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3) - 벌을 준다는 것은?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3) - 벌을 준다는 것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07-23 12:23 조회1,664회 댓글0건

본문

부모들의 경험에만 의존한 교육, 부정적 효과 클 때 많아

 

 

칭찬과 함께 사용되는 벌은 칭찬보다 부정적인 효과가 잘 알려졌기에 어쩌면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적용하지 않으려 노력하는 교육방법들 중 하나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벌이라는 것은 무엇이며 벌이 자녀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벌을 주어야 하는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자녀교육에 대해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다른 사람을 움직이는 방법 중에는 설득을 통해 상대방이 스스로 움직이게 하는 것, 상대가 원하는 것을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움직이도록 하는 방법 (칭찬에 대한 지난 주 칼럼 참고), 또는 위협을 통해 움직이도록 강요하는 것 등이 있을 것입니다.

 

이 중에서 벌은 상대를 위협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협이나 물리적인 고통을 주는 방법은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는 능력이 부족한 동물들의 교육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일례로 부모 원숭이는 체벌을 통해 새끼 원숭이에게 안전을 교육합니다. 이렇듯 일반 동물에게는 논리적 사고력을 통한 의사전달이 어렵기 때문에 위협이나 고통을 가함으로써 새끼들을 길들이는 방법이 최선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인간이 이러한 다른 동물들과 차이가 있다면 논리적 사고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전달함으로써 상대가 내 의도를 이해하고 따르도록 할 수 있는 두뇌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 논리적 설득에 근거한 뛰어난 의사전달 능력은 사회에서 원하는 지도자의 중요한 자질들 중 하나일 것입니다. 따라서 자녀가 미래에 사회의 지도자로 성장하기를 바란다면 위협이나 신체적 고통을 가하는 벌을 주기 보다는 합리적 근거와 논리적 사고로 아이가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교육을 통해 아이 스스로 사고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입니다. 그런데도 왜 부모는 벌을 통한 교육을 포기하지 못하는 것일까요?

 

부모가 자녀들에게 벌을 주는 대표적인 경우는 자녀가 위험한 일을 하거나 사회로부터 비난을 받는 일을 할 때일 것입니다.

 

위험한 일을 했을 때 그것이 위험하다는 것을 가르침으로써 위험을 피하기를 바랄 것이고 사회로부터 비난 받을 일을 줄임으로서 사회에서 인정받는 사람으로 살아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부모는 자녀교육의 방법으로 벌을 선택합니다.

 

위험을 피하거나 사회로부터 인정을 받을 수 있으려면 아이가 스스로 상황을 분석하고 판단할 수 있어야 가능할 것입니다. 그런데 벌이라는 것은 사고력에 근거한 결정방법을 익히는 것이 아닌 부모가 정한 방식을 따르도록 길들이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아이를 위하는 마음’에서 주어지는 벌이 아이의 미래를 생각하는 교육방법일까요? 만약 그렇지 않다면 부모는 누구를 위해 벌을 주는 것일까요?

 

부모는 자신의 경험에 근거해 자녀의 미래를 준비해 줄 수 있는 최선의 교육방법을 찾으려 매 순간 순간 노력합니다.

 

‘아이에게 어떻게 해 주었을 때 아이가 미래에 안정된 직장을 얻고 즐겁고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바탕으로 나름의 논리를 세우고 또 그 논리에 맞춰 칭찬을 하거나 벌을 줍니다.

 

그런데 부모 나름의 논리로 벌을 주어서 아이가 부모의 의도대로 생각하고 행동하게 된다면 기뻐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벌을 받는 아이가 즐겁고 행복해 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오히려 부모 자신의 논리를 아이에게 적용하면서, 자녀가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따르는 모습을 볼 때 부모는 자신의 교육 방식이 잘 받아들여졌다는 만족감에 즐거워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즉, 자녀 벌주기에 내재된 심리는 아이가 스스로 상황을 분석하고 깨달음으로서 사고력을 키워가도록 도와주려는 목적이 아니라 부모 자신의 논리로 찾아낸 방법을 실행하고 그 결과가 자신을 충족시키기 바라는 부모 자신의 욕심에서 비롯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아이의 삶에 피와 살이 되는 교육을 한다고 착각하면서 자신의 만족만을 추구하는 형태이니 이것을 뒤집어진 생각 또는 모순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일상생활에서 칭찬이나 벌과 같이 진화의 과정에서 오랜 시간동안 습관화 된 것을 없애기란 쉽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벌을 주더라도 아이의 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과 함께 벌이 없이도 할 수 있는 간단한 생활 속의 자녀교육 방법을 적어보겠습니다.

 

벌은 논리적 설명과 함께

 

벌을 주는 경우 그 이유를 아이가 받아들일 수 있도록 최대한 논리적으로 설명을 해 주는 것입니다. 이유가 없는 벌은 아이를 동물처럼 길들이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이가 이유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시간을 두고 설득할 수 있는 이유를 찾기

 

벌을 주려고 이유를 설명을 해도 아이가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 벌을 주려고 하기 보다는 잠시 시간을 두고 아이를 설득할 수 있는 이유를 생각해 보는 것입니다.

 

아이가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것은 아이가 이해 못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를 설득하는 부모의 이유가 아이 자신의 논리와 맞지 않기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 때 부모 스스로 누구의 관점에서 만들어진 이유인지는 생각해 보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무엇보다도 이 방법은 부모가 아이에게 부모의 논리적 사고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아이의 사고력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벌이 없이 할 수 있는 자녀교육방법 - 아이에게 물어보기

 

벌을 준다는 생각을 지우고 아이에게 무엇을 왜 어떻게 했는지를 물어보고 그 결과에 대해 서로의 생각을 이야기 해 보는 방법입니다.

