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의 진화 과정을 그대로 따라가며 발달하는 두뇌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1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의 진화 과정을 그대로 따라가며 발달하는 두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4-01-17 12:58 조회428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의 진화 과정을 그대로 따라가며 발달하는 두뇌

   

◆ 지식에 초점을 맞춘 학교 교육으로는 보물을 찾을 수 없다고 하셨는데, 가장 궁금한 것이 어떻게 하면 보물을 찾을 수 있는지 그 방법을 알고 싶어요. 그런데 또 왜 교육이 지식에 초점이 맞춰지게 되었는지도 궁금하고요.

   

- 우선 두 번째 질문부터 살펴볼까요? 

   

◆ 교육이 왜 지식에 초점이 맞춰지게 되었는지에 대한 질문이요?

   

- 예.

   

◆ 정말 궁금했던 내용이에요. 사람들은 사고력이 중요하다고 하면서도 지식에만 매달리는 이유가 궁금하거든요. 

   

- 교육이 지식에 초점이 맞춰진 이유는 두뇌의 진화 과정에 있어요. 

   

◆ 두뇌의 진화 과정이요? 

   

- 예. 사람이 태어나면서부터 두뇌가 발달해 가는 과정은 두뇌가 지금까지 진화해 온 과정을 그대로 따라가요. 다만 차이가 있다면 진화의 과정은 상당히 느리고 시행착오를 많이 거치지만 인간의 두뇌가 발달하는 과정은 빠르다는 점이죠. 

   

◆ 조금 더 쉽게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 두뇌의 발달을 예전에 예를 들었던 까마귀에 비유해 볼게요. 

   

◆ 아, 까마귀가 7살 정도 아이들의 지능을 가졌다는 연구 결과를 말씀하시는 거죠? 

   

- 맞아요. 까마귀를 비롯해 돌고래까지 동물들 중에는 지능이 높은 종이 있어요. 반면 그렇지 않은 동물들도 있죠. 

   

◆ 그러면 지금 하시려는 이야기가 동물들의 두뇌도 진화를 해 왔듯 인간의 두뇌도 진화를 해 왔다는 뜻인가요? 

   

- 조금 달라요. 두뇌의 진화를 다윈의 진화론에 맞춰 설명을 해 볼게요. 다윈의 진화론에 따르면 인간은 원숭이로부터 파생되었다고 알려져 있잖아요? 

   

◆ 그렇죠. 조금 믿기는 어렵지만요. 

   

- 믿기 어려울 수 있어요. 인간과 원숭이는 완전히 다른 종이니까요. 하지만 원숭이로부터 파생된 것은 진화론으로 충분히 설명이 되는 부문이에요. 

   

◆ 그렇다고 보고 원숭이로부터 파생된 이유와 두뇌의 진화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  

   

- 원숭이들의 지능이 다른 어떤 동물들보다 뛰어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죠? 또 원숭이들의 신호체계도 상당히 정교하다는 것도 연구 결과로 밝혀진 내용이고요. 

   

◆ 예. 들었던 기억이 나요. 그만큼 원숭이들의 두뇌가 많이 발달했다고 볼 수 있는 거죠? 

   

- 바로 그 점이에요. 생명체가 진화하면서 두뇌도 함께 진화했죠. 그런데 두뇌의 진화가 동물의 한 종에서 계속 진화하는 것이 아니라 두뇌 자체의 기능이 달라진 종이 나타나면서 달라진다는 점이에요. 

   

◆ 잘 이해가 가지 않아요. 

   

- 예를 들면 침팬지와 오랑우탄을 가지고 설명해 볼게요. 예를 들어 침팬지라는 종이 있었고 이들의 지능이 5살 정도 아이들과 비슷하다고 가정해 볼게요. 그런데 진화의 과정에서 어느 순간 오랑우탄이 태어났는데 이 오랑우탄은 지능이 8살 아이 정도라고 가정해 볼게요. 이 경우 침팬지의 두뇌가 진화를 한 것이 아니라 오랑우탄이라는 새로운 종이 더 낳은 두뇌 능력을 가지고 세상에 나타난 것이라고 볼 수 있죠. 

   

◆ 비유하자면 스마트폰이 진화하는 것과 비슷하군요. 스마트폰 1세대가 있었다면 다음 세대는 더 많은 기능과 빠른 속도로 출시되잖아요. 그와 비슷하다고 보이는데 맞나요? 

   

- 맞아요. 스마트폰 1세대 제품이 2세대 기능을 포함하는 업그레이드가 되는 것이 아니라, 비슷하지만 완전히 다른 제품이 2세대로 나오는 거죠. 그러니까 두뇌의 진화도 원숭이의 두뇌가 진화하는 것이 아니라 원숭이와 비슷하지만 완전히 다른 두뇌를 가지고 세상에 나타난 것이 인간이거든요. 

   

◆ 그러면 앞서 아이가 태어나면서 두뇌가 두뇌의 진화 과정을 그대로 따라가면서 발달을 한다고 하셨는데, 그 말은 무슨 뜻인가요? 

