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쌍둥이 패러독스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쌍둥이 패러독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4-08-09 12:07 조회2,573회 댓글0건

본문

sjy.gif  석준영 비센교육원장

특수상대성이론은 물체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는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는 이론

지난 주 칼럼에서 설명드린 특수상대성이론에 의하면, 관측자와 물체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라서 각자의 시간과 공간은 느려지기도 하고, 짧아지기도 하며 변화를 일으킵니다. 하지만, 물체의 속도가 빛의 속도에 매우 가깝지 않는 한 그 변화의 정도가 측정하기 힘들 정도로 작기 때문에,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는 그 변화를 거의 느낄 수가 없습니다. 이렇게 시공간의 변화를 측정하기 힘들기 때문에 시공간은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절대적인 것이라는 개념이 우리에게는 더욱 친숙한 것이고, 그 때문에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할 때 많은 과학자들은 이를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특수상대성이론을 반박하기 위한 여러 사고실험을 아인슈타인에게 제시했는데,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쌍둥이 역설(Twin Paradox)입니다.

특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는 정지해 있을 때보다 시간이 느리게 흐르게 되는데, 이에 따르면 빛만큼 빠르게 움직이는 로켓을 타고 여행을 하면 지구에 정지해 있는 것보다 시간이 느리게 감으로써 나이를 더 천천히 먹게 됩니다. 쌍둥이 역설은 바로 이 이야기로부터 시작됩니다. 예를 들어 쌍둥이가 태어나자마자 동생은 지구에 남겨두고, 형은 빛의 속도에 매우 가까운 속도로 여행하는 로켓에 태워 우주여행을 시작한다고 가정합니다. 이 때 로켓의 속도가 빛의 속도에 약 90 % 정도라고 가정하고 특수상대성이론을 적용하여 계산을 해보면 로켓의 시간계는 지구의 시간계에 비해 약 0.19배 정도로 느리게 흐르게 되고, 결론적으로 지구에 남아있는 동생의 나이가 60세가 되는 해에 로켓이 지구로 돌아온다면 로켓을 타고 이동한 형의 나이는 겨우 26세가 되어있게 됩니다. 즉, 빠르게 움지이는 계에 속해있는 형의 시간이 더 천천히 흘러, 결과적으로 동시에 태어난 쌍둥이이지만, 가만히 멈춰있는 동생보다 무려 34세나 더 어려지게 되는 것입니다. 쌍둥이 역설은 이 설명안에 특수상대성이론이 갖고 있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하나가 있기 때문에 생겨 나는데, 그것은 바로 물체간의 움직임은 서로 상대적이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강 위에 두개의 뗏목이 있다고 가정해 봅니다. 이 강은 너무나 잔잔해서 그 흐름을 느낄 수 없고, 두 뗏목에 타고 있는 관측자는 다른 주변은 절대 볼 수 없고, 각각의 관측자가 서로 바라만 볼 수 있는 장치를 만들어 놓았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런 상황에서 한 뗏목만 천천히 뒤로 움직이게 한다면, 두 관측자 모두 자신의 움지임은 감지할 수 없게 해 놓았기 때문에, 서로 자신은 정지해 있고, 상대방이 뒤로 멀어지고 있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이를 움직임의 상대성이라고 하는데, 내가 상대방을 향해 다가가는 것이나, 내가 정지해 있고 상대방이 내게로 다가오는 것이나 '두 물체간의 상대적 움직임에는 전혀 차이가 없다'라는 이치입니다. 이러한 이치를 앞서 말씀드린 쌍둥이의 우주여행실험에 적용해보자면, 로켓에 타고 있는 형의 입장에서는 형이 로켓과 함께 정지해 있고, 반대로 지구가 로켓으로부터 멀어졌다가 다시 로켓에게 다가온 운동을 한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즉, 앞에 설명드린 것과는 반대로 형의 입장에서 특수상대성이론을 적용해 보면, 앞서 말씀드린 계산이 완전히 반대가 되어서, 로켓에 타고 있는 형이 60세가 되는 동안 동생의 나이가 26세가 되는 결과를 갖고 오게 됩니다. 즉, 어느 쪽을 관찰자로 하는 것이냐에 따라 시간이 느리게 가는쪽과 시간이 빠르게 가는 쪽이 달라진다는 오류가 생기기 때문에 이를 쌍둥이 역설이라 불렀고, 특수상대성이론이 잘못되었고, 시공간은 절대적인 것이라는 주장에 힘을 실어주게 되었던 유명한 사고실험입니다.

하지만, 특수상대성이론은 방향이나 속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등속운동을 하는 물체가 정지상태인 물체보다 시간이 느리게 흐른다는 이론으로 쌍둥이 역설에서 나오는 우주여행에는 적용될 수 없으며 이 쌍둥이 역설은 실제로 말이 안되는 역설이 아님이 후에 실험적으로 증명이 되었습니다. 

1977년에 시행된 이 실험에서는 가장 정밀하게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세슘원자시계를 네대의 여객기에 태워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지구를 한바퀴씩 돌게 한 후 각 여객기에 탑재된 원자시계와 지상에 고정된 원자시계간의 시간차이를 측정해본 결과 상대성이론에서 예측한 시간이 느리게 가는 현상이 10%이내의 오차로 측정값과 일치한 것이 관측되었습니다. 즉, 실제로 움직이고 있는 물체의 시간이 정지해있는 계보다 느리가 간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증명된 것입니다.

