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토목·기계, 진출분야 넓고 최고 인기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토목·기계, 진출분야 넓고 최고 인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9-01-31 09:35 조회3,257회 댓글0건

본문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다른 분야보다 토목이 공무원직 많아 

기계는 로봇·나노 등과 융합, 전망 밝아


 

8dd2ab4ea8563b46a73557df2dbe96a4_1548956067_1347.jpg
LA 다운타운 프로젝트의 하나였던 뉴 윌셔 그랜드 호텔 건축 현장 모습. 토목은 민간과 공공 부문 모두 일자리가 많지만 다른 공학과 비교해 특히 공무원직이 많다. [중앙포토]

 

 

이번 편에서는 지난 편에 이어서 한인이 많이 진출하는 엔지니어링 분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토목환경공학 분야(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토목환경공학 분야는 도로, 교량, 철도, 공항, 항만, 댐, 상하수도, 터널, 각종 발전소 및 플랜트 설비 등 주로 사회간접자본 인프라를 건설하고 운용·관리하는 분야다. 

 

 

토목공학(Civil Engineering)은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가장 오래된 학문으로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 자연과학을 이용한 모든 공학의 근간을 이루며 인류 문명 발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자연을 바탕으로 인간 생활의 기반 시설물을 구축한다. 세부 전공분야로는 구조공학(Structural Engineering), 지반공학(Geotechnical Engineering), 수리수문공학(Hydraulics & Hydro Engineering), 측량 및 지형정보공학(Geomatics & GIS), 교통공학(Transportation Engineering), 건설 시공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등이 있다. 환경공학(Environmental Engineering) 또한 기본적으로는 토목공학의 한 전문분야다. 최근에는 환경 관련 분야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학과 이름이 토목환경공학(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으로 통칭되는 추세다.

 

토목공학은 한국보다 특히 미국에서 압도적으로 인기가 많은 직종이다. 미국에서의 토목공학 인기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높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이후 경기가 회복되면서 건설분야 인력 수요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미국의 토목공학자는 설계, 시공, 컨설팅 등 민간분야는 물론 시청, 카운티, 주정부, 연방정부 등 각종 공공분야까지 광범위하게 진출한다. 토목공학은 '건설'이라고 하는 전공 특성상 공공 프로젝트가 많으므로, 타분야에 비해 특히 공무원 쪽으로 많이 진출하는 전공이다. 

 

미국의 재무관리 전문 미디어 그룹인 키플링어(Kiplinger)의 조사자료에 따르면, 2016~2017년 최고의 대학 전공으로 토목공학이 1위를 차지했다. 연간 24만3717개의 취업 자리가 있으며 향후 10년간 관련 직업 성장률은 17.2%로, 토목공학 관련 취업 시장의 밝은 앞날을 전망한 것이다.

 

8dd2ab4ea8563b46a73557df2dbe96a4_1548956118_41.jpg
 

기계공학 분야(Mechanical Engineering) 

 

기계공학은 소위 4대 역학(고체역학, 동역학, 유체역학, 열역학)을 기반으로 기계 및 관련장치, 설비 등의 설계와 제작에 관련된 전반적인 시스템을 다루는 학문이다. 기계공학은 여러 가지 공과대학 전공들 가운데 엔지니어링을 대표하는 가장 전통적인 공학분야라고 할 수 있다. 

 

미국 대학들 중에는 텍사스A&M대학(Texas A&M University)처럼 학교 이름에 'A&M'이 들어가는 학교들이 있다. 여기서 A&M은 'Agricultural & Mechanical'의 약자로, 대학이 처음 생겨날 때 농업과 기계 분야의 전공으로 가장 먼저 시작되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처럼 대부분의 미국 공과대학들은 그 역사를 기계공학과 함께 한다. 

 

기계공학 전공자들이 진출하는 취업 스펙트럼은 상당히 넓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항공, 조선, 건설, 기계 설비 등의 분야가 대표적이지만 학문이 융합화되면서 화학, 전자, 의료, 신소재, 로봇, 나노기술 등 기계공학이 접근하는 분야는 실로 광범위하다. 

 

미국의 경우 군수 산업, 자동차 산업과 더불어 우주개발 등으로 항공관련 산업이 발달하면서, 기계공학의 수요는 날로 증가하는 추세다. 2018년 US뉴스앤월드리포트(News & World Report)에 따르면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엔지니어링 직업 순위에 기계공학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018년 기준 평균 연봉은 8만4190달러이고, 미취업률은 1.1%에 불과해 여전히 취업 시장의 밝은 미래를 전망하고 있다. 

 

공무원으로 일하는 엔지니어들은 상상외로 많고, 그들의 평균 연봉은 9만 달러 이상이다. 

