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절두산(切頭山) 순교성지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절두산(切頭山) 순교성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1-01-05 12:47 조회2,194회 댓글0건

본문


758783364_O9BkWFMx_9d8ea381509690bc950fda14131ecd08e71cec17.jpg

절두산 순교성지 

 

1864년 1월 철종의 사망과 함께 고종이 왕위에 오르지만 12세의 고종이 정사를 돌보기에는 아직 어리다는 이유로 대왕대비 조씨와 그에 이은 고종의 부친 흥선 대원군 이하응(1820~1898)에게 모든 실권이 넘어가게 되었다.

 

대원군은 섭정 시기 동안 서양의 침략에 대해서는 위정척사(주자학을 지키고천주교를 물리치려던 주장)적 입장에서 강력한 대응 정책으로 일관하였으나, 1860년 북경조약으로 연해주지역을 차지한 러시아가 시베리아를 건너와 남하정책을 펴며 함경도 경흥부에 와서 조선과의 통상을 강요하자 위협을 느낀 대원군은 프랑스를 통해 러시아의 위협을 물리치고자 선교사들과 접촉하려 하였다.

 

러시아 세력을 물리칠 수 있다면 종교의 자유를 주겠다는 대원군의 제의에도 불구하고베르뇌 주교는 러시아 사람들과 종교가 다르기 때문에 그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기본 입장을 전하였다.

 

1865년 러시아인들의 새로운 통상요구와 더불어당시 신자들이 조선에 와 있는 서양 주교들을 통해 영국프랑스와 동맹을 맺자는 방아책(러시아를 막는 방책)을 건의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에서 서양인들을 사형에 처하고 있다는 조선 사신의 보고와 대신들의 압박그리고 선교사들이 정치적으로 연관이 될 것을 두려워한 대원군은 주교들과의 면담을 미루었다또한 러시아인들의 위협이 누그러지고 있는 시기까지 겹쳤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렇지 않아도 가톨릭교를 서학·사학이라 하여 배척하던 당시, "운현궁에도 천주학쟁이가 출입한다"는 소문이 퍼졌고조대비 이하 정부 대관들이 가톨릭교도의 책동을 비난하자 대원군은 이들 가톨릭교도를 탄압하기로 결심하였다.

 

1866년 가톨릭교 탄압의 교령이 포고되자 프랑스 선교사 12명 중 9명이 학살당한 것을 필두로 불과 수개월 사이에 국내 신도 8,000여 명이 학살되면서 병인박해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조정에서는 아직도 체포되지 않은 3명의 프랑스 신부의 행방을 찾고 있었고이 사건으로 산속에 피신하여 쫓겨 다니다가 병으로 죽고 굶주려 죽는 부녀자와 어린이가 부지기수였다고 한다이때 탈출에 성공한 리델 신부가 톈진(천진)에 있는 프랑스 해군사령관 로즈 제독에게 이 사실을 알림으로써 병인양요가 일어났다.

 

병인박해(1866) : 조선 고종 때(1866), 대원군에 의한 천주교 박해 사건이로 인하여 병인양요가 일어났다.

병인양요(1866) : 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으로 고종 때(1866)에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를 침범한 사건이다.

758783364_6qswU8pb_28fbe90302e64c485f2f8fed1220d353c508875c.jpg

  

* 병인박해 순교성인 24위 명단

번호

신분

이름(세례명)

나이

순교연월일

순교장소

1

주교

베르뇌(시메온)

52

1866. 03. 07

새남터

2

신부

브르트니에르(유스토)

20

1866. 03. 07

새남터

3

신부

볼리외(루도비코)

26

1866. 03. 07

새남터

4

신부

도리(헨리코)

27

1866. 03. 07

새남터

5

회장

정의배(마르코)

72

1866. 03. 11

새남터

6

역관

우세영(알렉시오)

21

1866. 03. 11

새남터

7

승지

남종삼(요한)

50

1866. 03. 07

서소문밖

8

상인

전장운(요한)

57

1866. 03. 09

서소문밖

9

회장

최형(베드로)

53

1866. 03. 09

서소문밖

10

주교

다블뤼(안토니오)

48

1866. 03. 30

갈매못

11

신부

오매트르(베드로)

29

1866. 03. 30

갈매못

12

신부

위앵(루카)

30

1866. 03. 30

갈매못

13

회장

황석두(루카)

54

1866. 03. 30

갈매못

14

회장

장주기(요셉)

64

1866. 03. 30

갈매못

15

회장

유정률(베드로)

30

1866. 02. 17

평양

16

농부

손자선(토마)

27

1866. 03. 30

공주

17

농부

조화서(베드로)

52

1866. 12. 13

숲정이

18

농부

이명서(베드로)

46

1866. 12. 13

숲정이

19

농부

정원지(베드로)

19

1866. 12. 13

숲정이

20

원님

정문호(바르톨로메오)

66

1866. 12. 13

숲정이

21

회장

손선지(베드로)

47

1866. 12. 13

숲정이

22

회장

한재권(요셉)

31

1866. 12. 13

숲정이

23

농부

조윤호(요셉)

19

1866. 12. 13

숲정이

24

회장

이윤일(요한)

44

1866. 01. 21

대구

새남터 신용산 철교와 인도교 사이 이촌동에 있었다조선 초부터 군인들의 연무장으로 사용되던 곳인데후에는 국사범 등 중죄인의 처형장으로도 사용되었다. 1456(세조 2) 성삼문 등의 사육신을 처형한 것을 비롯하여 많은 사람을 이곳에서 처형하였는데특히 1801(순조 1)의 신유박해 이후 많은 천주교도를 처형한 곳으로 유명하다.