   

- 두뇌의 진화를 스마트폰에 비유했으니 많이 다르기는 하지만 이걸로 비유를 계속 해 볼게요. 먼저 2세대 제품이 나오면 1세대 제품의 많은 부분을 그대로 가지고 있어요. 그러면 1세대에 장착된 기능을 그대로 발휘하면서 새로운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겠죠?

   

◆ 그렇죠. 그리고 1세대 제품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들은 그대로 이어지겠죠. 그렇지 않으면 2세대라고 할 수 없는 완전히 다른 제품이 만들어 질 테니까요. 

   

- 맞아요. 두뇌도 마찬가지로 원숭이의 두뇌가 가진 기능 중 중요한 것들을 인간의 두뇌도 가지고 있어요. 그리고 이 기능들이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하나씩 발현을 하거든요. 

   

◆ 예를 들면요? 

   

- 가장 먼저 아기일 때 감정을 통해 의사소통을 하는 부분이요. 

   

◆ 그럴 수밖에 없지 않나요? 아기들은 말을 하지 못하니까 울거나 웃거나 하는 형태의 감정으로 자신을 표현해야 부모가 눈치를 채고 필요한 것을 채워주니까요. 그런데 감정을 통한 의사소통이 두뇌의 진화와 어떤 관계가 있죠? 

   

- 봄이 되면 오리와 기러기 새끼들이 많이 돌아다니죠? 

   

◆ 그런데요?

   

- 오리와 기러기들도 감정과 신호로 의사소통을 한다는 것 관찰해 보신 적 있나요? 

   

◆ 예. 있어요. 

   

- 간단한 신호만 사용할 수 있는 동물들에게는 감정을 신호로 전달하는 방식의 의사소통이 생존을 위한 유일한 교수법이라는 것 생각해 보신 적 있나요? 

   

◆ 알 것 같아요. 예전에 기러기들이 까마귀가 새끼들을 노리니까 소리를 지르며 위협적인 모습으로 까마귀를 못 오게 막는 것을 봤거든요. 또 새끼들은 어미의 그런 모습에 경계하면서 어미의 날개 밑으로 들어가 피하더라고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5건 3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4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내 두뇌속의 피라미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765
84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8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6 767
84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종속되어가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768
842 5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 사회의 보이지 않는 벽은 사람의 머릿속에 존재할 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776
84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의 근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4 779
84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독립된 삶’은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가장 큰 욕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780
83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권력자들은 국민을 애완동물처럼 길들이고자 한다. 어떻게 그리고 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783
83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 783
83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3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784
836 5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도전과 반항 그리고 사회의 양극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785
83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권력자의 생존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 787
83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787
83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야나기 무네요시-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791
83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즐거움에 대한 욕망과 이태원 참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 799
83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기반을 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799
83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의 핵심은 지식과 기술이 아니라 공부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800
829 5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최고 지도자가 감정에 맡겨 결정을 내리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804
828 5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지 않는 유리벽에 갇힌 사람들의 특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805
82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무뎌지는 감정은 기억력 저하로 이어지고 기억력 저하는 치매로 이어질 수 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807
82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4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808
825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2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811
82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최재형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811
82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움’과 ‘공부’는 두 가지 다른 개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811
8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취업을 위한 교육에 열을 올리는 학교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812
82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폭력의 뿌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815
82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820
81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길들여지는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3 823
81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가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829
81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2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2 829
81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833
81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직접경험을 통해 배우는 공부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838
81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인과 결과를 연결하는 인과의 법칙을 찾아가는 공부가 사고력을 늘리는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839
81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2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841
81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2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844
81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3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844
81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2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847
80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천재들은 어떻게 천재적 두뇌능력을 발휘할 수 있을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849
80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6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849
80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운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는 것과 사고력은 완전히 다른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851
80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여 일을 하는 일꾼 vs. 결정되지 않은 미지의 세계를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7 852
80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지 않는 벽을 깨고 나오기 위해서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856
80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즐거움에 대한 욕망이 집착을 만든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857
80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키며 달을 보라고 가르치는데 달이 아닌 손가락을 본다고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862
80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862
80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5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866
80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좋았던 기억보다 고생한 기억이 오래 남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868
79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887
79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감대는 함께 난관을 극복하는 힘의 원동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892
79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을 보면 학습능력이 보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1 892
79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조적 사고의 기반, 이유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901
795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902
79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발달에 장애가 되는 지식의 정확도를 묻는 시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902
79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의 재건축, 왜? 어떻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5 905
79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해를 통해 지식을 배우는 과정에는 생각이 필요하지 않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 909
79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내 두뇌에 존재하는 여러 다른 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909
79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최고의 두뇌와 경쟁할 수 있는 두뇌 능력을 키우는 공부 방법 (지식의 개념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911
78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아는 것이 정말 힘일까? (공부에는 독이 될 수 있는 ‘나는 알고 있다!’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925
78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의 두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927
787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7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927
78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동물의 두뇌를 벗어나지 못한 인간의 모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929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