 

엔지니어들이 활동하는 분야는 크게 민간 기업체, 정부기관, 연구기관 이렇게 3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이루어진 민간 기업체는 두말할 것 없이 엔지니어들이 가장 많이 활동하는 분야이다.

 

대부분의 기업체에서 엔지니어들이 일하는 분야는 제조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 분야이다. 연방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제조 분야에 고용된 엔지니어는 57만8000명으로 1위, 엔지니어링 서비스 분야는 31만5200명으로 2위를 차지했다. 

 

그다음으로 많은 분야가 3위를 차지한 정부기관으로, 연방정부와 주정부, 지방정부에 공무원으로 고용된 엔지니어는 20만3200명으로 발표되었다. 통계자료가 보여주듯, 미국에는 각종 정부기관에서 공무원으로 일하는 엔지니어, 즉 기술직 공무원이 상당히 많다. 민간 기업체 다음으로 많은 숫자의 엔지니어들이 연방정부와 주정부, 또는 카운티나 시청 등의 지방정부 곳곳에서 공무원으로 일하고 있다. 이렇게나 많은 엔지니어들이 공무원으로 일한다는 사실은 상당히 고무적이다. 더욱 매력적인 건 그들의 급여 수준이다. 정부기관에서 일하는 엔지니어들의 평균 연봉은 2016년 기준 9만5450달러로 조사되었다.

 

그다음은 4위를 차지한 연구기관이다. 엔지니어들이 활동하는 연구기관으로는 국가연구소나 대학연구소, 기업연구소 등을 들 수 있다. 이 자료에 의하면, 8만3100명의 엔지니어들이 미국의 각종 연구개발(Research & Development) 분야에서 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연방노동부 웹사이트에서 참조하기 바란다. 다음 편에서는 엔지니어가 되기 위한 학력 조건 및 자격 조건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986fb46d29ea2abe46421afecaea3b8c_1547765356_2587.jpg
이진태 (공학박사, 워싱턴주 환경부 엔지니어)

▶워싱턴주 환경부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다. 퍼듀대학 공학박사(토목). 저서로 '나는 미국에서 엔지니어로 1억 더 번다'가 있다. 

▶블로그https://blog. naver. com/pejtlee 운영.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4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0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답을 찾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607
10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611
1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과 국학(국어, 한국사) 운동의 전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618
10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5감과 6하 원칙을 바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꾸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627
101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서술을 구체적으로 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2646
10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56
9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696
9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두뇌 속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2701
9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교각 스님(696~794)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710
96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공부와 삶 – 공부가 어려우면 삶도 고통의 연속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714
9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724
94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를 다루는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2736
93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1)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737
9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독립 협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754
9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역사상 세번째 여성 노벨 물리학 수상자가 된 워털루 대학 스트릭런드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761
9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을 향한 인류 첫 탐사 - 파커 탐사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68
8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 7대 브로이 공작, 루이 빅토르 피에르 레몽 드 브로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777
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과거시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778
87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석사 + 자격증 + 실무 경력' 가장 선호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780
8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기초단계 공부 방법 마무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801
8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156회] 꿈이 알려준 과학적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818
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병자호란과 남한산성 십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2818
8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확장을 통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6 2818
8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라돈 침대 - 위험한 것일까? 안전한 것일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825
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천태종과 조계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827
8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지식의 한계를 확인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833
7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왜 남북은 서로 시간이 다를까-남북회담을 계기로 알아보는 국제표준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47
7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2 2870
77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연봉, 일자리 많고 은퇴 걱정 없는 '황금시장'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880
7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884
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덕 대왕 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90
7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894
73 [김바울의 교육칼럼]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수업 환경, 능동적인 공부법으로 극복해 보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902
7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911
7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소재동 – 정도전 유배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919
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윤봉길 의사와 이봉창 의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2933
69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고 출신이 수시 지원할 때 알아야 할 것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2970
68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단계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983
67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2988
6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의 문벌 귀족 사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3005
6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 훈민정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3005
6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장보고(미상~84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3009
6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 혜허의 수월관음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3053
6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막강한 추천인 한 마디…입사 당락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054
61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2번째 경제용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 3057
6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산타의 썰매는 초음속 비행물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3060
5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의 건국 신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0 3075
5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한민국 정부 수립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3091
5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확장을 통한 동떨어진 개념의 연결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113
5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리학의 전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3125
5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교각 스님(696~794)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3130
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선크림 방지법 -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할 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3142
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잉글리쉬 베이 밤하늘을 수놓은 불꽃놀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148
5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흥선대원군 이하응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4 3154
5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홍산(훙산) 문화(기원전 6,000년 ~ 기원전 800년)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173
5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3180
4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육의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3192
4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한민국 임시 정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3201
47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핵심 사이트 몇 개면 취업정보 얻는 데 충분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3240
열람중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토목·기계, 진출분야 넓고 최고 인기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3258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