이렇듯 특수상대성이론은 물체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는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는 이론입니다. 하지만 쌍둥이 역설에서의 가설은 지구에서 출발하여 다시 지구로 돌아오는 여행으로 방향을 바꾸어 돌아오는 궤적이기 때문에 전체 여행이 일정 속도로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즉 속도가 '0'인 상태에서 출발을 하고 빛에 가까운 속도에 가기까지 가속도운동을 하고, 또한 지구로 돌아올 때 다시 속도를 '0'으로 감속하는 등의 속도를 변화시키며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상대적 효과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쌍둥이 역설에 힘이 실릴 수 있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가속, 감속하는 물체에 대한 상대적 효과를 고려한 이론 역시 아인슈타인에 의해서 후에 성립되었는데, 이를 일반상대성이론이라 부릅니다.

시간이 느리게 간다, 빠르게 간다. 이런 이야기를 들으면 많은 분들이 ‘아. 그럼 시간여행이 가능하다는 건가?’라고 생각하시고, 또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과 타임머신의 이야기를 연결지어 만들어진 말들이 많이 있기도 한데, 사실 잘 생각해보면 상대성이론은 시간여행과는 전혀 다른 이야기입니다. 상대성이론에 의하면 물체의 운동에 따라 각각 다른 시공간계를 갖게 된다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그 시공간이 갑자기 뚝 끊어져 새로운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모든 시공간은 연속적으로 흐름에는 변화가 없지만, 그 값이 절대적이지 않고, 각각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상대적 개념이다라는 말을 하고 있는 것 뿐입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각각의 시간의 흐름의 속도가 달라 쌍둥이의 나이가 다르게 되기는 했지만, 이것이 26세의 형이 동생의 60세 생일날에 갑자기 뿅하고 나타나는 수 있다는 얘기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석준영 비센교육원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28건 3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0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Deep Impact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1887
1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해저 광 케이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4 1884
106 [Jay의 재미있는 도서관 이야기] 3D 프린터와 스캐너의 신기한 세계, 코퀴틀람 도서관에서 만나요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 1881
10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어떻게 하면 수학, 과학을 잘 할 수 있을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1873
104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명령하는 부모와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1867
1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상 현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5 1861
10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빈디시 연구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1860
101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자녀를 대할 때 감정을 배제하기 어려운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1854
100 토의 vs 논쟁 (토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1851
99 [과학 이야기] 기억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1 1850
9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관절 꺽기' 연구를 왜 할까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1 1850
9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 1837
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빠, 자동차 바퀴는 왜 전부 까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9 1834
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유방암 진단을 위한 맘모그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1830
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메르스 증후군(MERS), 제대로 알아보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4 1826
9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4 1818
92 [CELPIP의 모든 것] 영주권 ㆍ시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1817
91 [과학 이야기] 2016년 노벨 생리의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1815
90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방법을 익히는 방법이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1800
89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14) - 사회문제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1786
8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6) - 토론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3 1784
8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10) - 돈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1778
86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할 수 있는 것이 없어 방황하는 경우(무기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2 1776
85 생활 속의 자녀교육 (16)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771
84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자녀를 향한 기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1764
83 생활 속의 자녀교육 (18) - 아이들에게 친구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 1763
82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28) - 다른 사람에 대한 비난과 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5 1762
8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세계 오존층 보호의 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7 1762
8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뉴호라이즌이 보내온 반가운 소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755
79 공부에 필요한 요소 - 용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1753
7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칭찬받아 춤추는 고래는 행복할까? (칭찬의 이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1742
77 생활 속의 자녀교육 (25) – 꿈과 희망의 이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3 1735
7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수학 공부, 왜 그리고 어떻게?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8 1735
75 자녀들이 감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1730
74 C3소사이어티 <제9회 리더십 컨퍼런스> 접수 시작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1728
73 진정한 삶의 자유와 즐거움<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8 1719
72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예습과 복습을 통해 배우는 방법을 익히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718
71 [과학 이야기] 2016년 노벨 화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1703
70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1702
69 생활 속의 자녀교육 (19) - 사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1694
6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4) - 우리 아이, 뛰어난 협상가가 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0 1691
6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5) - 대인관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 1685
66 사용하는 단어의 선택과 논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1675
6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8) - 경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1674
6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1672
63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3) - 벌을 준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3 1665
62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좁고 좁은 저 문으로 들어가는 길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1665
61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자녀들이 지도자의 자질을 키울 수 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1657
60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음식, 편식,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1656
5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물의 기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 1653
58 [ 민동필 교육 칼럼] 생활 속의 자녀교육 (13) - 진정한 의미의 지도자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 1649
57 [과학 이야기] 항균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1642
56 다이아몬드와 흑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1640
55 [CELPIP 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7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630
54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좋은 글쓰기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1630
53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자녀교육, 불편한 진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1628
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플루엔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1628
51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1623
50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배우는 사람 (아이들)의 이해력을 탓하는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1608
49 [과학 이야기] 아홉번 째 행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1599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