
5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드레스 색깔의 차이(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2405
54 [과학 이야기] 전기 뱀장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2460
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엘니뇨와 BC주 가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3 2477
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시간이란 무엇인가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2487
51 [CELPIP의 모든 것] '북미식 발음, 스피킹은 ‘인터뷰’ 아닌 컴퓨터 ‘레코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2516
5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컴퓨터 과학의 아버지 앨런 튜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516
49 [CELPIP 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8 2526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