갈매못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영보리에 있는 천주교 순교사적지

서소문밖 서소문역사공원 순교성지. 103위 순교 성인들 중 44명의 성인 성녀와 함께 수많은 순교자들을 탄생시킨 한국 최대의 순교지가 바로 서소문 밖 네거리이다서소문 밖 형장이 기억하는 첫 인물은 이승훈이다.

숲정이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에 있는 순교성지

 

절두산순교자

강요한(1800~1867)

김이뿐(마리아, 1812~1866)

김진구(안드레아, 1825~1866)

김 큰아기(마리아, 1834~1866)

김한여(베드로, ?~1866)

박래호(사도 요한, ?~1866)

박성운(바오로, 1843~1866)

원윤철(사도 요한, 1786~1866)

유 마오로(바오로, 1821~1866)

이기주(바오로, 1839~1866)

이봉익(베드로, 1843~1866)

이용래(아우구스티노, 1822~1866)

이의송(프란치스코, 1821~1866)

 

성인유해실

성인유해실은 침묵 중에 순교성인들의 삶과 신앙을 묵상하고 기도하는 곳으로현재 27위의 순교성인들과 무명 순교자 1위의 유해가 모셔져 있다.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1846년 병오박해 때 순교)

성 김성우 안토니오

성 김 헨레코 도리 신부(St. Henricus Dorie)

성 남종삼 세레자 요한

성 나 베드로 모방 신부(St. Petrus Maubant)

성 인 루카 위엥 신부(St. Lucas Huin)

성 범 라우렌시오 앵베르 신부(St. Laurentius Imbert)

성 백 유스토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 신부(St. Iustus Ranfer de Bretenieres)

성 서 루도비코 블리외 신부(St. Ludovicus Beaulieu)

성 손선지 베드로

성 이호영 베드로

성 이영희 막달레나

성 이정희 바르바라

성 우세영 알렉시오

성 안 토니오 다블뤼 주교(St. Antonius Daveluy)

성 오 베드로 오메르트 신부(St. Petrus Aumaitre)

성 이명서 베드로

성 이윤일 요한

성 장 시메온 베르뤼 주교(St. Simeon Berneux)

성 정문호 바르톨로메오

성 정 아고보 시스탕 신부(St. Iacobus Chastan)

성 장주기 요셉

성 최경환 프란치스코

성 최형 베드로

성 한재권 요셉

성 황석두 루카

성 하계일 막달레나

무명순교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3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65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울어야 얻는다'…당당히 요구해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546
16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810
163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용 서명 전에 연봉·복리 조건 협상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495
16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017
161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최종 승부는 프로의 열정…나를 판매하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018
16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1874
159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지원 회사·일자리 완전히 알고 가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077
15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544
157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막강한 추천인 한 마디…입사 당락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986
1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오퍼튜너티 - 긴 탐사여정을 마치고 영원히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03
15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홍산(훙산) 문화(기원전 6,000년 ~ 기원전 800년)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094
154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인터뷰하고 싶게 짧고 강렬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3 1901
15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홍산(훙산) 문화(기원전 6,000년 ~ 기원전 800년)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3 3394
1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22
151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이력서 심사 30초면 결판…첫눈에 들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396
15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650
149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입사 1차 관문 통과, 이력서가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470
14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480
147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핵심 사이트 몇 개면 취업정보 얻는 데 충분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3181
14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852
14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짜가 아닌 가짜뉴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395
144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유명 기업보다 내가 필요한 회사 찾아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231
14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과 국학(국어, 한국사) 운동의 전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569
14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석사 + 자격증 + 실무 경력' 가장 선호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715
14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국(고구려, 백제, 신라)의 경제생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4083
14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078
13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로왕비 허황옥은 인도에서 왔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2485
13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토목·기계, 진출분야 넓고 최고 인기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3210
137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컴퓨터·전기전자 전공 장래성에서도 최고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3907
13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천재 물리학자, 레프 란다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3752
13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의 신분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3309
134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연봉, 일자리 많고 은퇴 걱정 없는 '황금시장'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828
13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거란(요)과의 전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5027
13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하층민(농민, 천민)의 봉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5207
13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달의 뒷면에 착륙한 인류 최초의 탐사선 ‘창어4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2280
13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붕당 정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3377
12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산타의 썰매는 초음속 비행물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2981
12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별초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4044
12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의 건국 신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0 3013
12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국제 단위계의 재정의 Huge change, but no chang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473
12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장승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417
12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소재동 – 정도전 유배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850
1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성 내부의 숨은 비밀을 밝혀줄 탐사선, 인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185
122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마지막회 – 개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083
1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국지 위서 동이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7780
12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후기 사회 구조의 변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1 4085
11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의 공부 방법 종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1 2492
11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매운 음식을 먹으면 스트레스가 해소될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3613
117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2135
1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을불 설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3590
115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2313
11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보부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4698
11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바다는 왜 짤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4687
112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2942
11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육의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3099
110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서술을 구체적으로 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2577
1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장보고(미상~84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2935
108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기초과정의 공부 방법을 응용하여 사고가 갇힌 상태를 스스로 확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2378
10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리학의 전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3051
106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접근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2043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