 

아이에게 이유를 묻게 되면 아이는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서 자신이 생각한 최선의 이유를 찾고 그것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려 할 것입니다.

 

이 때 논리가 부족한 부분을 찾아서 묻고 또 묻는다면 (따지는 것과 다름) 아이는 스스로 자신의 논리가 부족함을 깨닫게 될 것이고 스스로 생각이 짧았음을 인정하는 순간 부모의 논리적 사고력을 배워 익히려고 할 것입니다.

 

이때 겉으로는 벌을 받은 아이가 또 다른 벌을 피하기 위해 복종을 하는 모습하고 크게 달라 보이지 않지만 이 경우 아이는 스스로 부족함을 인정하고 부모를 삶의 스승으로 받아들이기에 반항이나 분노가 쌓이는 것이 아니라 부모의 사고력을 뛰어넘겠다는 도전을 생각할 것입니다.

 

부모가 자녀를 벌주는 이유는 자존감이 낮아 자신의 존재 가치를 자녀에게 인정받고자 해서입니다.

 

자존감이 낮은 사람의 삶이 행복할 수 있을까요? 행복한 삶을 살지 못하는 사람이 아이에게 행복을 전해줄 수 있을까요? ‘아이를 위해 벌을 준다!’는 말은 자신의 만족을 위해 아이를 괴롭히면서 부모 자신의 이기적인 생각을 들키지 않기 위해 하는 포장과도 같습니다.

 

내 자녀가 행복하기를 바라시나요? 그렇다면 ‘내 아이를 위해서’라는 생각을 지우고 자녀의 의견을 묻고 답을 찾는 교육 방법을 생각해 보는 것이 어떨까요?

 

저자소개

 

민동필 박사: PonderEd Education을 운영하며 사고력 (지혜)을 키우는 교육을 하고 있다. 민 박사의 자녀교육 공개강의 (무료)가 매월 노스로드 근처 CLC 교육센터에서 열린다. 오는 8월 20일(목) 저녁 6시 30분에 ‘아이들의 미래 그리고 돈’ 제목으로 공개 강의가 있다. 문의 및 예약 : 604-838-3467 또는 clc911(카톡) / tongpil@gmail.com, http://www.the-lessons-of-life.c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28건 3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0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Deep Impact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1887
1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해저 광 케이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4 1884
106 [Jay의 재미있는 도서관 이야기] 3D 프린터와 스캐너의 신기한 세계, 코퀴틀람 도서관에서 만나요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 1880
10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어떻게 하면 수학, 과학을 잘 할 수 있을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1872
104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명령하는 부모와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1866
1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상 현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5 1861
10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빈디시 연구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1860
101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자녀를 대할 때 감정을 배제하기 어려운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1854
100 [과학 이야기] 기억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1 1850
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관절 꺽기' 연구를 왜 할까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1 1850
98 토의 vs 논쟁 (토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1850
9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 1837
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빠, 자동차 바퀴는 왜 전부 까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9 1834
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유방암 진단을 위한 맘모그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1830
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메르스 증후군(MERS), 제대로 알아보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4 1825
9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4 1818
92 [CELPIP의 모든 것] 영주권 ㆍ시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1817
91 [과학 이야기] 2016년 노벨 생리의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1815
90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방법을 익히는 방법이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1800
89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14) - 사회문제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1786
8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6) - 토론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3 1784
8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10) - 돈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1778
86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할 수 있는 것이 없어 방황하는 경우(무기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2 1776
85 생활 속의 자녀교육 (16)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770
84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자녀를 향한 기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1763
83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28) - 다른 사람에 대한 비난과 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5 1762
8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세계 오존층 보호의 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7 1762
81 생활 속의 자녀교육 (18) - 아이들에게 친구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 1761
8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뉴호라이즌이 보내온 반가운 소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755
79 공부에 필요한 요소 - 용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1751
7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칭찬받아 춤추는 고래는 행복할까? (칭찬의 이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1741
77 생활 속의 자녀교육 (25) – 꿈과 희망의 이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3 1735
7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수학 공부, 왜 그리고 어떻게?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8 1735
75 자녀들이 감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1729
74 C3소사이어티 <제9회 리더십 컨퍼런스> 접수 시작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1728
73 진정한 삶의 자유와 즐거움<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8 1718
72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예습과 복습을 통해 배우는 방법을 익히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717
71 [과학 이야기] 2016년 노벨 화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1703
70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1702
69 생활 속의 자녀교육 (19) - 사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1694
6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4) - 우리 아이, 뛰어난 협상가가 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0 1690
6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5) - 대인관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 1684
66 사용하는 단어의 선택과 논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1675
6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8) - 경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1674
6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1672
열람중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3) - 벌을 준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3 1665
62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좁고 좁은 저 문으로 들어가는 길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1665
61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자녀들이 지도자의 자질을 키울 수 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1657
60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음식, 편식,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1656
5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물의 기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 1653
58 [ 민동필 교육 칼럼] 생활 속의 자녀교육 (13) - 진정한 의미의 지도자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 1649
57 [과학 이야기] 항균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1642
56 다이아몬드와 흑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1640
5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좋은 글쓰기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1630
54 [CELPIP 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7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630
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플루엔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1628
52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자녀교육, 불편한 진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1627
51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1623
50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배우는 사람 (아이들)의 이해력을 탓하는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1608
49 [과학 이야기] 아홉번 째 행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1599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